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비파형동검은 이란에서? 청동단검이란 서부,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2600년경.보스턴 미술관 소장Bronze daggerWestern Iran, Early Dynastic Periodabout 2600 BCE.Now at Museum of Fine Arts, Boston루리스탄 Luristan 언덕에서 발견된 이 단검은 우르 Ur 왕실 묘지에서 발굴한 단검과 거의 동일하다.음..비파형동검이 지금 보니 이란에서 왔군. 루리스탄 청동단검과 그 문화에 대해서는 아래 참조 이란고원 루리스탄 청동기물 Luristan bronzes 속 청동 단검 2024. 5. 22. '근대 일제'를 몰아낸 참상에서 자란 독버섯들 김제 벽골제가 농경지 농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제방인가, 아니면 바닷물 침수를 제어하기 위한 수갑水閘, 곧 dock인가 하는 논쟁이 대대적으로 붙은 적이 있었다. 내 기억에 후자를 제기한 이는 일본인 고고학도 아니면 농업고고학도였을 것이며 그에다가 제대로 불을 붙인 이는 한국에서 농업경제학도 이영훈이었다. 이 논쟁은 선후관계는 내가 지금 기억에 의존하는 까닭에 자신이 없는데 느닷없는 만경평야 논쟁으로 발전해 다시 이영훈은 느닷없이 소설가 조정래를 끌어들여 두 사람이 대판 맞붙은 일대 논쟁으로 비화했다. 이 벽골제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만경평야 문제도 결단 나니 그 논쟁이 그만큼 치열할 수밖에 없었으니, 나는 이 논쟁이야말로 21세기에 벌어진 제대로 된 논쟁 중 하나로 본다. 물론 양측은 감정싸움으로 발.. 2024. 5. 21. 강안 충적대지가 평야라는 환상, 풍납토성의 경우 물이 제어되지 않는 강안 충적대지는 그때나 지금이나 무용지물이라 철새도래지로는 의미가 있을지 모르지만 사람이 상거하거나 상시 농경지로는 이용할 수 없는 황무지에 지나지 않는다.식민지시대 아차산성에 촬영한 한강과 그 너머 풍납토성 일대 지금의 풍납동이다.저 넓은 강안 충적대지는 사람 살 데가 아니었다.걸핏하면 물이 들이치는 상습침수 구역이기 때문이었다.을축년 대홍수 직후 풍납토성이다.저 넓은 충적대지가 온통 황무지였으며 무허가 부랑인 움막 몇 채가 있을 뿐이었다.같은 시절 풍납토성 내부다.저 넓은 20만평이 다 버려졌다.왜?물이 통제되지 않은 강안 충적대지는 아무짝에도 쓸모없었다.함에도 왜 강안 충적대지 평야라는 등식이 오도되고 있는가?첫째 물이 통제되기 시작한 20세기가 심은 환상이라 이를 아득한 선사시.. 2024. 5. 21. 한국은 전면적 도작 농경 사회가 아니다 한국은 기후나 위도로 볼 때 도작농경이 전면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이 아니다. 정확히는 도작과 잡곡이 혼재되어 존재한 혼합농경지역으로 중국에서는 황하유역과 양자강 사이 지역 정도에 해당한다. 물론 이것도 한반도나 그렇다는 것이고 더 북상하여 한반도 북부의 북쪽을 상회하면 그나마 있던 도작도 사라지고 완전한 잡곡문명지대가 펼쳐진다. 이것이 고구려, 부여 문명이다. 순수한 도작 문명에 더 근접한 사회는 한반도에서 도작을 받아간 일본이다. 여기는 잡곡보다 도작이 중심이 되어 논의 비율도 우리보다 높았다고 생각된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한반도 남부지역 논 비율이 대략 30-40퍼센트 정도로서 밭의 비율이 한반도 전역에서 매우 높았다. 이 정도라면 순수도작사회라고 보기 어렵고 중국의 예를 보자면 혼합농경사회다. 한.. 2024. 5. 21. 곡창지대는 수리조합의 유산이다 지금 우리가 평야라 일컫는 데는 그 역사를 불과 백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모조리 갈대밭이라 봐도 대과가 없다. 왜? 그 평야는 강안 충적대지라 상습 침수 지역인 까닭이다. 이는 실제 발굴로도 명백히 드러나는데 평야지대라 해서 파제껴서 나루터나 보 같은 시설이면 몰라도 일반 집터 관공서 같은 건 흔적도 없다. 이걸 모르고 과거 평야지대, 그러니깐 충적대지를 잘 걸렸다 해서 시굴트렌치 넣고 하지만 넣어봐라 뭐가 나오는지. 눈꼽만큼도 안나오고 논이니 밭이니 하는 것들은 모조리 일제시대 이래 농경지에 지나지 않는다. 이 일제시대 이후 농경지를 무슨 조선시대 이전 농경지라 우기는 연구자도 내가 봤다. 이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 논농사 벼농사 그 자체가 실은 환상이다. 강안 충적대지가 범람원이란 말은 벼농사.. 2024. 5. 21. 야요이 정착촌의 논과 밭 대륙계 야요이인의 정착촌과 주변의 논. 야요이 마을 주변에는 항상 논이 있다. 복원된 야요이 마을 주변에도 논이 천지다. 일본의 논농사는 대륙, 정확히는 한반도를 경유해서 전달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청동기시대 마을도 저렇게 논에 둘러싸여 있었을까? 중요한 것은 중국의 잡곡농경-혼합농경-도작농경의 지도를 보면, 한반도의 경우 남해안 일대를 제외하면 그 이북은 혼합농경지대로서 청동기시대 마을이라고 해서 논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았을 것 같다는 말이다. 아마 논보다 밭이 훨씬 많지 않았을까? 논이 밭과 거의 비슷한 비율을 점한 것은 아마도 한반도 남해안이 되면 그럴지 모르겠지만 이것도 알 수 없다. 중요한 것은,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도작이 전달되었다고 해서 그 마을의 구조, 마을 주변의 논과 밭의 비율.. 2024. 5. 21. 이전 1 ··· 108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 36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