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1 망향휴게소 여명의 동상 우리는 줄기차게 전진한다. 초국근대화와 민족중흥의 위대한 사명감 속에서 보람찬 내일로 향하여 전진하는 우리들의 슬기와 힘을 집결하여, 새 역사를 이룩하려는 오늘의 단결 오늘을 불사르는 우리들의 열중 더욱 잘살기를 다짐하는 우리들이 의지 날마다 조국의 모습은 새로워지고 아침마다 더욱 찬란한 태양이 조국을 비쳐준다. 오늘 흘린 우리들의 땀 한 방울이 내일이면 -백배의 결실을 가져올 것을 확신하고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영광된 조국의 영원한 번영을 다짐하며 오늘의 축복속에서 영롱한 무지개가 뻗쳐있는 보람찬 내일로 우리들은 줄기차게 전진한다. 조각 강태성 글 박목월 글씨 서희환 1977년 3월 일 문화공보부 한국도로공사 세움 ***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망향휴게소 이 조각은 무심히 넘기다가 오늘에서야 명문을 보고선.. 2024. 3. 2. [1차 고려거란전쟁] (6) 압록강이 경계로 확정되고 담판 결과에 따라 이제 고려 거란은 새로운 관계에 접어들었다. 그 이전 고려는 명목상 종주국을 宋을 삼았지만, 협약에 따라 이제 종주국을 거란으로 바꿔야 했다. 대신 고려는 여진이 점거한 청청강~압록강 유역 땅을 할양받았다. 두 군대가 철군한지 몇 달이 지난 고려 성종成宗 13년 2월, 거란에서는 저번 특사 겸 고려정벌군 총사령관 소손녕蕭遜寧 명의로 고려 조정으로 편지 한 통을 날린다. “근래에 황제의 명[宣命]을 받들기를, ‘다만 고려 신의와 호의로써 일찍부터 통교通交하였을 뿐 아니라 국토도 서로 맞닿아있노라. 비록 작은 나라로써 큰 나라를 섬기는 데에 반드시 규범과 의례가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시작을 잘 궁구하여 마지막을 잘 맺는[原始要終] 길은 모름지기 〈우호관계를〉 오래도록 유지하는 데에 있다 하.. 2024. 3. 2. 1933년 천연기념물 이전의 천연기념물 한국문화재사 흐름을 간취하면 1916년(대정大正 5)에 공포된 ‘고적 및 유물 보존규칙’과 1933년(소화昭和 8) 8월 제령 제6호로 공포된 ‘조선 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 보존령’이 획기를 이룬다. 이 두 차례 법 정비를 통해 우리가 아는 문화재가 비로소 탄생하는 까닭이며, 저를 통해 마련한 골격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까닭이다. 무엇보다 저를 통해 과연 무엇이 문화재인지 개념과 실체가 윤곽을 드러냈다. 그 이전에는 무엇이 문화재인지 그 어떤 개념도 없었고 범주도 없었다. 특히 1933년 ‘조선 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 보존령’은 명칭이 시사하듯이 무엇이 문화재인지를 확실히 규정했다. 물론 문화재라는 말은 저때도 아주 간혹 보이기는 하는데, 훗날 저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착한다. 문제는 명승과 천연.. 2024. 3. 2. Western Han-era Gold Discs [금병金餠] 금병金餠 서안시西安市 미앙구未央區 당가향潭家鄕 동쪽 10리 포촌鋪村 출토. 섬서역사박물관陕西历史博物馆 소장 gold discs, western han dynasty(206 bc~8 ad), excavated from dongshilipu village, tanjia town, weiyang district, xian city, china. Housed at Shaanxi History Museum 병금餠金이라고도 한다. 도합 219매枚가 출토됐다. 각 매당 무게는 227.6~254.6g, 총중량 54116.1g이다. 서한시대 금병 출토량 중 단일 유적으로 최대다. 금병 대부분에는 문자나 부호, 혹은 인장 등이 확인된다. 이들이 화폐로 유통된 것은 아니며 단순히 선물 같은 걸로 활용됐다. (이상은 섬서성박.. 2024. 3. 2. 未央의 경우, 한대漢代 유물 vs. 한대에 해당하는 유물 '未央미앙'이라는 글자를 적은 그릇이다. 출토지는 남월국南越國 궁서유지宮署遺址 남월국 문화층이다. 서안 혹은 낙양에서 출토된 것과 같은 유물이 발견된다 해서 그것을 한대漢代 유적 혹은 유물이라 설명하는 도식은 재앙이다. 그래서 저 미앙이라는 글자가 적힌 유물이 출토한다 해서, 그 만든 시기가 한대漢代에 해당한다 해서, 그 양식이나 제조기법이 낙양이나 장안에서 만든 한대의 그것과 똑같다 해서, 그래서 저런 유물을 출토하는 데가 漢나라 영역인가? 아니면 장안성 미앙궁未央宮 분관이란 말인가? 내가 늘 말하듯이 한대漢代 유적 유물과 한대에 해당하는 시기에 만든 유적 유물은 반딧불과 번갯불 차이만큼 크다. 이는 고고학 기본 중의 기본인데 둘을 혼동하는 망말이 다름 아닌 한국고고학에 횡행한다. 장안이나 낙양에서 보.. 2024. 3. 2. 국립이 국립을 억압하고, 국립이 공립을 탄압하며, 공립이 공립을 말살하는 시스템은 혁파해야(1) 1. 국립을 억압하는 국립 국립이 국립을 억압한다 함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다른 부처 국립박물관을 짓누른다는 뜻이다. 다음으로 국립이 공립을 탄압한다 함은 국가박물관이 지자체가 운영 주체인 공립박물관을 탄압한다는 뜻이며, 공립이 공립을 말살한다 함은 같은 지자체에서 공립이 다른 공립박물관을 억제 견제한다는 뜻이다. 무슨 말인가? 첫째 국립이 국립을 억압한다 함은 절대 근거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약칭 박물관미술관법 혹은 박미법)에서 비롯하는데, 이 법이 실은 박물관미술관 진흥이 아니라 그 억압법임은 당장 그 제5조의3(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 시행계획 등)을 보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 장이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할 때는 시행계획에 따른 추진실적을 문.. 2024. 3. 2. 이전 1 ··· 1235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 36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