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54 AI로 다시 들어가며 60 이후가 되면 그동안 활동하던 조직에서 벗어나 살게 되니 공부를 더 하고 싶어도 이제는 어떤 조직안에서 속해 움직이던 모든 활동과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전부 해결해야 한다. 대개 60 이후 연구활동이 연속되지 못하는 경우 이처럼 조직에서 유리되어 고립됨에서 말미암은 경우가 많은데 필자가 보기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60이후 연구자들의 생명을 연장시켜줄 가장 기대주가 바로 AI다. 챗GPT는 처음 소개되었을 때와는 완전히 달라져 최근 병원에 있는 동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거의 연구와 진료의 companion으로까지 발전할 날이 머지않았다고 한다. 이 챗GPT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60이후 연구자의 학자로서의 수명이 결정될 것이라 본다. 2024. 11. 8. 다시 찾은 아테네 고고학박물관, 그보단 문자박물관 여긴 들어가려면 좀 각오가 필요한 데다. 저네야 외국에 다 뺏기고 반출됐다 주장하지만 남은 것이 한라산 덩치요 새로 캐낸 것들이 백두산만큼 높다. 뺏기고 나간 거? 서울 남산만큼도 안 된다. 암튼 10년엔 무슨 똥배짱으로 전시 유물은 모조리 다 찍자했는지 모르겠다. 더 놀랍게도 사흘 연속 들이쳐서 암포라 빼고선 얼추 다 찍었다! 심지어 그 막대한 이집트 유물까지. 지들은 뺏겼다 하지만 이네들도 적지 않은 이집트 유물이 있다. 아마도 독지가 컬렉터 기증이거나 오스만투르크 시절 강탈품일 것이다. 암튼 그때는 하도 정신없이 눌너제끼는 통에 손가락 마비가 왔다. 오늘은 엑키스만 볼 것이다. 저에 앞서 저 박물관 귀퉁이를 전세낸 듯하고 그래서 아무도 존재조차 모르는 Epigraphic Museum Επιγραφι.. 2024. 11. 8. 억세지 않음 살아남을 수 없던 초창기 여성학예직 어느 분야인들 그렇지 아니한데 있겠나만 문화재업계도 마찬가지라 가뜩이나 시대가 여성이라는 이유로 갖은 차별은 다 옴팡 뒤집어 썼으니 1세대가 그렇고 2세대가 그러하며 이제 50대에 들어선 3세대 정도가 되어야 그나마 좀 균형을 맞추기 시작한다. 30-40대가 주축인 지금은 4세대는 역전이 일어나 남자들은 망했다. 이게 복수라면 할 말은 없지마는 그 피해자와 수혜자가 다르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암튼 저 여성학예직 1세대 혹은 2세대를 보면 살아남으려니 더 억세질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인간미로는 좋은 소리 듣는 이가 드물다. 오늘 타계한 이난영 관장도 내가 보기엔 격정의 소유자였다. 본래 그랬는지 모르지만 아마 시대가 그리 만들었을 것이다. 한병삼 정양모 선생과는 서울대 사학과 동기로 아는데 박물관에 나란.. 2024. 11. 8. 세계고고학회 2025 세계고고학회가 내년 6월 호주에서 열린다. 앞서 이야기한 고고조직학 심포지움과는 2주인가 간격을 두고 같은 나라에서 하는거라 혹 젊은 분들은 호주 방문 할 생각이 있다면 두 군데를 다 참가하는 것도 가능할려나 어쩔려나 모르겠다. https://worldarchaeologicalcongress.com/wac10/ WAC-10 – Darwin 22-28 June 2025worldarchaeologicalcongress.com 호주 다윈에서 6월 22일-28일에 열린다. 이 학회는 예전에 한 번 참석한 적이 있었는데 볼 만하다. 2024. 11. 8. 60 이후: 어떻게 세상과 교신할 것인가 필자는 지금까지 살아 오면서 쓴 글은 대부분 학계 학술지 통해 발표했다. 얼마 전 대충 세어 보니 영어로 발표한 것이 254편, 국문이 54편, 일본어가 12편 정도였는데-. 물론 이는 심사를 거친 학술지 출판 논문도 있지만 단행본 챕터도 모두 합친 숫자이긴 하지만, 어쨌건 지금까지는 필자는 거의 모든 연구 발표를 학술지를 통해서 했다고 해도 될 것이고 필자는 세상과 학술지를 통해 소통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60 이후 어떻게 세상과 교신할 것인가, 하는 그 방법이다. 무엇보다 요즘 좀 번듯한 학술지는 게재료가 폭등했다. 필자가 처음 대학원 생활을 시작할 때만 해도 학술지는 거의 출판비가 없었는데, 요즘은 해외 학술지의 경우 기본이 출판료가 아무리 적어도 기본이 100만원 정도이며, 비싼 것은.. 2024. 11. 8. 한국박물관의 대모 이난영 선생 타계 대모大母라는 말은 이런 때 쓴다. 이난영이라는 이름은 한국박물관계 이론이 있을 수 없는 대모라 그런 선생이 한국시간 8일 타계했다. 향년 90세. 아직 박물관 쪽 공식 부고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안다. 선생이 박물관에 몸담을 시기야 하긴 박물관만 아니라 문화재업계 전체를 통털어도 워낙 숫자가 적기도 했지만 여성은 더 드물었으니 연배가 약간 밑인 목가구 김삼대자 선생은 애초 발을 지금의 국립문화유산원 전신인 문화재연구실로 디딘 것으로 안다. 선생은 내가 알기로 한병삼 정양모 두 전직 관장과 더불어 서울대 동기가 아닌가 싶으며 그것이 아니면 박물관 입사 동기가 아닌지 모르겠다. 국립경주박물관장을 끝으로 정년퇴직하고선 경주에 줄곧 칩거했다. 내가 문화재업계에 발을 디딜 당시에 이미 퇴직한 상태였으니 직접 교유.. 2024. 11. 8. 이전 1 ··· 724 725 726 727 728 729 730 ··· 362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