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54

조, 기장, 수수, 콩이 나오는 "초보적 농경" 필자가 묻고 싶은 것은 이것이다. 조, 기장, 수수, 콩이 나오는 "초보적 농경"이라는 것이 가능한가 하는 말이다. 한가지 작물도 아니고 조, 기장, 수수, 콩을 매년 경작해야 한다면, 이것이 과연 "초보적 농경"이라는 수준의 작업으로 가능한 것일까? 필자가 보기엔 조, 기장, 수수, 콩을 재배하여 먹고 살았다면 일년 내내 거기 매달려도 빠듯했을 것이라 본다. 멧돼지 쫒아 다니고 도토리 줏으러 다닐 시간이 많지 않았을 것이라는 뜻이다. 잡곡 농사를 지었다고 해서 그 농부들이 시간이 남아 돌았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의 착각일지도 모른다. 이렇게 여러 작물을 매년 생산하려면 눈 코 뜴해 없이 바빴을 것이라는 것이다. 멧돼지 쫒고 남는 시간에 지은 농사가 아닐 것이라는 뜻이다. 2024. 6. 18.
보그 바디 bog body, 북구 습지 미라 스칸디나비아 수수께끼를 탐험하는 방법 중 하나가 이탄 습지 미라 들여다 보기다. 이 지역에서 모두 천 구가 넘는 습지 미라 bog mummies가 발굴됐다. 2024. 6. 18.
잡곡농경에도 프로는 있다 최근 신소희 선생이라는 분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필자도 기장 파종을 한 듯하다. 며칠 전 김단장 쓰신 글을 통해 본 신소희 선생 기장 자란 걸 보니 필자가 딴일 하다 가끔 물이나 주는 기장하고 비교를 해 보니 엄청나게 차이가 난다. 필자 기장은 수확이나 될까 싶은데 저쪽은 확실히 대풍이 들 것 같다.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거다. 잡곡농경이건 뭐건 초보적 농경이란 건 없다. 씨 뿌려 놓고 하루 종일 멧돼지 사냥 도토리 줍기나 하다가 어쩌다 돌아보는 기장 농사가 그게 수확이나 될 거 같은가? 도작 이전에 잡곡 농경에 초보적 농경이라던가, 원시적 농경이라는 딱지를 붙이곤 하는 걸 보는데 도대체 원시적, 초보적 농경이 뭔지 한 번 자문해 볼 때가 됐다. 농경이라는 건 새삼 느끼지만, 노력과 관심의 최소한.. 2024. 6. 18.
고도와 낙차를 이용해야 하는 수로 우리네 농촌 수도가 그렇듯 로마 역시 물을 이용하려면 고도가 높은 데서 물을 끌어와야 했다. 물은 높은 데서 낮은 데로 흐르는 까닭이다. 이 낙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지막지 수로가 길어지고 무엇보다 표고를 조절해야 했다. 그 낙폭을 이용해 물을 흘러내린 것이다. 이 장면은 로마시대 수로 aqueduct 양상을 생생히 단면으로 보여준다. 파이프라인이다. 사진은 튀르키예에 남은 로마시대 수로 유적이랜다. 펌프는 따라서 저 물에 대한 본성의 배신이다. 거꾸로 솟아오르게 한 까닭이다. 2024. 6. 18.
같은 무덤인데 횡혈식 석실분이라면 산통 깨는 아가멤논 무덤 이른바 아트레우스 보물창고 Treasury of Atreus 니 혹은 아가멤놈 무덤 Tomb of Agamemnon 으로 알려진 기원전 1450년 무렵 이 미케네 대형석실분 측단면도라 뭐 이런 거 보고선 한일 고고학도들이야 와 횡혈식 석실묘네 묘도는 우편재네 좌편재네 와 석실은 아치형이네 궁륭형이네 하며 오도방정 떨겠지만 횡혈식 운운하는 순간 산통 다 깨진다. 그 따위가 무에 중요하단 말인가? 언제까지 껍데기 타령 일삼을 거냐 이거다. 그딴 거 하나도 대수 아니다. 지름 13.5m 무덤방으로 이어지는 저 통로 entrance passage 를 저짝에선 부르는 명칭이 따로 있는 모양이라 드로모스dromos라 한댄다. 저 구조 딱 봐서 한국 횡혈식 석실분이랑 마찬가지로 이른바 추가장을 염두에 둔 것이라 실제.. 2024. 6. 17.
박스형 침대, 유럽의 추위를 피하고자 하는 고육 북유럽 추운 겨울에 가정 난방은 중요한 도전이었다. 이를 위한 기발한 해결책이 나왔다. 박스 침대 box bed. 거의 옷장처럼 이 침대는 특히 불길이 마지막 불씨로 줄어든 후 밤의 매서운 추위로부터 따뜻한 은신처를 제공했다. 이 상자 침대에는 중세 후기에 시작되어 유럽 전역에서 유행했다. 영국, 스코틀랜드,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그리고 스칸디나비아에서 발견된다. 어떤 곳에서는 20세기까지도 썼다. 2024.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