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1

산송山訟을 쓸어버린 조선총독부 묘지규칙 4. 묘지규칙[221] 1) 종전의 폐풍 조선은 예로부터 묘지 존중의 관념이 깊었는데, 여기에는 여러 미신이 수반되어 선조의 묘지가 좋고 나쁨에 자손들의 화복이 결정된다는 풍수설이 견고하여 뿌리 뽑을 수 없는 관념으로 굳어졌다. 따라서 풍수가가 가리키는 묘지는 전 재산을 바쳐서라도 이를 얻으려 하였고, 얻을 수 없으면 남의 토지라고 해도 그것을 범하는 것도 개의치 않았다. 심한 경우에는 타인의 분묘를 발굴發掘하여 자가自家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적 지 않았다. 이로부터 범죄자가 속출하고 항상 분쟁이 끊이지 않았으며, 묘지와 관련된 민사 소송에서는 가산을 탕진하면서도 이를 다투었다. 그 결과 분묘가 도처에 산재하 여 풍속·교화 및 위생에 해를 끼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양호한 경지를 황폐하게 하고 민력民力.. 2024. 2. 29.
일본 문화를 바라보는 창, 우키요에 [다짜고짜 홍보] 판리 지음, 홍승직 옮김, 아트북스 2022-2023년 이 책 번역에 매달렸습니다. 중국 사람이 일본의 우키요에를 연구하여 책을 내서, 중국어 번역자인 제게 맡겨지게 되었습니다. *** 역자 팔보 홍승직 선생이 자신이 번역한 책을 이리 소개한다. 좀 더 자세했음 싶다. 2024. 2. 29.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던져진 내 삶 내가 거의 매일 그리 분량이 많지는 않으나 이것저것 글이랍시며 긁적이는 이유는 쓰지 않으면 글쓰기 능력이 무디어진다 생각해서다. 그러다 보니 벌려놓은 일은 많고 진척이 더딘 편이지만, 그래도 하나하나 차곡차곡 쌓으면 한달이면 단행본 두 책 분량은 나오리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내가 태어난 까닭이 이 일을 하기 위함은 아니었다. 나는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 세상에 던져졌을 뿐이다. 한때는 영문학도를 꿈꾸었지만 이런저런 핑계로 단념하고 말았으며, 기자는 내가 생각한 인생 목록엔 전연 들어가 있지도 않았다. 한데 어찌하다 보니 이 길로 들어섰고 또 어찌하다 보니 어느날 기자가 되어 있었다. 기자는 평생한다는 생각이 없었다. 하지만 이 또한 뜻대로 되지 않아 어쩌다 보니 반백인 지금 거의 절반을 이 일에 투신했.. 2024. 2. 29.
한문협회장에 김창억 전국 92개(2024.2.1. 기준) 고고유산 조사연구 전문기관 연합회인 사단법인 한국문화유산협회(한문협) 제11대 회장으로 김창억⾦昌億 재단법인 세종문화재연구원 원장이 취임한다. 임기는 2024년 3월 1일부터 2026년 2월 28일까지 2년. 1965년 6월 10일 생인 김 회장은 1988년 경북대 고고인류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2001년 동 대학원 석사, 2019년 일본 동아대학東亞⼤學 대학원 종합학술연구과總合學術硏究科 박사를 각각 취득했다. 매장문화재 조사 분야에 투신하며 2009년에는 (재)세종문화재연구원을 설립해 2024년 현재 그 원장과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 착하다 순하다 이런 평가가 압도적인데, 이것이 한문협 회장으로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모르겠다. 욕 많이 먹을 텐데 상처나.. 2024. 2. 29.
조선총독부 시정25년사가 정리한 3.1만세운동 2) 시국에 대한 조치 1914년(大正 3) 8월 구주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일본제국은 독일 및 오스트리아-헝가 리제국과의 국교를 단절하였고, 선전宣戰의 조칙이 내려졌다. 이에 데라우치 총독은 특 별히 유달諭達(8월 24일)을 발표하여 관내 일반 관민에게 고하였다. 여기서 충실히 성의 聖意를 받들어 봉공奉公의 정성을 다하고, 제국의 위무威武1)를 신뢰하여 냉정하게 본업 에 힘쓰며, 유언비어를 경계하여 인심의 동요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그리고 일반 인민에게 경거망동을 깊이 경계시키는 한편, 신문·잡지 등의 기사에 대 해서는 경무총감부를 통해 엄중히 단속하게 하였다. 당시 인심이 다소 흥분되는 조짐이 있었지만, 교주만膠州灣의 함락(1914년 11월 7일 開城)과 함께 민심이 완전히 평온하게 .. 2024. 2. 29.
[국내 박물관 현황과 연혁] 아파트재건축 기부채납으로 탄생한 송파책박물관 서울 송파구립인 송파책박물관은 박물관이라면 으레 상상하는 그런 전형의 박물관은 아니다. 분명 박물관이라 했지만, 실제 그 현장 양상을 보면 언뜻 도서관인지 박물관인지 구분이 쉽지 않고, 더욱 정확히는 사람들한테는 박물관보다는 도서관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한 게 아닌가 한다. 그렇지만 박물관에서는 한사코 박물관임을 주창한다. 우린 뼛속까지 박물관임을 각인하려 한다. 그래서 더 전시회도 많이 하는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도서관이면 어떻고 박물관이면 어떤가? 모로 가건 바로 가건 서울만 가면 장땡이다. 이용객은 많다. 그럴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인구 60만을 상회하는 초거대 기초자치단체 송파구가 운영하는 유일한 박물관이요, 또 그것이 자리한 데도 인구 초밀집 지역이니, 같은 박물관이라 하지만 같은 송파구에 위치.. 2024. 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