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군위 인각사에서 구들 형태 통일신라 가마터 확인 불교문화재연구소가 경북 군위군 의뢰로 인각사 주변을 조사한 결과 통일신라시대 구들 모양 가마를 비롯해 고려~조선시대에 이르는 여러 시기에 각각 만들어 운영한 기와가마 흔적 여러 곳을 발견했다고 근자 발표했다. 정확한 조사 지점은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 일대. 화산(해발 760m) 지맥인 절뒷산(해발 364m)이 남쪽으로 뻗어 기린 뿔처럼 북쪽 학소대를 향하는 지점이다. 더 상술하면 인각사지 동쪽, 승탑과 보각국사 재현비명이 조성되어 있는 능선 일원이다. 2002년 사역 확인을 위한 시굴조사에서 가마 일부가 확인되어 일찍부터 인각사와 관련된 기와가마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점쳐졌다. 경상북도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 경상북도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 www.go.. 2023. 12. 29.
한길사 한국사의 테제 한길사 한국사는 출판된지 20년이 넘었을 텐데, 이 한국사통설이 보는 근현대사의 인식은 아직도 학계에 유효하다. 바로 저 한국사 11권에서 20권에 이르는 역사전개에 따른 해석이 아직도 유령처럼 한국 근현대사를 떠돌고 있다. 민족이라고 쓰면 걸레짝을 내다 걸어도 찬사를 받는 것. 그것이 민족주의다. 2023. 12. 29.
THE HERITAGE TRIBUNE은 뉴스와 논문, 그 경계 허물기를 멈추지 않겠습니다 언제나 새로움이라는 개념으로 장착한 팩트 전달과 어떤 사안에 대한 확고한 주장 혹은 신념 표방은 기존 레거시 미디어를 받침하는 양대 축입니다. 전자를 흔히 뉴스라 하고 후자로는 칼럼이나 논설 사설이 해당합니다. 이 어중간에 위치하는 글이 실은 논문 혹은 에세이입니다. 문제는 레거시 미디어는 이 둘을 결합하는 데 실패했거나 애를 먹었다는 데 있습니다. THE HERITAGE TRIBUNE은 new 하다 할 수 없는 것까지 새로움으로 포장 포섭하고 논설 혹은 칼럼을 논문과 결합하며 이 모든 것을 정보 information 이라는 이름으로 재가공하여 서비스하는 일을 표방하며 등장했습니다. 이 일은 혼자 할 수 없는 일이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각기 다른 특장을 발휘하는 분들을 필진에 모셨습니다. 그런 까닭에 TH.. 2023. 12. 29.
[2023 대만풍경](4)국립고궁박물원 북원(北院) ③<風格故事—琺瑯彩瓷特展(양식이야기: 법랑채자기 특별전)> ’화려하다‘는 본디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겠지... 청대에 만든 채색자기들, 유상채 기법(over glazed painting)을 사용하여 회화와 공예의 온갖 요소를 끌어다 다양한 안료와 기법으로 온몸을 덧씌워 그 장식성이 더할 나위 없다. 세상의 온갖 이야기가 종알종알 재잘재잘 살랑살랑 들아왔다 나갔다 한다. 보고 있으면 웃음이 나다가도 눈이 번쩍 뜨이고 코를 박고 실눈으로 쏘아보다가 흠짓 물러나게 된다. 청대 후반 황실 공예의 절정을 보여준다. 강희_옹정_건륭에 이르는 시기에 특히 더 발달한 이들 자기에는 서양에서 유래한 회화의 모티브나 청대 궁중자수에서 차용한 도안과 표현방식, 금속 법랑기법을 응용한 요소들이 그대로 녹아 있다. https://theme.npm.edu.tw/exh111/Artisti.. 2023. 12. 29.
전국학예연구회 2023년의 마지막 일정 오늘 2023년 전국학예연구회의 공식적인 마지막 일정으로, 김예지 국회의원님을 뵙고, 문화재보호법 개정을 위해 애써주신 것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전달하고 왔습니다. * 감사패와 함께 김예지 의원님을 위해 점자로 상장을 제작하여 전달드렸습니다. 올해 10월 문화재보호법 개정안이 공포되어, 처음으로 문화재보호법에 문화유산 전문인력 배치에 대한 조항이 신설되었습니다. 우리의 노력에 응답해주신 의원님의 진심에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힘닿는 데까지 도와주신다는 말씀에 다시 한 번 감사말씀 드립니다. 그동안 함께 해주신 전국학예연구회 엄원식 회장님, 홍원의 부회장님, 김대종 부회장님, 김은정 감사님 모두 감사드립니다. 2024년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3. 12. 29.
[2023 문화재계 결산] (2) 수중발굴 수중발굴은 국내서는 오직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만이 수행한다. 따라서 이에서 말하는 수중발굴은 이 기관이 수행한 성과를 말한다. 더러 육지 강안 혹은 강속 발굴이 있을 수 있다.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해수욕장 해역에서 ‘해남선海南船’이라 명명한 고선박이 발견되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조사를 완료했다. 출토유물 중 씨앗류로 보아 곡물 운반선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본다. 군산 선유도 해역에서 청동기시대 간돌검과 삼국시대 유물 쏟아져 나왔으니 더 주시할 대목은 인근에 중국 무역선이 침몰해 있을지도 모른다는 흔적이 포착됐다. 충남 태안군 마도馬島 해역 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 선체 조각을 비롯해 기러기 모양 나무 조각품과 청자 접시를 포함한 관련 유물 500여 점이 발굴됐다. 선체 조각은 길이 115㎝에 .. 2023.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