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46

2015년 군함도의 데자뷰로서의 사도광산 (LEAD) Japan's Cabinet approves Sado mine bid for UNESCO heritage 이치동 / 2022-02-01 09:43:20 (LEAD) Japan′s Cabinet approves Sado mine bid for UNESCO heritage TOKYO, Feb. 1 (Yonhap) -- The Japanese government made a Cabinet decision Tuesday to push for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ing of a former gold mine linked to wartime forced labor, according to local ... k-odyssey.com 세계유산은 유네스코가 1972년 11월.. 2022. 2. 1.
예이츠, 접어야 한 그 어떤 미련 나한테 혹 1년이라는 자유시간이 주어진다면 딴 데 말고 딱 그 기간 더블린과 슬라이고, 그리고 런던을 오가며 이 친구 궤적은 쏵 밟고 싶다. 박지향 선생이 자못 비장한 어조로 《슬픈 아일랜드》인가 하는 책을 낸 적이 있는데 그걸 읽다 말고 던졌으니 그 이유는 간단해서 이곳저곳 예이츠를 필두로 하는 이른바 문학도들을 논급했지만 아! 역사학도라 문학을 모른다는 느낌을 받은 까닭이라 아일랜드 역사는 역사학도가 아닌 문학도가 쓰야 한다는 자만 비슷한 감정이 있었다고 밝혀둔다. 걸핏하면 예이츠를 팔아먹지만 나한테 각인한 예이츠는 그 아득한 학창 시절 아주 잠깐 접한 시 몇편에 지나지 않았으며, 그러기에 아는 것이라곤 좆도 없으며 그래도 내가 저 이름을 걸핏하면 팔아먹는 까닭은 가난을 핑계로 접은 그 시절 애환 그.. 2022. 1. 28.
W. B. Yeats 자서전 이 예이츠 자서전에 대해선 아래서 아주 간단히 소개했으니 참고바란다. "알고도 바꾼 것은 없지만 기억 착란은 꽤 있을 것이다"는 William Butler Yeats 자서전 "알고도 바꾼 것은 없지만 기억 착란은 꽤 있을 것이다"는 William Butler Yeats 자서전 좋아한 친척이나 지나간 이상한 사건이 이따금 떠오를 때면 나는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이야기할 사람을 찾는다. 그러다 나는 듣는 사람이 따분해 하고 있음을 이내 눈치채게 된다. 그러나 이야 historylibrary.net 보다시피 시기를 달리하는 두 시기 자서전 묶음인 까닭에 결이 좀 다르다. 간평하면 일찍 나온 젊은시절 일기는 상대적이긴 하나 부담이 덜한 반면 2부는 굉장한 인내를 요구한다. 2부엔 아일랜드 현대사 응축이면서 그의 .. 2022. 1. 27.
[K-geography] 딴살림 차린 한반도 생태 코너 한류 전문 뉴스채널을 지향하는 K-odyssey가 초반 탐색과정을 거쳐 요새는 한류를 문화한류/스포츠한류/k-heritage 세 가지로 범주화했거니와, 아마도 이 체계가 당분간 유지되지 않을까 한다. 이중에서도 k-heritage는 전자 둘을 받침하는 핵심 서브스트럭처라 보거니와, 이는 한국문화기반콘텐츠를 한류로 정의한 우리의 판단과 밀접하다. 결국 한류 핵심은 한국역사문화 그 자체라 보는 까닭이다. 이를 위한 k-heritage 코너 중 하나로 우리가 설정한 데가 Discover Korea라는 데라, 다양한 한국을 시각자료, 특히 사진자료로 전하고자 하는 관문으로 삼는다. 이에서 우리가 실험하는 소재가 생태인데, 현재는 아무래도 철새라는 조류가 한반도를 덮친 시기라, 그와 관련한 장면을 포착한 서비스가.. 2022. 1. 23.
수혜자만 더 살찌우고 불특정 다수한테 책임을 전가하는 관람료 입장료 무료 앞서 말한 국립공원이며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 폐지 문제를 상론한다. 이것이 언뜻 보면 호혜평등인 듯하나 실은 수혜자 부담이라는 과세 원칙의 근간을 부정하는 일이라 수혜자만 더 혜택을 주는 제도에 지나지 않는다. 설악산을 자주 가는 사람만이 혜택을 보며 박물관 미술관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만을 살찌울 뿐이다. 폐지된 입장료는 누군가 부담을 해야 한다. 저 폐지는 그에서 수혜자만, 곧 저런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한테만 혜택을 돌아가게 한다. 반면 저것이 폐지된 자리에 어떤 이유로 산을 오르지 못하는 사람들이나 저런 데는 생평 가보지도 못한 사람들조차 그것을 부담할 수밖에 없다. 내가 왜 생평 가보지도 못하고 갈 생각도 없는 설악산 국립박물관 이용료까지 부담해야 한단 말인가? 그것이 문화재관람료건 입장료건 뭐건.. 2022. 1. 22.
대청봉은 누구 땅인가? 속초? 인제? 양양? 조계종 "대청봉 소유권 다툼 유감"…설악권 시·군 갈등 새 국면 송고시간2021-11-25 17:39 "토지소유주 승낙없는 다툼은 법률 무시한 행위로 즉각 중단해야" 속초시·양양군, 강원도 감사위원회 감사 요청 준비 중 조계종 "대청봉 소유권 다툼 유감"…설악권 시·군 갈등 새 국면 | 연합뉴스 (속초=연합뉴스) 이종건 기자 = 설악권 3개 시·군의 설악산 대청봉 소유권 갈등이 대한불교 조계종 입장 발표로 새 국면을 맞고 있다. www.yna.co.kr 근자에 있었던 일이다. 간단히 정리하면 주인은 따로 있는데, 주인은 제끼고 니들끼리 뭔 짓이냐는 것이다. 예서 주인은 대한불교조계종이고 구체로는 그 종단에 속한 신흥사이며, 니들이란 그 소유권을 주창하는 세 시군을 말하는 것이니 속초시와 인제군과 양양군을.. 2022. 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