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06

니네베에서 아슈르바니팔 왕 아시리아 부조 발굴 Assyrian relief of King Ashurbanipal unearthed in Nineveh By Dario Radley On May 15, 2025니네베에서 아슈르바니팔 왕 아시리아 부조 발굴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고고학자들이 이라크 니네베Nineveh에서 아슈르바니팔 왕의 북쪽 궁전Ashurbanipal’s North Palace 왕좌실throne room을 조사한 결과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최근 몇 년간 이 지역에서 발견된 유물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이 아시리아 왕 부조를 발견했다고 이 대학이 밝혔다. 이 대형 옅은 부조는 길이 약 5.5미터, 높이 3미터, 무게 12톤에 달한다.기원전 669년부터 631년까지 아시리아 제국 마지막 위대한 왕 아슈르바니팔Ashu.. 2025. 5. 16.
인간과 개, 함께한 시절이 물경 2~3만년? Deep within Chauvet-Pont d'Arc Cave in France, archaeologists discovered the footprints of an 8-to-10-year-old child preserved in ancient mud, dating back an astonishing 26,000 years. Alongside these human prints were the paw marks of what experts believe to be either a large dog or a wolf, making this the oldest known evidence of a human-canine relationship. 프랑스 쇼베-퐁다르크 동굴 깊숙한 곳에서 언필칭 고고학도라는 친구.. 2025. 5. 16.
정조대는 없었다 정조대는 존재했을까?저를 심층으로 다룬 아티클 하나를 본다. 내가 구독하는 라이브 사이언스에 실린 기사다. 정조대는 중세 여성들이 성관계를 막기 위해 착용했다고 전해지는 장치로, 대중문화에서 정절을 강요하는 극단적인 수단으로 자주 언급된다.하지만 놀랍게도 이 정조대는 대부분의 정통 중세 문헌에서 누락되어 있어, 초기 역사가들은 당혹감을 느꼈다. 그렇다면 정조대는 무엇이며, 여성들은 실제로 정조대를 착용했을까? 2010년 정조대의 역사에 대한 전시를 선보인 부다페스트의 제멜바이스 박물관Semmelweis Museum 큐레이터에 따르면, 정조대는 기사들이 전투, 순례, 또는 종교 십자군 전쟁에 나설 때 여성의 무분별한 성적 방종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입된 것으로 여겨졌다. "중세의 정조대: 신화를 만드는 과정.. 2025. 5. 16.
인류사 비밀은 토모그래픽 맵 Topographic Map에 있다 이런 지도를 아마 요새 3D Render Topographic Map 이런 식으로 부르지 않나 하는데 이런 토모그래픽 맵이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한테는 무미건조한 평면도보다 더 중요하다. 이탈리아 반도와 그 주변을 볼 적에 거대한 산맥들이 시칠리아까지 반도를 관통하고그 북쪽에는 더 거대한 알프스 산맥이 가로막고 있으며 그 건너편 아드리아 해변을 따라서도 거대한 산맥이 펼쳐짐을 본다. 북부를 보면 거대한 평원이 펼쳐지는데, 저 평원 한 복판을 포강이 흐른다. 결국 저쪽은 충적평야지대다. 저런 데 비가 자주 오면 홍수로 난리를 피지만, 이건 저쪽에 사는 외우 안종철 교수 같은 이나 체감하는 문제이며 그런 비가 아니라 해도 저 포강은 언제나 수원을 알프스 산맥 만년설에서 공급받는다. 한반도는 만년설이 없다... 2025. 5. 16.
인류 14,500년 전 남미 대륙 끝자락 도달 139개 원주민 집단 유전체 분석 결과"원주민 유전 특성을 고려한 질병 예방 전략 수립해야" Humans reached southern South America by 14,500 years ago, genomes from 139 Indigenous groups reveal By Kristina Killgrove published 3 hours agoA large-scale genome study shows that Indigenous peoples in the Americas split off several times, resulting in loss of important genetic diversity. 대규모 유전체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카 원주민은 여러 차례 분열되어 중요한 유전적 다양성을 상실한.. 2025. 5. 16.
초야잠필草野簪筆, 세월이 흘러가며 다시 읽는 글귀 필자가 언젠가 연려실기술 서문이 정말 명문이라는 이야기를 했었던 바이 글도 나이가 들어가면서 가끔 읽어 보면 마음에 남는 이야기가 달라지는 글의 하나다.작자의 진솔한 감정이 들어있는 명문이니 더 그럴 것이다. 나도 연려실 선생처럼 늙어가는데 뭐 하나 제대로 이룬 것이 없다는 자탄만 늘어날 뿐이다. 번역을 올린다. 내가 열세 살 때에 선군先君을 모시고 자면서 꿈을 꾸었다. 꿈에 임금이 거둥하시는 모습을 여러 아이와 길가에서 바라보고 있었는데, 임금께서 갑자기 연輦을 머물게 하시고, 특별히 나를 불러 앞에 오라 하시더니, “시를 지을 줄 아느냐.” 하고 물으셨다. “지을 줄 압니다.” 하고 대답했더니 임금께서, “지어 올리라.”고 하셨다. 내가 “운韻을 내어 주소서.” 하였더니, 임금께서 친히, “사斜.. 2025.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