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5

작금의 한국사는 알아도 보일 게 없다 이건 마치 벌거벗은 임금님 비슷한 것인데, 이제 이런 최면에서 깨어날 때가 되었다. 한국사에서 알면 보인다는 말. 폼나지 않나? 네가 몰라서 그렇지 잘 보면 다르게 보일 거라는 말. 그래, 그러면 알고 나니 뭐가 보였는고? 현금의 한국사는 열심히 읽어봐야 보일 게 없다. 보일 만한 고민을 한 적도 없이 타성적으로 쉽게 쉽게 역사책을 쓰고 교과서로 만들어 가르치기 때문이다. 한길사 한국사를 조금 말랑말랑하게 만들어서 펴낸 것이 작금의 한국사라고 할 수 있는데, 그걸 알아봐야 보이는 거 없다. 이 세계의 빠른 발전의 흐름을 따라갈 수가 없다. 젊은 세대에게 권하노니, 지금의 한국사를 잘 알면 뭔가 보인다는건 다 뻥이다. 기성세대의 거짓말이라는 말이다. 모르니까 안 보이는 게 아니고, 그 안에 정말 아무 것도.. 2024. 1. 10.
The Story of India by Michael Wood 작금의 한국사는 문명사로의 고민 자체가 부족하다. 없는 고민을 가지고 "알면 보인다"고 박박 우기는 것이 지금의 한국사라고 할 수 있다. 알면 보인다라고 믿는 분들은 과연 알면 뭐가 보였던 건지 한 번 고민해 볼 필요가 있겠다. 아래 BBC에서 다루었던 다큐 Story of India의 내용을 간단히 써둔다. Episode 1 – "Beginnings" See also: Indus Valley Civilization Through ancient manuscripts and oral tales, Wood charts the first human migrations out of Africa. He travels from the tropical backwaters of South India through lo.. 2024. 1. 10.
민족국가 수립과 평화통일을 위해 하루 하루 살아야 한다는 교과서 다음은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목차다. 3.1. (1) 일제 식민 통치와 민족운동[편집] [10한사2-01-01]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을 제국주의 질서의 변동과 연관하여 이해한다. [10한사2-01-02] 일제의 식민 통치가 초래한 경제 구조의 변화와 그것이 경제생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10한사2-01-03] 국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의 흐름을 이해한다. [10한사2-01-04] 일제의 식민 통치로 인한 사회 및 문화의 변화와 대중운동의 양상을 파악한다. [10한사2-01-05] 일제의 침략 전쟁에 맞서 전개된 독립 국가 건설 운동의 양상을 분석한다. 3.2. (2) 대한민국의 발전[편집] [10한사2-02-01] 냉전 체제가 한반도 정세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 자유민주주의에 기초한 대.. 2024. 1. 10.
화랑세기가 아니었으면 영영 묻혔을 문노文弩 화랑세기를 통해 부쩍 친숙한 이름이 된 신라 중고기 인물 문노는 표기가 두 가지라, 삼국사기와 같은 기존 문헌에서는 文努라 하지만, 화랑세기는 文弩라 해서 세심한 차이가 보인다. 둘 중 어느 쪽이 실상에 가깝냐 단언하면 단연 후자라, 이는 그가 걸은 길 때문이다. 대가야 왕실 계통이라는 혈통을 지녔다지만 사통해서 낳은 아들로 그 혈통이 확실치 아니한 그는 대가야 멸망과 더불어 신라사회에 편입되기는 했지만, 이렇다 할 배경이 없어 무직武職을 전전할 뿐이었다. 이렇게 해서 간난을 뚫고서 마침내 출세한 그는 군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냈으니, 이런 족적을 볼 적에 그것이 비록 태어나서 얻은 이름이 아니라 훗날 바꾼 이름일 가능성이 많기는 하지만 당연히 그에 더 어울리는 이름은 文弩다. 글자 그대로는 이.. 2024. 1. 10.
괜찮은 글은 싸지르는 글에서 건지지 묵혔다간 똥 된다 글이 글을 낳는다는 말 나는 줄기차게 한다. 뭐 일년을 쉬고 다시 글을 써? 뭐 이 일 좀 마무리하고 나서 글을 써? 석박사논문 끝내고서 글을 써? 거지 같은 소리 그만해라. 글이 글을 쓰지 휴식이 글을 쓰지는 못한다. 글로써 승부를 보고자 하는 놈은 끊임없이 쓰야 한다. 미친 듯이 쓰야 한다. 일년을 쉬고서, 혹은 충전하고 나서 글을 써? 쉬어봐라. 충전해 봐라. 글쓰는 리차저블 배터리가 아니다. 끊임없이 쓰야 또 나오는 것이 글이다. 그 끊임없는 글에서 괜찮은 글이 나오는 것이지 묵혀서 쉬어서 쓴 글이 좋은 글? 웃기는 소리 할 생각 말고 닥치고 쓰라. 그 따위 징징거릴 시간에 글 한 편이라도 더 쓰라. #글쓰기 *** related article *** 글쓰기는 1년을 중단하면 영영 끝이다 글쓰기는.. 2024. 1. 10.
이름이 품은 문화사, 당대 세계를 소비한 김유신 시대의 신라 김유신 조카이자 사위이고, 김흠순 아들인 김반굴金盤屈은 그 이름 반굴이 그 자체 특정한 의미를 지닌 작명법임을 앞서 지적했거니와, 그렇다면 궁금하지 아니한가? 왜 저 시대 하고 많은 이름 중에 저이는 반굴盤屈이라는 이름을 썼을까? 이것이 궁금하지 않냐 이거다. 이는 앞서 밝혔듯이 본래는 산해경에서 출전을 삼는데, 그 반굴은 도삭산度朔山이라는 상상의 산에 자라는 복숭아 나무 가지가 삼천리 가지를 뻗친다 하면서 그것을 묘사할 때 구사된 구절이다. 이를 통해 모름지기 저 시대 신라사회가 산해경을 소비했을 것이라는 발상은 겉핥기에 지나지 아니하고 그것을 소비한 신라사회 앙태 일면을 들여다 보는 증언이라는 데 진정한 의미가 있다고 나는 본다. 도삭산이라는 신선의 산, 복숭아 나무 이런 키워드를 묶으면, 그 시대 .. 2024.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