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5 [2023 대만풍경] (5) 국립고궁박물원 북원(北院) ④ 벼루 매니아들과 그 벼루 이야기 from 장남원 나는 필기구를 좋아한다. 한때 사고 모으고 불고 닦던 시절이 있었다. 언젠가 일본에서 학회 발표를 마친 후 오사카 동양도자미술관 고문으로 계시던 이토 선생과 2차까지 간 날이 있었다. 우연히 서로 가지고 있던 펜 이야기로 이어졌는데 이토 선생은 이런 이야기를 도자사 전공자와 나눌 수 있어서 너무 좋다시며 훗날 내게 만년필 한 자루를 선물로 주셨다. 문구를 좋아하다 보면 자연, 먹이나 벼루로 관심이 가게 마련이다. 하지만 우연히 본 중국 벼루 관련 다큐에서 좁디 좁은 단계端溪 노갱의 극한 갱도에서 석질이 상할까 남성들이 팬티만 입고 맨몸으로 채취하는 장면을 보고는 더 이상 벼루를 사지 않았다. 대만 고궁박물원의 벼루전 는 매니아들 벼루이야기다. Inkstones, through the Eyes of an .. 2024. 1. 10. 왕조 존속 기간과 조선총독부 시대가 지닌 힘 촉한 42년(221~263) 조위 45년(220~265) 서진 52년(265~317) 유송劉宋 49년(420~479) 남제南齊 23년(479~502) 양梁 55년(502~557) 진陳 32년(557~589) 수隋 27년 (581~618) 태봉 17년(901~918) 후백제 44년(892~936) 조선총독부 35년(1910-1945) 총독부 식민지시대 35년, 통감부 시대(1906~1910)를 포함하면 물경 39년에 달하는 저 시대가 얼마나 긴지 실감할 것이다. 저 통감부 총독부시대는 한국사로 보면 별개 왕정이다. 그 통치자가 일본 천황인 왕조국가였고, 그 아래서 신민은 국민으로 급속히 편제되고 한반도에서는 처음으로 국민이 탄생함으로써 단군조선 이래 그 국민이 권리를 갖고 국민의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한 시.. 2024. 1. 10. 고려사절요 강감찬 졸기卒記, 그 고고학적 중요성에 대하여 고려사절요 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22년 8월 (이달에) 강감찬이 졸했다. ○시중侍中으로 치사致仕한 강감찬姜邯贊이 졸했다. 강감찬은 금주衿州 사람으로 성품이 청렴하여 살림을 돌보지 않았고,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기묘한 계략이 많았다. 체격과 용모가 작고 초라했으며 의복은 때가 끼고 해져 보통사람[中人]과 다를 바 없었으나, 엄정한 안색으로 조정에 서서 큰일에 임할 때마다 위대한 계책을 결정하며 굳건하게 나라의 기둥과 주춧돌이 되었다. 나이 70세가 되자 궤장几杖을 하사하고 3일에 한 번 조정에 나오도록 했지만, 결국 사직하고 도성 남쪽 별장으로 돌아갔다. 84세에 사망하니, 〈왕이〉 애도하면서 부의賻儀를 매우 후하게 보내주었고, 시호를 인헌仁憲이라고 하였으며, 백관에게 명하여 장례에 참례하도록.. 2024. 1. 10. 꼬끼오 어근당 소리 듣고 왕이 된 고려 현종 원문대왕 왕순王詢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휘는 순詢이고, 자는 안세安世다. 안종安宗(으로 추존된) 왕욱王郁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효숙왕후孝肅王后 황보씨皇甫氏다. 성종成宗 11년(992) 임진 7월 임진 초하루에 태어났다. 성품이 총명하고 인자했으며, 배움에 있어 명민하고 문장에 뛰어났다. 처음에 머리를 깎고 숭교사崇敎寺(라는 절)에 거처하니, 한 승려가 일찍이 꾼 꿈에서, 큰 별이 절 마당에 떨어져서 용으로 변하고 또다시 사람으로 변하였는데 곧 왕이었다. 이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왕을 기이하게 여겼다. (북한산에 있는 절인) 신혈사神穴寺로 옮겨 머무를 때 또다시 꿈에 닭 울음소리와 다듬이질 소리를 듣고는 술사術士에게 물어보니, 우리말[方言]로 해몽하여 말하기를, “닭 울음소리는 ‘꼬끼오[高貴位]’이.. 2024. 1. 10. 강조康兆의 변變, 앞뒤가 안 맞는 고려사 미스터리 목종이 승려가 된 대량원군(훗날의 현종)을 궁중으로 불러들였다는 건 죽음을 앞둔 후계자 지명이다. 회생 불능이라 판단한 목종은 태조 왕건의 혈육(손자)인 대량원군을 환속시켜 보위를 물려주려 했다. 이미 죽음을 앞둔 왕이었다. 분란이 생길 것을 우려해 그 후견인으로 목종은 서부지역 사령관 강조에게 군사를 이끌고 들어와 호위하라 했다. 근데 강조가 칼을 거꾸로 돌려 목종한테 겨눴다고? 왜? 목종을 폐위케 하고 유배를 보냈다고? 그리고 자객을 보내 죽였다고? 죽음을 앞뒀다는 그가 살아났다고? 안 맞자나? 이미 죽음이 눈앞에 둔 왕인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안 간다. 강조康兆의 변變 도대체가 이 난은 원인과 결과를 설명하지 못한다. 내가 이 난을 접하게 되기는 중학교 때 처음이었을 것이니, 그때부터 지금까지.. 2024. 1. 10. History of England by Peter Ackroyd Foundation: Having written enthralling biographies of London and of its great river, the Thames, Peter Ackroyd now turns to England itself. This first volume of six takes us from the time that England was first settled, more than 15,000 years ago. Tudors: Rich in detail and atmosphere and told in vivid prose, Tudors recounts the transformation of England from a settled Catholic country to a Prot.. 2024. 1. 10. 이전 1 ··· 1346 1347 1348 1349 1350 1351 1352 ··· 36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