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3480 창녕 비봉리유적 출토 통나무배에 대한 국립김해박물관의 해명 혹은 반박 나는 이 블로그를 통해 2019.05.07 17:27(수정기준) 아래 제하 글을 게재했으니, 창녕 비봉리 유적 출토 8천년전 신석기시대 통나무배를 의심한다 그에 대해 뜻밖에도 국립김해박물관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 이 글을 접했는지 5월 15일자로 그에 대한 해명 혹은 반박자료를 보냈다. 내가 이런 반응을 얻고자 게재한 글은 아니어니와, 내가 이해하는 블로그 글이라 함은 자신의 생각은 비교적 자유롭게 펼치는 공간이라 생각하는 까닭에 다음과 같은 김해박물관 측 설명은 실은 놀랍기만 하다. 이와 관련해 나는 두 가지 말을 우선 하고 싶다. 1.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해명 혹은 반박을 부르게 수고를 끼친 점, 국립김해박물관 측에 송구하다는 말을 남긴다. 2. 아무리 가볍게 한 말이라도, 그에 대해 이와 .. 2019. 5. 17. 경주 낭산 기슭 황복사지 발굴성과 "경주 황복사는 신라가 지은 첫 쌍탑 사찰" 송고시간 | 2019-05-15 09:20 길이 6m 정사각형 목탑터 2개 나와…종묘 제단 가능성도소·쥐·돼지·개 십이지신상, 불상도 발견 이번 발굴성과에 대해서는 앞에서 링크한 우리 공장 박상현 기자 기사로 대체키로 하고.... 나아가 현재까지 발굴성과를 요약 정리하는 한편 영어 번역도 시도하려 했지만 가랭이 찢어질 듯한 하루라 사진으로만 일단 갈음한다. 조사단인 성림문화재연구원이 문화재청을 통해 배포한 사진들인데, 원판이 좋지 않아 내가 손을 봤다. 내가 발굴단이 문화재청에 제출한 약보고서를 검토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혹 소개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조사지역 전경인데, 현재는 이보다 조사가 더 진행된 듯하다. 조사단은 탑 앞쪽을 금당구역으로 본 듯하다. .. 2019. 5. 15. Mangwolsa Temple at Mt. Namhansan On the Birthday of Buddha 남한산성 망월사 /南漢山城望月寺 2019. 5. 13. Toki, extinct in Korea 40 years ago, succeeded in artificial breeding 국내서 멸종된 따오기, 40년만에 야생에서 다시 '날갯짓'(종합)송고시간 | 2019-05-08 16:2410년간 피나는 복원 노력 끝에 22일 창녕서 40마리 방사1979년 DMZ서 발견 후 자취 감춰…사냥·농약살포 등으로 멸종 Crested ibis, extinct in Korea 40 years ago, succeeded in artificial breedingGoing back to nature after 10 years of restoration efforts Lastly found in the DMZ in 1979, extinctionized by hunting and spraying of pesticides (Seoul = Yonhap News) Crested ibis (Nipponia ni.. 2019. 5. 12. Home Home Sweet Home 2019. 5. 10. Underwater Excavation Begins off the coast of Taean, 태안 마도해역 수중발굴 시작 바닷속 문화재 보고 태안 마도 수중발굴 재개 Underwater Excavation Begins off the coast of Taean ( Seoul = Yonhapnews Agency )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of Korea said it will conduct an underwater excavation from the 10th to the end of next month off Mado Island in Taean County, Chungcheongnam-do. Connected to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a area is called "the tr.. 2019. 5. 10. 이전 1 ···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58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