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호북성 양양襄阳에서 출현한 남북조시대 화상전画像砖 가족묘 호북성 양양襄阳에서 남북조시대 화상전画像砖 가족묘 발굴2023년 6월~9월 호북성문물고고연구원湖北省文物考古研究院과 양양시문물고고연구소襄阳市文物考古研究所 합동 조사팀은 왕채묘지王寨墓地 3차 발굴 작업을 진행한 결과 남북조시대 가족묘를 확인하고 그에서 다양한 주제와 풍부한 콘텐츠를 구비한 화상전画像砖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왕채 묘지, 곧 왕자이 묘지 Wangzhai Cemetery 는 양양시襄阳市 번성구樊城区 왕채사구王寨社区에 위치하며, 동쪽은 한강로汉江路, 남쪽은 대리구大李沟, 서쪽은 와룡대도卧龙大道, 북쪽은 중원로中原路로 둘러싸고 있다.2018년부터 2019년까지 양양시문물연구소는 이곳에서 두 차례 구제 발굴 작업을 진행해 서한 시대 이래 당송 시대에 이르는 무덤 290여 기를 발굴하고 다양한 문.. 2024. 5. 22.
북위 커플의 매장 자세를 보며 껴안고 묻힌 북위 커플 김단장께서 올리신 북위 커플의 매장 자세를 보면 이 인골은 정말 필자로서도 새삼스럽게 놀라게 된다. 커플이 한 무덤 안에서 서로 마주보며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꽤 있다. 필자도 이전 인도 발굴에서 부부합장묘로 보이는 케이스를 하나 보고하여 BBC에 보도된 바가 있었다. https://www.bbc.com/news/world-asia-india-46806084?fbclid=IwAR0UyI9W4nwPPH8FJbe5MKRPINwxzNXa5YQlVTFmsf0VzSsmkivmRbW562Y 이외에도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정도의 인골은 보았지만, 이 경우처럼 서로 안고 있는 자세의 인골은 필자는 정말 처음 보는것 같다. 저런 자세가 나오려면, 1. 일단 추가장은 아니다. 두 사람이 거의 비슷.. 2024. 5. 22.
삼국지 동이전의 "稻"와 도작중심의 사회 삼국지 동이전에는 벼를 뜻하는 稻가 딱 두 군데 나온다. 어디인가 하면 바로 변진과 왜이다. 변진: 土地肥美, 宜種五穀及稻, 曉蠶桑, 作 布, 乘駕牛馬.왜: 種禾稻·紵麻, 蠶桑·緝績, 出細紵· . 흔히 삼국지 동이전에 나오는 "오곡"에 벼가 포함되는가 아닌가 하는 것으로 설왕설래하는 모습을 보는데, 삼국지 동이전에서는 오곡과 벼를 구분해 썼다. 위에 변진조 문구를 보면 알 것이다. 宜種五穀及稻한반도 북부의 여러 나라에는 오곡은 있지만 벼=도는 기록에 없다. 부여: 土地宜五穀옥저:  其土地肥美, 背山向海, 宜五穀, 善田種. 읍루: 有五穀·牛·馬·麻布.여기서 말하는 "오곡"이란 곧 우리의 잡곡을 말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물론 벼 재배가 변진과 왜에서만 있었다는 것은 아닐 것이다. 특히 한반도 서북부 평양일.. 2024. 5. 22.
공구리의 등장과 함께 물은 통제되기 시작했다 이 공구리가 초래한 혁명을 여러 번 간헐로 지적했지만, 내 경험에 따라 다시금 이 공구리가 얼마나 대단한 혁명인가를 각인하고자 한다. 내가 자꾸 이 얘기를 하는 까닭은 내가 고고학 개설 집필을 생각 중이며 그 시작은 모름지지 바로 저 공구리 혁명과 그것을 기반을 삼은 아파트 혁명으로 시작하려 하기 때문이다. 공구리와 아파트, 그리고 그것을 지탱한 또 다른 힘, 곧 철근이 결합한 철근콘크리트는 인류문화사에서 물을 피해 강믈 범람을 피해 줄행랑을 거듭한 인류가 비로소 물을 정복할 수도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었고 이런 자신감은 마침내 인류 출현 이래 인류가 동굴로, 언덕으로 도망치기에 바빴던 인류를 비로소 평야지대로 내려온 발판이었다. 평야 혹은 평지로 내려오면서 그 터전인 농경지도 같이 내려왔다. 물 없이는.. 2024. 5. 22.
껴안고 묻힌 북위 커플 1천600여 년 전 북위(386-534)로 거슬러 올라가 연인 한 쌍이 서로 껴안은 모습으로 묻힌 무덤에 대한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고. (최근이라 하지만 2021년의 일이다.) 이 무덤은 2020년 중국 산시성 Shaanxi province 다퉁시 Datong city 에서 발굴됐다.연구자들은 이 커플이 서로의 허리에 팔을 감고 있는 상태로 위치해 있고 그 여성 얼굴이 그 남자 어깨에 눌려 있는 것을 발견했다.어찌된 일일까?분명 남자 골격은 그의 오른팔에 치유되지 않은 부상 징후를 보여준다. 이 여성은 다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연구원들은 여자가 그와 함께 묻히기 위해 그 남자가 죽은 후 자살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이른바 순사殉死다.순사라 해도 강요된 윤리일 수도 있다.순장殉葬이라 해서 부인을 .. 2024. 5. 22.
황소를 잡아먹으려는 사자를 도안한 리디아 황금 주화 세계 최초의 진정한 금화라 해서 소개하는데 사연인즉슨 이렇다. 일렉트럼 electrum 을 순은과 금으로 분리하는 정제 과정을 개척한 크로이소스 Croesus 왕 치하 리디아인들 Lydians 은 기원전 550년 무렵 혁명적인 바이메탈 주화 시스템 bimetallic coinage system 을 도입한다. 저 사진 금색 크로이소스 스테이터 stater 는 그에 해당하는 은색 스테이터 10개와 같은 가치를 지녔다. 교환 비율이 그랬다는 뜻이다. 저 금화 하나랑 다른 은화 10개를 같은 값으로 쳤단 말이다. 금과 은으로 만든 주화니 액면가와 실제 가격이 대략 일치했으리라 보면 되겠다. 한데 황소를 마주보며 포효하는 사자를 묘사한 저 도안이 흥미롭다. 도대체 뭘까? 아마도 그리스 최고신 제우스를 상징하는 황.. 2024. 5.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