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1 [1차 고려거란전쟁] (2) 거란의 요구를 파악한 서희 뒤늦은 대처에 급조한 군사로 거란을 방어하고자 한 고려 조정이 얼마나 허둥지둥댔을지는 안봐도 비디오라, 그래도 일단 한 번 막는 시늉이라도 해 봐야겠고 해서 고려는 역시나 문관 중심 사령부를 구성하니 시중侍中 박양유朴良柔가 총사령관인 상군사上軍使가 되고 내사시랑內史侍郞 서희徐煕는 넘버투인 중군사中軍使, 문하시랑門下侍郞 최량崔亮은 하군사下軍使가 되어 북계北界에 진을 치고서는 거란을 방어하는 시늉을 한다. 이때 고려 성종은 서경西京에 행차 중이었으니, 전방을 독려하기 위함이었는지 아니면 연례 행사라서 그랬는지 알 수는 없지만, 기왕 나간 김에 안북부安北府까지 가서 전방을 시찰하려 한다. 이 무렵 소손녕蕭遜寧은 이미 봉산군蓬山郡을 공격하여 선봉군사先鋒軍使인 급사중給事中 윤서안尹庶顏을 포로로 잡아갔다. 이에 이.. 2024. 3. 1. Full of Spring Vibes Plum blossoms have been in full bloom at the historic Buddhist temple Tongsa on Sunday in Gyeongsangnam-do. Spring has finally begun to conquer the Korean Peninsula. 매화(자장매) 만발한 양산 통도사 photo by Seyun Oh 2024. 3. 1. 언론자유라는 측면에서 본 한국사 조선시대, 언론자유가 어딨어? 그 폭압성은 인류 역사 맨 우두머리에 위치해야 한다. 김일손은 사부 조의제문 사초에 실었다가 일족이 목이 달아다고 일단도 일망타진됐다. 다 죽었다. 언론자유도라는 측면에서 조선왕조는 실로 유례없는 폭압정권이었다. 그런 언론자유가 느닷없이 구한말에 찾아든다. 조선총독부시대. 좀 변화가 감지되는데 초기에는 그런대로 언론자유가 보장됐다. 그런 자유는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암흑기로 접어든다. 모든 언론이 통제됐고 기사는 사전 검열되었다. 이 시대를 조선시대랑 비교하면?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래도 숨구멍은 있었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언론자유는 사상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물론 상대적이긴 하다만 말이다. 그러다가 유신체제에 들어가면서 다시 억압시대로 갔다. 그런 억압시대는..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1) 뻘짓한 고려 편의상 고려거란전쟁을 세 차례 있었다 하지만, 누누이 말했듯이 그것 말고도 두 왕조 사이에는 크고 작은 전쟁이 끝임없이 벌어졌다. 치열한 탐색전이 펼쳐지는 가운데 그 서막을 연 것이 널리 알려졌듯이 993년, 고려 성종 12년, 요遼 통화統和 11년에 펼쳐진 제1차 전쟁이라 이 전쟁이 실은 두 왕조에 모두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거란 부마 소손녕蕭遜寧이 자칭 80만을 이끌고 국경을 넘었다 했지만 이는 개뻥이며, 실제 동원한 군사는 절반도 안 된다. 쪽수가 많다 해서 겁박했을 뿐이다. 다행해 이 전쟁이 이렇다 할 충돌없이 외교협상으로 끝나서 그렇지망정이지 하마터면 고려 국토가 초토화할 뻔 했다. 우리는 이 조우에서 세 치 혀 서희에 의한 이른바 강동육주 획득을 한국 역사상 가장 빛나는 외교협.. 2024. 3. 1. 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조선총독부설치에 관한 건] 朕枢密顧問ノ諮詢ヲ経テ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ヲ裁可シ並ニ之ヲ公布セシム 睦仁 内閣総理大臣侯爵桂太郎 勅令第三百十九号 朝鮮ニ朝鮮総督府ヲ置ク 朝鮮総督府ニ朝鮮総督ヲ置キ委任ノ範囲内ニ於テ陸海軍ヲ統率シ一切ノ政務ヲ統括セシム 統監府及其ノ所属官署ハ当分ノ内之ヲ存置シ朝鮮総督ノ職務ハ統監ヲシテ之ヲ行ハシム 従来韓国政府ニ属シタル官庁ハ内閣及表勲院ヲ除クノ外朝鮮総督府所属官署ト看做シ当分ノ内之ヲ存置ス 前項ノ官署ニ在勤スル官吏ニ関シテハ旧韓国政府ニ在勤中ト同一ノ取扱ヲ為ス但シ旧韓国法規ニ依ル親任官ハ親任官ノ待遇、勅任官ハ勅任官ノ待遇、奏任官ハ奏任官ノ待遇、判任官ハ判任官ノ待遇ヲ受クルモノトシ尚在官 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御署名原本・明治四十三年・勅令第三百十九号 行政文書*内閣・総理府太政官・内閣関係御署名原本(明治)明治43年勅令 請求番号 御08512100 保存場所 分館 作成.. 2024. 3. 1. 문화재의 분권화는 곧 유물의 분권화다 다른 소장품도 다 그렇지만 국립중앙박물관을 장식하는 문화재는 근간이 다 약탈품이다. 개중에 아주 간혹 조선이 대일본제국 일원이었을 적에 그 힘으로 약탈한 이른바 중앙아시아 유물 컬렉션이 있기는 하지만, 그뿐만 아니라 국내에 국한해도 약탈품이라는 근간이 변할 수는 없다. 이른바 전세품傳世品이라는 것들이야 그 내력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니 이건 논외로 친다 해도, 출토품의 경우 근간이 약탈품이다. 지방이 능력이 안 된다는 이유로, 조건이 안 된다는 이유로 모조리 서울로 서울로 뽑아 올려 국가를 장식하는 기능으로 쓰이는 까닭이다. 우리는 곧 신라를 대한민국이라 치환하나 천만에. 어찌 대한민국이 신라이겠으며 신라가 어찌 대한민국이겠는가? 경주 지역 피약탈품 그 어디에서도 신라의 찬란함을 웅변하는 황금유물이라.. 2024. 3. 1. 이전 1 ··· 1237 1238 1239 1240 1241 1242 1243 ··· 36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