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65

고고학의 독점 유적은, 유물은 이 분야 전공자들, 예컨대 고고학도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보존이고 정비고 그것을 그들이 전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이유다. 학문적인 판단, 예컨대 그 유적 유물이 어느 시대 소산이고 그 성격은 무엇이고 하는 따위는 당신들이 해라. 기타 우수마발까지 우리가 해야 한다는 발상은 성립해서도 안되고 성립할 수도 없다. 한국 문화재정책의 비극은 그들이 처음이자 마지막까지 독점한다는 점이다. (2016. 8. 26) *** 그래서 문화재위원회 관련 분과는 해당 전공자를 외려 최소화해야 한다. 그 분야 전문가가 정책까지 책임질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가 책임을 지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그네들 손에서 정책이 놀아난다. 문화재위원회에서 이른바 전문가집단은 원천적으로 제외해야 한다. 2020. 9. 2.
허공을 향한 삿대질 문화재 현장에서 이런 일 너무 많이 봤다. 언제나 근엄하게, 그리고 언제나 정의롭게, 비난이 아닌 비판을 쏟아내는 사람을 많이 봤다. 한데 언제나 그 비판의 대상은 문화재청을 비롯한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이다. 문화재청더러, 지자체더러, 이러이러해야 한다는 말을 쏟아낸다. 이런 비판 얼마나 쉬운 줄 아는가? 피드백이 없고, 명예훼손에 걸릴 염려도 없기 때문이다. 한데 그런 일이 언제나 정의인양 포장되곤 한다. 나는 허공을 향한 삿대질, 경멸한다. 싸우려거든 주민, 시민, 국민을 향해 싸우라. 돌진해봐라. 그에서도 살아남을 자신이 있거들랑 그에 돌진하여 옥쇄하라. 주민, 시민, 국민을 향해 도시락 폭탄 들고 돌진해 봐라. (2017. 9. 2) *** 이런 무책임을 보여주는 전형이 무슨 학회 이름으로 나오는.. 2020. 9. 2.
오지 콧물에서 창안하는 순진무구 주로 오지 혹은 저개발국가로 여행하는 사람들에게서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성향 중 하나는 꼬질꼬질하고 콧물 질질 흘리는 어린이들에게서 순진무구를 창안한다는 점이다. 구질구질 농촌에서 도시문명과 견주어 때묻지 않았다고 칭송하곤 한다. 이르노라 꼬질꼬질에 순진무구는 없다. 그것은 낙후이며 가난이며 질병이고 고통이다. 그것은 박멸해야 할 과오요 퇴출해야 할 미개다. 배때지 부른 소리 걷어치워라. (2014. 9. 2) *** 개중에 순진무구 혹은 등신 같은 사람이 있을 순 있으나 개중엔 개차반 오입쟁이 약삭빠른 놈 다 있다. 그들이라고 욕망과 색욕이 없겠는가? 어린아이를 두고 순진무구하다지만 그놈들 하는 말을 들어보면 90프로가 거짓말이더라. 저들이 순진무구한 까닭은 나한테 총칼을 휘두르지 못하기 때문이지 착해서.. 2020. 9. 2.
저 광활한 논을 바라보며 황달 현상을 일키는 들판 가을이다. 파주 임진각에서 저런 논을 소유하고 그에서 농사를 지어보는 게 내 선친의 꿈이었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2016. 9. 2) *** 계단식 논이 아닌 저런 넓은 평지에서 천수답이라 해서 비가 와야 모내기를 하는 그런 계단식 논이 아닌 저런 넓은 땅 큰 강을 낀 저런 벌판에서 농사지어 보는 게 꿈이었다. 혹자는 누구 탓도 아니요 안목이 없다 하겠지만 안목은 하루하루를 버텨내야 하는 사람들한테는 사치였다. 왜? 선친한테는 내일이 없었다. 오늘을 살아남아야 했으므로... 2020. 9. 2.
빈쭉정이 천황은 대통령과는 다르다 나는 줄곧 다름 아닌 우리가 일본천황의 권능을 높여준다고 말했다. 헌법상 아무런 권능도 없는 천황을 향해 과거사 사죄하라는 윽박이 그런 결과를 빚는다고 말이다. 세월호 턱별법..틈만 나면 대통령을 향해 결딴하라 협박한다. 단식 중인 누구를 대통령이 만나야 한다는 주장도 버젓이 나온다. 틀렸다. 번지수 잘못 짚었다. 그것을 해야 할 권능이 부여된 곳은 국회지 대통령이 아니다. 여야가 합의하라는 청와대의 논평은 백프로 맞는 말이다. 대통령을 향한 저런 요구는 결국 제왕적 대통령제를 더욱 강화할 뿐이다. 천황을 향한 과거사 사죄요구가 빈껍데기인 천황을 실질로 만들어 주듯이 말이다. 최장집 교수는 늘 정당대의정치를 부르짖는다. 그가 말하는 정당대의정치는 실은 정치학 원론이다. 기본에 충실하자는 게 그의 정치철학.. 2020. 9. 1.
열광과 갈채를 자양분으로 삼는 대중독재 정통성이 없거나 끈 떨어진 권력일수록 총칼에 기대기 마련이다. 마지막 수단이 그것만 남았기 때문이다. 나는 이 정권이 사정 정국으로 간다고 봤다. 하긴 이젠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시나리오다. 김영란법도 그 취지와는 달리 나는 시행 시점을 의심했다. 레임덕 처한 정권으로서는 도저히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다. 아무리 취지가 좋아도 때와 장소는 가려야 한다. 이게 나라인가? 개판이지.. 누구 잡아넣었다고 좋아하지 마라. 언제나 냉철해야 하며 언제나 의심해야 하며 언제나 상식과 통념은 뒤집어야 한다. 정권이 의도했든 아니했든 송희영 사건으로 벌써 이래서 김영란법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오는 점 다들 주목했으면 한다. 너희가 공범일 수도 있다. 참 더러운 세상이다. (2016. 8. 31) *** 프랑스혁명 때.. 2020. 8.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