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1

60언저리에서 40-50을 돌아보며 (2) 이미 한 꼭지 글을 남겼지만-. 60 언저리가 되어 40-50 시대의 나에게 조언을 하나 하자면, 이것 저것 여러 군데를 파는 것은 좋지만 전체적으로 스토리는 반드시 서로 연결되어 큰 주제로 귀일해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다. 필자가 60이 되어 지금까지 연구를 정리하는 작업을 하다 보니 일관된 연구주제 안에 포괄하여 설명할 수 있는 논문이 대부분이었지만, 개중에는 뜬금없는 주제로 동떨어진 논문도 전혀 없었다고 할 수 없겠다. 필자가 이런 논문들을 60이 되어 돌아 보니, 이런 논문들은 결국은 다 시간 낭비에 가까왔다는 생각이다. 40-50대는 왕성한 호기심으로 이것저것 손대어 연구해보는 시기이긴 한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반드시 그런 작업들 사이의 연관성, 보다 큰 주제 안에 포괄하여 위치시키는 노력을 게.. 2024. 2. 28.
감악산에 오른 날 2004년 무렵인가? 내가 백산학보에 진흥왕 순수비가 제왕이 산상에서 지내는 제왕의 천신제인 봉선의 기념물이라는 기념비적인 논문을 발표할 적에 주변을 살폈더니 의외로 비봉 순수비 현장을 가본 적 있는 고대사학도가 가뭄에 콩나듯 한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현장에 가보고, 그에서 천길 낭떠러지 암반 꼭대기에 선 기념물이 소위 진흥왕 순수비임을 알면 이를 두고 추사 이래 지껄인 소리들이 다 개소리임을 단박에 알겠거니와 그것을 보고 그 비봉 꼭대기에 오르고서도 선학들이 한 말을 앵무새 되뇌이듯 지껄일 수는 없다. 비봉 올라 눈이 있거든 보라. 더 오를 곳도 없으니 이곳에 올라 진흥왕은 하늘과 접신했다. 어제 내가 감악산에 올랐다. 이 감악산비에 대해선 나 역시 진흥왕 봉선비임을 의심했지만 가서 본 적.. 2024. 2. 28.
제 정신으로 글쓰는 나이의 한계는 75세 인생의 역작을 남긴 거장들 프로필을 보면 대략 제 정신으로 글을 남기는 나이의 한계는 75세 전후이다. 아주 예외적으로 80이후에도 왕성한 집필활동을 하는 경우도 있긴 한데, 이런 경우 과연 그 자신의 정신적 노동의 결과물이기만 할것인가, 조금 의심한다. 옆에서 많이 도와주는 사람이 없으면 그 나이에는 불가능할 것이라 본다. 따라서 독립적으로, 의미있는 글을 남길 수 있는 나이의 한계는 필자가 보기엔 75세 전후이다. 그 후에는 아마 글을 남겨도, 회고조 이야기 외에는 어려울 것이라 보며, 정신적 생산성의 한계는 그 즈음일 것이라 본다. 거기에 맞춰 남은 삶도 설계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한다. 2024. 2. 28.
한성백제박물관이 공개한 방이동 52번지 한성백제 우물 몽촌토성 인근 서울 강남구 방이동 52번지 한성백제시대 목조우물 발굴 소식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었거니와 그 후발로 한성백제박물관에서 나무 부재와 토기 등은 보존 처리 작업 후, 한성백제박물관으로 이관할 예정이라 전했거니와 저 발굴은 문화재청이 허가하고 시행은 한국주택토지공사 서울지부가 하고 실제 조사는 중부고고학연구소라는 민간기관이 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실은 직접 저에 관여할 법적 근거가 어디에도 없다. 도대체 어찌된 일일까? 이 점을 추후 해명해 보려 한다. *** previous articles *** 꼬다리를 딴 방이동 한성백제 우물의 그릇들 꼬다리를 딴 방이동 한성백제 우물의 그릇들 이번에 한성백제시대 목구조 우물이 발견됐다는 서울 송파구 방이동 52번지 일원은 그 중대성을 논하려면 위선 지도를.. 2024. 2. 28.
[비형랑과 화랑세기] (4) 전군殿君의 조건과 예외 모계 혈통이 만드는 사자私子와 사녀私女 《화랑세기》에 보이는 용어들에 대한 개념 정의는 계속 다듬는 중이다. 특히 친족 관련 용어에 대한 개념 정리는 현재진행형이다. 이번에 다른 전군과 사자 사녀, 그리고 이에서는 다루지 못했지만 사매私妹 같은 개념에 대한 정리는 궁극으로 내성사신內省私臣에 대한 실체를 파헤치는 지름길이라고 나는 본다. 내성사신은 내가 간단히 언급했지만 이는 忠하는 대상이 王이 아니다. 내성사신은 왕의 모후를 비롯한 왕실 여성들에게 忠하는 臣이다. 公과 私를 엄밀히 구분한 신라의 시스템을 엿보게 한다. 그만큼 전군이며 하는 개념들이 중요하다. 용수와 용춘의 전기가 모두 수록되었을 《전군열기殿君列記》는 그 명칭으로 보아 왕자들 열전이다. 《화랑세기》 전편에 걸쳐 등장하는 전군殿君은 원칙으로는 아버지가 왕인 왕자 중에서도 왕위 계.. 2024. 2. 28.
경주 사천왕사와 명랑법사의 문두루법, 밀교를 의심한다 아래는 내가 연합뉴스에 몸담은 무렵 같은 제목으로 2006년 11월 2일 기사화해서 송고한 글이라, 이는 실상 기사보다는 논문이었다. 이 글이 간간이 인용되곤 해서 전재한다. 간단히 요약하면, 문두루법은 흔히 불교 계통 푸탁거리 계열 밀교 전통으로 보지만, 철저히 도교에서 비롯한다는 것이다. 도교를 모르면 안 된다. 내가 보는 밀교는 그 대부분이 인도 전통이랑은 눈꼽만큼도 관계없고 도교다. 이는 문두루법을 분석하면 그 처절한 실상이 고스란하다. 더 간단히 말한다. 사천왕사는 불교가람이면서 도교사원인 도관道館이었고 명랑법사는 불교승려이면서 도교승려이기도 했다. 내가 틀린 말 하는 거 봤어? 경주 사천왕사와 명랑법사의 문두루법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신라 왕실(혹은 조정)에서 직접 관리한 성전사원.. 2024. 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