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65 아부로 문을 여는 책 지금 내 회사 책상에는 어떤 역사연구자가 자기 박사학위 논문을 손질해낸 단행본이 있다. 실명과 책 이름은 비밀로 부친다. 이런 박사논문 토대 단행본 머리말을 보면 항용 학은學恩 운위하다 끝난다. 나는 이것이 한국지식학이 퇴보하는 일대 증좌로 본다. 서문은 그 책을 들어가는 대문이요, 부처가 상거하는 대웅전이며, 그것을 지나 퇴로하는 후문이다. 그것은 내 왜 이 책을 썼는지, 혹은 내가 이 책에서 주창하는 바가 무엇인지의 일대 선언이다. 권리장전이며 마그나 카르타며 독립선언서다. 그런 자리에 언제 대학에 들어가 어떤 교수를 만났는데 그가 어떤 지침을 주어 어떻게 공부했느니, 그래서 눈물이 난다느니 하는 따위는 집어쳐야 한다. (2013. 8. 28) *** 돌이켜 보면 한국에서 출간되는 책, 특히 학술서로.. 2020. 8. 28. 외부의 미지에서 와야하는 영웅, 낙하산은 계속되어야 한다 그 일생 고난의 행군 점철이었으며, 결국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예수 또한 특히 고향에서 박대받았다고 안다. 우리는 내가 잘 안다고 생각하거나 나하고 가차운 정치인 기업인 혹은 지식인은 마른 멸치만도 못한 존재로 간주하며 그들을 안주삼아 씹어돌리기에 여념이 없다. 그러면서 전연 알지도 못하는 이상형 인간을 그리며 카네기를 찾고 스티브 잡스를 주물해 낸다. 단언하거니와 우리가 그리고 주물한 카네기는, 스티브 잡스는 이 지구상 존재한 적도 없는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 스티브 잡스는 또라이 개새끼다. 그럼에도 그렇게 허상으로 주물한 잡스를 불러와서는 이건희를 손가락질한다. 이제는 기억조차 가물가물해 어네스트 겔너가 아닌가 하는데, 그에 의하면 건국시조나 영웅은 예외없이 외부에서 온 인물이라 한다. 왜 외부에.. 2020. 8. 27. 전통마을? 스머프마을? 요근래 전통마을이 나로선 체증 같다. 전통마을이 무엇이냐는 개념은 차치하고 작금 전통마을 정책이 옳은가? 나는 부쩍 스머프마을이란 말을 쓰는데 낙안읍성이나 하회마을이 이에 해당한다. 문화재 관념과 그 활용 욕심이 과도하게 분출한 개악인 듯 하다. 이 두 마을은 이미 파라마운트 픽처스 세트장이지 전통마을이 아니다. 양동마을 역시 이 단계로 급속도로 진입 중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전통마을로 겨우 명맥을 유지한데가 내 고향 김천 구성 원터마을 정도인데 이것도 조만간 작살난다 해도 좋다. 아! 답이 없다. (2015. 8. 25) *** 전통마을이 세트장화한지는 오래다. 전통마을로 지목된 곳들은 하나같이 이리 진입했다. 나는 이 전통마을이 두 가지 길을 간다고 본다. 첫째는 하회마을과 낙안읍성이 대표하는 스머프.. 2020. 8. 25. 학문은 열정이지 돈이 아니다 여러 차례 직간접으로 내 의견을 표명했지만 학술 프로젝트에 대한 국가지원에 나는 근간에서 반감을 갖는 사람이다. 이런 지원이 언론계에도 조금은 있고 또 재단으로 넘어가면 몇 군데 있지만 나는 딱 한번 지원해서 딱 한번 받아봤거니와 근간에서는 여전히 나는 반감을 갖는다. 물론 이런 지원이 필요한 곳이 있음을 나는 부정하고픈 생각이 추호도 없고 또 그런 지원이 때로는 생계확보와 나누기 차원 등에서도 필요하다는 사실도 잘 알고 공감한다. 인문학에 국한할때 사전편찬만한 대규모 사업이 없다. 한데 내가 이 얘기를 다시금 꺼내는 이유는 나는 이런 사전편찬도 근간은 개인의 열정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내가 순전히 개인으로 투신하는 사전편찬에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이미 시작 십년이 된 《한국고대인물사전》이고.. 2020. 8. 24. 토론이 실종하고 의심을 힐난하는 시대 어느 사회고 나는 건전성의 지표로 토론 문화를 든다. 그런 점에서 나는 우리 사회가 토론이 아니라 당위의 윽박이 판치는 사회로 본다. 내가 생각하는 바는 추호의 의심도 없이 진리요 팩트라는 믿음이 난무한다. 그런 믿음은 필연적으로 윽박으로 발전하며 그것이 충돌을 빚는 지점에서 살육이 생겨난다. 난 윽박이 살인이요 살육이라 믿는다. 요컨대 의심이 통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의심이 힐난을 낳으니 이것이 어찌 제정신인 사회라 하리오? (2014. 8. 7) 2020. 8. 23. 권력은 언제나 비판해야 한다 권력이 감시와 비판에 항용 노출되어야 하는 까닭은 그것없는 권력은 불법 탈법으로 흐르기 마련이며 그리하여 필연으로 부패하기 때문이다. 예서 더 중요한 무리가 이른바 그들을 저 쪽에 놓고 비판하는 자들인데 저들을 가리키는 말 중의 하나가 비판적 지식인이다. 한데 이 비판적 지식인의 양태를 보건데 그 비판을 실현하고자 거의 필연적으로 내가 권력을 쥐고자 하는 욕망으로 들끓는 장면을 너무나 자주 본다. 나는 이것이 다음의 저급한 발현이라 본다. 내가 대통령이라면... 조선시대 사색당파..나 역시 그것을 조선이 필연으로 멸망으로 가는 지름길로 본 이른바 식민사관엔 본능에 가차운 반발심이 있으나, 작금 한국사회를 보건데 그 재현, 혹은 연장이라는 느낌을 지울 길이 없다. 비판적 지식인은 없고 붕당만 있을 뿐 아닌.. 2020. 8. 23. 이전 1 ··· 306 307 308 309 310 311 312 ··· 4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