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1 베트남역사박물관 소장 798년작 동종 정원貞元 14년이라 하니 798년 작 동종이다. 성덕대왕 신종보다 제작 시기는 조금 늦다. 8세기대 동종이 세계를 통털어 몇 점 되지 않는다. 개중 한 점이 이곳 베트남역사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사진 촬영은 불허하며 큰 카메라는 못 가져 들어가게 하는 바람에 폰카로 몰래 몇 장을 찍었다. 찍어도 그리 정색하며 제지하진 않는다. 이 역사박물관엔 제법 볼 만한 것들이 있으나, 전시 환경이 좋지는 않다. (2017. 3. 2) 2024. 3. 2. AI로 증폭한 ‘요화妖花’ 배정자 친일파 연구자로 유명한 정운현 형이 마침 근자 여러 남자를 전전한 배정자라는 여인 이야기를 정리한 글을 올렸으므로 심심해서 요새 재미 붙인 AI 사진 증폭 기술을 이용해 과연 저 여성이 어떤 면모를 지녔기에 그리 식민지시대 어간에 그리 유명세를 구가했는가를 구명해 보고자 했다. 앞 사진이 그런 대로 젊은 시절 한창 주가 날리던 시절이라 해서 제공하는데 이걸 증폭해 봤다. 이렇게 복원한다. 좀 더 좋은 어플을 돌리면 더 좋은 성과를 얻을 듯한데 이 정도로 만족한다. 다시 얼굴 누끼만 따보기로 했다. 아래와 같다. 전형적인 馬像, 말상이다. 저 시대에 쌍꺼풀 수술은 없었을 테니 자연산이라 보거니와 쌍꺼풀이 뚜렷하고 눈알맹이가 큰 편이다. 저 여인을 흔히 요부라 하고, 한국의 마타하리라 하는데, 그건 평자들 .. 2024. 3. 2. [1차 고려거란전쟁] (5) 담대한 서희, 요동을 정벌하려 했다 세 치 혀로 국가를 누란의 위기에서 구한 서희는 이미 앞서 봤듯이 곧바로 소손녕과의 밀약에 따라 여진 몰아내기에 나섰다. 그 자신 문관이지만 사령관이 되어 군대를 이끌고 먼저 청천강과 압록강 사이 두 강 구간 개척에 나서 여진을 공략했다. 고려로서는 다행인 점이 당시 여진은 거란에 복속한 상태로 아직 중앙집권화한 권력이 출현하기 전이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부족별로 할거한 상태라, 응집력이 크지 않았고, 무엇보다 그 자신들이 주인으로 섬기는 거란에서 그 개척을 나몰라라 한 까닭에 저항은 크지 않았다. 그렇게 해서 몇년 사이에 순식간에 8개 성을 쌓으면서 그것을 기반으로 삼아 사민까지 해서 둔전을 기반으로 확실히 이곳은 우리 땅이라는 발판을 만들어 나갔다. 그런 점에서 서희는 최윤덕과 김종서의 직접 선..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4) 버선발로 뛰어나가 서희를 맞은 성종 일단 한 번 붙어나 보고 강화를 하건 땅뙈기를 떼어주건 하자는 서희의 제안에 순식간에 조정 여론이 바뀌었으니, 민관어사民官御事를 지낸 이지백李知白 또한 서희에 합류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다만 시간이 좀 걸린 까닭에 이몽전이 돌아갔으니 뭔가 고려 측 움직임을 보고 다음 타켓을 정하고자 한 소손녕은 더는 참을 수 없어 안융진安戎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중랑장中郞將인 대도수大道秀와 낭장郞將인 유방庾方을 앞세운 고려군이 거란을 격퇴한 것이다. 중랑장 대도수는 대씨라는 성으로 보아 볼짝없이 발해에서 넘어온 사람이다. 이리 되자 외려 겁을 먹은 쪽은 소손녕이었다. 고려 땅에 들어와 처음으로 공략한 안융진에서 패했으니, 조급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때 마침 고려 쪽에서 반응.. 2024. 3. 1. [백수일기] 꽃샘 방황기 백수는 집을 탈출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오늘도 괴나리 봇짐 매고선 무작정 나섰다. 모 박물관으로 행차해 그짝 자료실서 오후를 뽀갤 작정이었다. 한데 버스에서 내려 박물관 가는 길목이 영 이상했다. 문을 닫은 가게가 많다. 여타 날과는 사뭇 다른 풍모다. 뭔가 낌새가 이상하다. 박물관을 들어서 자료실로 향하는데 어랏? 불이 꺼졌다. 안 열었다. 박물관은 열었는데 자료실이 안 열다니? 안내 데스크에 물었다. 오늘 삼일절 공휴일이라고 문을 안 연대나 어쩐대나? 아 오늘이 무슨 요일인가? 찾아보니 금요일이다. 거기다 빨간날 그래 말마따나 삼일절이다. 터벅터벅 허탈함에 전시 코너 한 군데 돌고서는 나선다. 집에나 가자. 매섭다. 열라 매섭다. 광화문 바람은 언제나 이렇다. 여름이면 찜통이요 겨울이면 오늘 같은 꽃샘..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3) 거란의 고려 공포증을 간파한 서희 소손녕을 만난 이몽전이 귀환할 때 성종은 서경에 머문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그 회견 내용을 두고 어떤 이가 말하기를 “어가御駕는 개경開京의 궁궐로 돌아가고, 중신重臣으로 하여금 군사들을 거느리고 가서 항복을 청하게 하십시오.”라는 의견이 나온 데서 엿볼 수 있다. 아무튼 저런 안을 비롯해 어떤 방식으로 거란을 달래느냐 하는 중차대한 문제를 두고 조정 의견은 갈라졌다. 개중에서도 “서경 이북 땅을 나누어서 저들에게 주고, 황주黃州에서부터 절령岊嶺까지 잇는 선을 국경으로 삼음이 옳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한데 중론은 결국 저 땅뙈기를 떼어주자는 쪽으로 결정되고 말았다. 이는 그만큼 고려로서는 급박했다는 뜻인 동시에 애초 거란 침입을 개무시하면서 그에 대한 대비를 전혀 하지 못한 혹독한 대가였다. 일단.. 2024. 3. 1. 이전 1 ···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1242 ··· 36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