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경기학예연구회 학술총서] 학예연구사가 바라본 경기도의 문화 경기학예연구회(회장 구본만)에서 첫 번째 학술총서를 간행했습니다. 그동안 경기학광장에 기고한 글들과 중부일보에 연재한 전통사찰 연재기사를 모아 “학예연구사가 바라 본 경기도의 문화”라는 제목의 학술총서가 세상에 나왔습니다. * 발행일 : 2024년 4월 * 판 형 : A4(21X29cm) * 쪽 수 : 392쪽 * 발행처 : 경기학예연구회(비매품) 본 총서 간행을 위해 애써주신 구본만 회장님 이하 임원진분들, 작성한 원고를 기꺼이 내주신 각 지역 학예연구사 선생님들, 그리고 편집과 인쇄까지 전 과정을 위해 애써 준 김대순 선생님께 제일 감사드립니다. 2024. 5. 23.
탈레반이 녹여버린 불교 금화 이 주화는 아마도 초기 인도-이란 정착지가 있었을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의 조우잔 Jowzjan 주에서 발견되었다.붓다 시대 이래 한동안 불교는 aniconic 애니코닉 이었다. (Aniconism은 간단히 말해 그런 신념을 조각 같은 구상으로 표현하지 않는 전통을 말한다. 불교는 애초 태동기에는 불상이 없었다. 나중에 마케도니아 그리스 영향 아래 불상을 만들기 시작한다.) 이는 이 주화가 가장 이른 것은 아닐지라도 그 시절 유물 중 하나일 가능성을 높인다.금화는 한 남자 전사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이 동전과 같은 시대 그 무덤은 기원전 1세기 말에서 서기 1세기 초로 거슬러 시대가 올라간다.이 금화는 아프간 카불박물관 Kabul Museum이 소장했으나 2001년 3월 탈레반 Taliban 이 파괴하거나.. 2024. 5. 23.
야요이인은 단순히 인구압에 의해 이주한것이 아니다 한반도에서 청동기시대에 인구압에 의해 일본열도로 이주가 시행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물론 이 말도 틀린 말은 아닌데, 한 가지 생각해 보아야 할 부분은, 현해탄을 경계로 과연 한국의 청동기시대와 일본 야요이시대 초창의 촌락이 비슷한 방식으로 도작을 하고 있었는가 하는 게 문제겠다. 필자가 생각하기엔, 일본이 논의 비중도 훨씬 높고, 잡곡에의 의존도도 낮았던 것 아닌가 싶다. 이것은 물론 향후 학계의 연구로 밝혀져야 할 부분이다만... 그러고 보면, 야요이인은 우발적으로 열도에 건너간 사람들도 아니고, 인구압 때문에 아무 생각없이 짐 싸들고 현해탄을 건넌 사람들도 아니다. 일본열도의 기후가 벼농사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어떤 이유에서든 터득하고, 자신들이 한반도에서 시행하던 도작과 잡곡 중 도작에 훨씬 집중하.. 2024. 5. 23.
글씨로 만난 천하의 친일파 김대우 "하나, 우리는 황국신민이니 충성으로써 군국에 보답한다(一、我等ハ皇國臣民ナリ忠誠以テ君國ニ報ゼン。)." 그 유명한 1조다. 1937년 조선 총독으로 부임한 미나미 지로(1874-1955)가 이른바 '내선일체'를 주장하며 조선인들로 하여금 '황국신민'의 의무를 다하게 하기 위해 조선총독부 학무국에 만들게 한 맹세문이다. 그런데 이 를 만든 건 일본인이 아니었다. 당시 학무국 촉탁으로 있던 이각종(1888-1968?)이 초를 잡고, 사회교육과장 김대우(1900-1976)가 수정 완성한 뒤 총독에게 보고하고 배포했다고 한다. 여기까지만 봐도 '김대우'라는 인물이 누구인지 대략 감이 잡힐 것이다. 과연 그는 일제 말 출세에 출세를 거듭해 전북도지사, 경북도지사까지 역임했고 해방 후에는 반민특위에 체포되기까지 한다.. 2024. 5. 23.
도작과 잡곡의 결합 최근 나오는 이야기의 하나가, 도작과 잡곡 농경의 기원을 분리하여 보는 것이다. 잡곡 농경은 도작이 본격화하기 전 족보도 없는 원시 농경이 아니라 두 가지 농경이 완전히 별개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 농경의 흐름이 한반도 어딘가 (아마도 서북부-중부)에서 결합되어 도작과 잡곡이 혼작되는 혼합농경의 형태로 남하하다가 한반도 남부 어딘가에서 다시 도작의 밀도가 더욱 높아지고 이 흐름이 그대로 일본으로 이어져 야요이시대로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잡곡 농경의 기원을 소급하여 따라 올라가면 부여-고구려에 요하 지역의 신석기시대 농경까지 올라간다는 것이고, 도작은 이와는 달리 산동반도-요동반도를 거쳐 유입되었으므로 양자는 한반도 서북부 언간에서 만나 한반도 혼합 농경으로 완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2024. 5. 23.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유기鍮器 생활> 이화창립 138주년 기념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2024년 5월 29일(수)부터 공개됩니다. *** Editor's Note ***  구리 품귀 시대에 유기를 어떤 방식으로, 어떤 시각으로 접근할 것인가?  추후 좀 자세한 소식으로 정리해보겠다. 2024. 5.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