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76

썩어버린 양상추에 엎어버린 나락, 저주받은 한반도 뭐 내가 간여하는 연합뉴스 한류 홈페이지 k-odyssey도 그렇지만,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멋진 한국, 빛나는 한반도를 내놓고 자랑하고 싶지, 구린내 풍기는 것들로 이것이 한국의 대표상품이라 선전하겠는가? 아픈 데는 숨기고 자랑할 만한 것들을 내어놓기 마련이라 단언커니와 한반도는 저주받은 땅이다. 하긴 이 관점에서 저주받지 아니한 지구촌 있겠는가? 기후 기상조건이라 하지만, 그것을 기반으로 한반도는 금수강산이라는 신화가 양산되고 강고하게 구축되었지만, 유사 이래 한반도가 거친 과정을 보면 기상이변 아니었던 적 한 번도 없으니,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사관이 정상에서 벗어난다고 간주한 이상異常을 적어놓은 까닭이기도 하겠지만 우리가 지금은 이변異變이라 하지만, 이는 정상을 준거점으로 삼거니와, 하시何時라도 .. 2021. 10. 14.
한반도를 폭격하는 댑싸리 내가 2년에 걸친 해직 생활을 청산하고서 해고 직전 근무처인 전국부로 복귀한 직후이니, 대략 3~4년 전쯤 일로 기억하고서 관련 기록을 검출하니 2018년 10월 27일이라, 당시 연합뉴스에서 [핑크 열풍]이라는 제목으로 핑크뮬리 열풍을 3회에 걸쳐 다루었으니, 제목만 검출하면 다음과 같다. [핑크 열풍] ① '여기도, 저기도' 한반도 뒤덮은 핑크뮬리 [핑크 열풍] ② 신비로운 분위기…근데, 왠지 낯설다 [핑크 열풍] ③ 이렇게 막 심어도 되나…엄연한 외래종(끝) 이런 특집에는 으레 편집자 주라 해서, 왜 이런 시리즈를 다루는지, 이를 통해 무엇을 어찌 했으면 좋겠는지 아는 제언을 담거니와, 그에 대한 편집자 주는 아래와 같았다. 편집자 주 = 가을 진객인 '단풍'이 올해도 곱고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습니.. 2021. 10. 14.
이데올로기로 혁파하는 무령왕릉 무령왕릉 발굴은 정치사의 맥락으로 접근해야 한다. 언제까지 남조 유물이 어떻네, 왜와의 관계가 어땠네 하는 식으로 소비할 수는 없다. 그 논리를 혁파해야 하며, 그에 내재한 내셔널리즘 이데올로기를 간파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건 죽었다 깨어나도 고고학은 할 수 없다. 자신을 겨냥하므로.. (2020. 10. 12) *** 모든 학문이 그렇듯이 고고학 역시 당대 사상과 뗄 수 없다. 고고학은 그 내재하는 태생 공간이 더 내셔널리즘과 밀접할 수밖에 없거니와, 그런 특징은 한반도 고고학에서 유감없이 드러난다. 졸저에서 누누이 밝혔듯이 무령왕릉은 민족주체성이라는 시각에서 소비되었으니, 그 발굴 50주년을 맞아 다시 난무하는 갱위강국更爲强國은 이 시대가 무령왕릉을 소비하는 표상이다. 2021. 10. 12.
습지가 생물다양성 보고? 모기의 천국 생태 혹은 환경이란 말들이 각광받으며 습지가 재발견되는 시대라 아마도 람사르습지라는 그럴 듯한 이름으로 포장한 신상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하거니와 이르기를 생태계 복원이며 생태계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생물다양성을 옹호하는 구실로 이용되거니와 참말로 알다가도 모를 일이 저 습지라는 괴물 태반이 실은 인위로 만든 보 일종이며 인위가 아니라 해도 실은 썩어가는 오물 구덩이에 지나지 않는다. 습지는 왜 생태계 보고이며 생물다양성 보고인가? 간단하다. 똥통인 까닭이다. 저 습지를 찬양하나 너가 살아봐라. 한 시간이 안 되어 온몸은 모기밥이다. 구더기는 똥통에서 스는 법이다. 갯벌? 습지는 내가 그곳이 있지 않을 때만 아름다울 뿐이다. 2021. 10. 11.
문화재활용? 간단하다 꽃밭 만들어라! 원형? 똥개나 던져줘라! 올해도 첨성대 주변은 어김없는 이 풍경이라 첨성대가 무에 볼 만하다고 이걸 보러 두 번 세 번 네 번을 가겠는가? 봄엔 유채 여름엔 로터스플라워, 가을엔 핑크뮬리 교대하는 그 풍광이 사람들을 끊임없이 흡입한다. 근자 해바라기 피던 시즌 연천을 갔다 그곳 호로고루로 향하다 논길로 차를 돌리고 말았으니 해바라기 명소로 소문나는 바람에 그곳으로 향하는 길은 그야말로 차량으로 범벅이었고 현장은 사람으로 미어터졌단다. 그 황량한 임진강변 삼각김밥 호로고루에 이런 날이 올 줄은 단군할배도 몰랐다. 이 황량한 부여 능산리고분군. 그래 세계유산 등재되고 이름도 무슨 왕릉원으로 바꿨다지만 누가 저길 두 번 다시 간단 말인가? 시시각각 변하는 풍광이 볼 만한 것도 아니요 짜가로 만들어 놓은 뫼등 여섯기만 덩그레한 저 잔디.. 2021. 10. 10.
캠핑카, tourismphobia시대의 표상...과거를 집착하는 tourism 정책 그제 어떤 독자분이 연합뉴스에 제공해 발행한 드론 사진 한 장면이라 영문기사 기준 제목과 설명은 이랬다. Camping vans on beach This photo, provided by a reader, shows the auto camping ground on Mongsanpo Beach in the western county of Taean filled with camping vans on Oct. 9, 2021, the first day of a three-day prolonged weekend that lasts until Oct. 11. (PHOTO NOT FOR SALE) (Yonhap) 보니 저번주에 이어 이번주도 한글날이 월요일 대체공휴라 사흘 연속 가을 황금 주말에 태안 몽금포해수욕장을.. 2021.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