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백수일기] 오직 두 가지만 있는 길 강요 백수 cb가 어디로 움직인단 소식이 있을 때마다 나는 꼭 묻는다. 돈 되는 행차냐? 왜? 백수는 돈 되는 곳만 가야기 때문이다. 움직이는 하나하나가 다 돈이다. 톨비 교통비 식비 등등 다 제하고 나면 정부 단가 기준 지방 회의는 안 가는 게 좋다. 왜? 남는 게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돈 나오는 데는 가야 한다. 담번에 안 불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은 하나를 더 확인한다. 돈 나올 가능성이 있는 덴가? 백수한테는 실은 이게 고민이다. 백수한테는 내일이 없기 때문이다. 당장 오늘이 급한데 장기투자를 어찌 생각한단 말인가? 일단 오늘 땡기고 봐야 한다. 이는 자발백수도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마누라 목소리 톤이 변해가는 걸 느낀다. 점점 데시벨이 높아진다. 위험신호다. 튀어야 한다. 눈에 자주 띄면 .. 2023. 12. 17.
한파 아침 머금은 곶감 같은 감이라도 빛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라 맛까지 다른지는 모르겠다. 다만 하나 확실하기는 친공기를 오래 머금어야 곶감다워진다는 사실이다. 2023. 12. 17.
[백수일기] 월요일 출근길이 무슨 말 들이 닥친 한파에 날씨 관련 소식이 아무래도 많아지거니와 더구나 눈까지 내린다니 빙판길 조심하라 걸을 땐 보게또에 손 넣지 마라 그래 공자님 말씀 다 이해하겠지만 도통 고개를 갸웃하게 하는 말이 있으니 월요일 출근길 빙판 조심? 월요일은 무엇이며 출근은 또 무엇이란 말인가? 추우면 안 나가면 될 일이요 출근은 왜 한데? 집에서 할 수도 있자나? 2023. 12. 17.
국민·시민·공동체, 공공성을 완성하는 삼두마차 최근 고고학계 일각에서 고고학의 공공성 공익성을 들고 나왔거니와 나는 일단 그 움직임을 환영하면서도 정작 가장 중요한 대목이 빠졌음을 비판했으니 이참에 공공성 공익성을 구성하는 절대요건, 삼두마차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공공성 공익성은 말할 것도 없이 사私를 염두에 둔 것이라 무엇이 공公인가? 나를 떠난 우리를 말한다. 길게 얘기할 필요없다. 고고학이 말하는 공이란 고고학 밖을 겨냥한 것이니 그 고고학 밖을 향해 우리라고 부르짖는 일이다. 그 실현을 위해 나는 무엇보다 고고학을 한다는 주체의 혁명, 탈구축이 있어야 한다 했으니 그래 솔까 지들이 저 말이 무엇을 말하는지 알아듣기나 하겠는가? 에둘릴 필요없이 국민 시민 공동체와 함께하지 않고서 무슨 공공성 공익성을 논할 수 있단 말인가? 저 공공성 공익성 선.. 2023. 12. 17.
배추쌈 이상 가는 식단 없다 주식은 배추라 저거 하나에 찍을 된장 하나로 너끈하다. 씹어 배추가 물어내는 즙으로 국물을 삼고 바른 된장이 반찬 아니겠는가? 산해진미가 따로 있는가? 꼭 수육이 있어야 하리오? 아삭아삭 씹히는 소리가 운율 아니겠는가? 로마가 그리워한 것이 이 배추쌈이었다. 2023. 12. 16.
젊은이들에게 주고 싶은 글: 외국어를 배워라 20대의 젊은이들에게 주고 싶은 말인데, 그 시절. 외국어를 배우는 게 정말 남는 장사이다. 필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한문을 배웠는데 모두 읽고 쓰는 정도는 한다. 회화는 모두 약하지만.. 외국어는 잡다하게 많이 할 필요는 없지만 꼭 필요한 외국어 2-3개 정도는 해두되 선택한 외국어는 완전히 익히는 게 좋다. 외국어를 7-8개씩 하는 경우도 보는데 그럴 필요 없다. 필자는 보고 싶은 책의 언어에 따라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한문을 했는데 넷 다 투자한 시간의 본전은 뽑았다고 생각한다. 한국어도 중요하고 소중한 언어이긴 한데, 한국어만 고수하면 인류 60억 중 59억 5천만의 생각을 버리는 것과 같다. 이중 한문이 특이한데 이 언어는 비록 지금은 라틴어처럼 사어지만, 구두를 떼 놓으면 독해에 어.. 2023.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