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3

Vendel 시대 스웨덴 쇠투구 스웨덴 Valsgärde에서 발견된 벤델 Vendel 투구는 서기 550년부터 800년까지 이어지는 Vendel 시대 중요한 유물 중 하나다. 이 헬멧은 Gamla Uppsala 근처에 위치한 농장인 Valsgärde 선묘船墓 boat burial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투구는 매우 세밀하며 그 시대 장인정신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로 간주된다. 이는 현장에서 출토된 배무덤 15기 중 하나인 배무덤 8에서 발견됐다. 배를 무덤 내부 관처럼 쓴 이곳 배무덤 매장지 출토품에는 무기, 갑옷, 보드 게임과 같은 여가용 물품을 포함한 다양한 기타 부장품도 포함된다. Valsgärde의 Vendel 투구는 철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Vendel 시대 중요한 유물로 보존되어 있다. 내가 구독하는 고고학 그룹 소개물인데 번역.. 2024. 4. 9.
자발백수, 마침내 화장장에 발을 담그며 이른바 장사시설 문제를 다루는 자리에 언뜻 어울리지 않는 이름이 있다. 안다 내가 끼기는 곤란한 자리란 것쯤은. 다만 저런 자리에 전공 외 기자가 끼는 경우는 딱 한 가지인데 언론보도에 나타난 무슨 경향 이런 분석이 그것이라 이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저런 자리를 왜 마련하는지 삼척동자도 안다. 장사시설이 이른바 대표적 혐오시설로 간주되어 그 건립 필요성은 누구나 인정하나 우리집 마당은 안된다는 이른바 님비신드롬과 연동하는 문제로 애초 주최측에서 나한테 요구한 것이 있었지만 난 거부하고는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저런 통념은 언론이 심은 것이니 언론이 책임져야 한다는 말을 듣고 싶었겠지만 나는 그 시각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 문제를 고민하고자 해서 나름대로는 진단이라 해서 몇 마디 던지고자.. 2024. 4. 8.
도쿄 vs. 東京, 교토 vs. 京都 이게 나 자신이 생각이 완전히 바뀐 대목인데, 또 그것이 현행 외래어 표기법과는 전연 다르기는 한데, 갈수록 일본어 표기는 한국어 발음대로 해주는 편이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현재 발음 중시가 나름 장점이 있고, 그렇게 하는 이유조차 거부하고 싶지는 않으나, 갈수록 현재의 한국어 발음으로 해주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며, 실제 적어도 이 THE GHERITAGE TRIBUNE에서 내가 쓰는 글은 의식적으로라도 그리 쓰려 한다. 저게 낫다 생각하는 이유는 그래야만 본래 의미가 확연히 잘 드러나는 까닭이다. 도쿄 vs. 동경東京, 교토 vs. 경도京都의 경우 어느 쪽이 의미가 명확한가? 말할 것도 없이 후자들이다. 경도는 그곳이 본래 일본국 도읍인 까닭에 도읍을 의미하는 경도에서 비롯했고, 동경은 말할 것도 없.. 2024. 4. 8.
범중엄이 숨쉬는 일본 토쿄 고라쿠엔 일본에서 고라쿠엔은 한국에도 잘 알려져 있다. 일본 야구의 메카. 그리고 필자가 어렸을 때 프로복싱 한일전은 항상 "고라쿠엔 경기장..."에서 이루어졌다. 고라쿠엔은 일본에 여러 곳에 있기 때문에 정확한 명칭은 小石川後楽園 코이시카와 고라쿠엔이며, 에도 막부시대 소위 말하는 도쿠가와 고산케의 하나인 미토번의 번저 후원이 바로 코이시카와 고라쿠엔이다. 메이지 유신 이후 동경에 있는 미토번 번저는 모두 몰수되어 군사시설로 전용되었다. 지금은 프로야구 도쿄돔 바로 옆에 공원으로 남아 있는 것이 바로 코이시카와 고라쿠엔이다. 고라쿠엔은 한자로는 後楽園으로 쓴다. 무슨 뜻일까? 그렇다. 바로 범중엄의 "악양루기"에서 왔다. 嗟夫!予嘗求古仁人之心,或異二者之為,何哉?不以物喜,不以己悲。居廟堂之高,則憂其民;處江湖之遠,則.. 2024. 4. 8.
바다가 없는 돈황이 선사하는 성당시대 항해 장면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 제45굴 성당盛唐시대 벽화 한 장면이라 “해선우난海船遇难”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모양이라, 바다 배가가 조난을 만난다 뭐 이 정도 의미일 것이다. 바다를 항해하는 큰 배를 무대로 큰 돛대가 우뚝하고 그 돛대로 돛이 활처럼 활약 펼친 모습이라 한창 바람을 받고서는 항해하는 광경임은 분명하거니와, 이 장면을 묘사한 묵서가 있는데, 저건 살피지 못했다. 돈황은 내륙 한창 들어간 지점이라 바다는 구경도 못하는 데인데, 저와 같은 소개를 그려 놓은 점이 이채롭다 하겠다. 이 배는 아마 상선이 아닌가 하며, 근해보다는 원해를 항해했을 것이다. 한데 배가 조난했다는 건 어디에서 토대를 둔 주장인가? 선상에는 항해를 지휘하는 사람과 노를 젓는 사람들이 보인다. 요새 하도 중국 수중고고학 자료를 뒤지.. 2024. 4. 8.
머리 수염 깎고 중이 되는 파란눈의 외국인들 과주瓜州 유림굴榆林窟 제16호굴第16号窟 벽화 중 한 장면이라 이를 보면 외국인이 머리와 수염을 깎는 장면을 묘사한다. 일부러 그런 장면을 연출했을 텐데, 한 사람은 머리카락을, 다른 사람은 수염이 짤리는 중이다. 삭발하고 수염을 깎도록 몸을 맡긴 사람은 눈이 푸른색이고 수염과 머리카락은 붉은색이라 외국인으로 묘사했음을 엿본다. 그들은 어떻게 이곳에 왔고 어찌하여 승려가 되었을까? 모를 일이다. 삭발 삭염하는 순간을 포착한 사람들 표정이 묘하다. 겁먹은 듯도 하니, 억지로 출가했나? In Cave No. 16 of Yulin Caves in Guazhou, we saw a mural depicting the scene of red-haired foreigners shaving their heads and.. 2024.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