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w Reading of History and Histories63

신라가 개발한 일통삼한一統三韓 신라 고구려 백제는 700년을 딴 살림을 차렸다. 외국이었다. 적국이었다. 저들을 쓰러뜨리지 않으면 내가 죽는 원수의 나라였다. 그럼에도 이를 동족국가로 만든 것은 《삼국사기》였으며, 그 주범을 올리면 문무왕이었다. 아비 김춘추 바통을 이어받은 김법민은 고구려까지 멸하자, 그 통일논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삼국은 본래 한 핏줄이라는 의식을 만들어냈다. 이에서 주목한 것이 바로 중국 기록이었다. 보니 《후한서》 《삼국지》가 마침 한반도를 韓이라는 같은 족속으로 그리고 있다는 대목을 발견하고는 그래 이거다 라고 하고는 삼한일통一統三韓, 삼한일통三韓一統 의식을 만들어냈다. 삼한은 본래 하나이므로, 하나로 합쳐야 한다는 논리는 없었다. 결과가 그리되다 보니, 그런 논리가 나중에 필요했을 따름이다. 그런 논리는 추.. 2020. 1. 24.
유향劉向이 말한 통치론 핵심은 무위지치無爲之治 황로학黃老學 전한前漢 중·말기를 살다간 유향劉向이 편한 《설원說苑》 중 제1편 군도君道, 즉 임금이 가야할 길 첫 머리는 이렇다. 진晉 평공平公이 사광師曠한테 물었다. “임금이 가야 할 길은 어떠오”. 대답하기를 “임금의 길은 맑고 깨끗이 하면서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서도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는 데 힘쓰고 어진 사람을 발탁해 일을 맡기며, 귀와 눈은 널리 펴고서 만방을 살피되, 세속에 휩쓸리지 않으면서도 측근들한테 휘둘리지 않아야 하며, 탁 가슴을 연 채 멀리 바라보면서 홀연히 서야 하고, 신하들이 한 일을 잘 살펴서 신하들에게 군림하는 일이니 이것이 바로 임금 노릇하는 요체입니다.” 라 했다. 평공이 말했다. “옳습니다” 晉平公問於師曠曰:「人君之道如何?」對曰:「人君之道清淨無為,務在博愛,趨在任賢;廣開耳目,以察萬方;不.. 2020. 1. 19.
주자지질朱紫之秩을 액면 그대로 색복色服에 가져간 고대 일본 諸王十二階 服色(685年) 服色(690年) 1 明大壱 주화 朱花 2 明広壱 3 明大弐 4 明広弐 5 浄大壱 흑자 黒紫 6 浄広壱 7 浄大弐 8 浄広弐 9 浄大参 적자 赤紫 10 浄広参 11 浄大肆 12 浄広肆 諸臣四十八階 服色(685年) 服色(690年) 1 正大壱 심자 深紫 적자 赤紫 2 正広壱 3 正大弐 4 正広弐 5 正大参 6 正広参 7 正大肆 8 正広肆 9 直大壱 천자 浅紫 비 緋 10 直広壱 11 直大弐 12 直広弐 13 直大参 14 直広参 15 直大肆 16 直広肆 17 勤大壱 심록 深緑 심록 深緑 18 勤広壱 19 勤大弐 20 勤広弐 21 勤大参 22 勤広参 23 勤大肆 24 勤広肆 25 務大壱 천록 浅緑 천록 浅緑 26 務広壱 27 務大弐 28 務広弐 29 務大参 30 務広参 31 務大肆 32.. 2020. 1. 16.
공자가 내친 자색紫色, 천상을 제패하다 《논어論語》 양화陽貨편에 보이는 공자의 말로 다음이 있다. 巧言令色, 鮮矣仁 (교언영색 선의인) 속여서 말하고, 겉만 꾸미는 사람으로 어진 이는 드물다.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말이다. 子曰; 惡紫之奪朱也, 惡鄭聲之亂雅樂也, 惡利口之覆邦家者선생께서 말씀하셨다. 자주색이 붉음을 탈취함을 증오하며 정나라 음악이 아악을 어지럽힘을 증오하며, 번지르르한 말로 나라를 뒤엎는 일을 나는 증오한다. 양화편 이 말에서 유래하는 강력한 제도가 있으니 주자지질朱紫之秩이 그것이다. 주자지질이란 액면대로는 주색과 자색의 질서 혹은 순서라는 뜻이니, 그 뿌리가 바로 '오주지탈주야惡紫之奪朱也'라는 말이다. 나는 자색이 주색의 자리를 탈취하는 일을 증오한다. 저 말을 우리는 액면대로 읽어서 공자가 자색을 싫어하고 붉은색을 좋아했다.. 2020. 1. 16.
비를 오게 하려거든 무당을 불태우라 《김태식의 讀史日記 》 (2) 폭무暴巫와 천견天譴 《고려사절요》 제24권 충숙왕(忠肅王) 기사己巳 16년(원 천력天曆 2년. 1329) 여름 5월조에 이런 말이 보인다. 聚巫,禱雨六日,巫苦之,皆逃匿,搜捕者遍閭巷。史臣白文寶曰 : 燮理陰陽,宰相職也,旱氣太甚,尤當敬畏,以答天譴,曾是不思,而徒責雨於巫覡,豈不謬哉。 무당들을 모아 6일간이나 기우제(祈雨祭)를 올리게 하니, 무당들이 괴로워하여 모두 도망쳐 숨었다. 그래서 민가를 두루 뒤져서 잡아갔다. 사신(史臣) 백문보(白文寶)가 말했다. “음양을 조화시키는 일은 재상의 직책이다. 가뭄이 매우 심하면 마땅히 더욱 공경하고 두려워함으로써 하늘의 견책에 응답해야 할 것인데, 이것은 생각지 아니하고 무당ㆍ판수에게만 비내리는 책임을 지우니, 잘못이 아니겠는가" 이 대목이 《.. 2020. 1. 14.
결혼은 해가 진 밤에 했다 남송시대 사람 우무尤袤(1127?~1194?)가 엮은 《전당시화全唐詩話》 권 제1 ‘고종高宗’에 보이는 한 대목이다. 太平公主,武后所生,后愛之傾諸女。帝擇薛紹尚之。假萬年縣為婚館,門隘不能容翟車,有司毀垣以入。自興安門設燎相屬,道樾為枯。當時群臣劉禕之詩云:〔夢一作蔓。梓光青陛,穠桃藹紫宮。〕元萬頃云:〔離元應春夕,帝子降秋期。〕任希古云:〔帝子升青陛,王姬降紫宸。〕郭正一云:〔桂宮初服冕,蘭掖早生笄。〕皆納妃出降之意也。 태평공주太平公主는 무측천武則天 소생으로, 황후의 그에 대한 사랑이 다른 딸을 압도했다. 황제가 설소薛紹를 사위로 골라 시집을 보냈다. 만년현萬年縣을 골라서 혼관婚館으로 삼았으니, 문이 좁아 적거翟車가 지날 수 없어 담당 관청[유사有司]에서는 담장을 헐어 들어가게 했다. (황후가 행차하는) 흥안문興安門에서부터 (만년.. 2020.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