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경복궁 고궁박물관 감시카메라 실태 조사해야 이번에 비름빡 스프레이 낙서가 발생한 경복궁 주변 일대에 설치한 감시카메라는 운영 기관별로는 아마도 경찰 쪽과 문화재청 두 기관에서 설치한 것들이 있을 것이다. 혹 종로구청 쪽에서도 관할하는 것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경찰조사 과정에서 이 문제가 대두할지 모르겠지만 이참에 이 실태도 쏵 조사해봐야 한다. 몇 대가 설치됐으며, 개중 몇대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혹 껍데기만 씌워놓고 카메라 설치했네 하는 것은 아닌지 이런 것들이 수사 혹은 조사대상이 될지 모르지만 그것이 꼭 경찰이 아니라 해도 실태 점검은 있어야 한다. 난 천성에서 감시카메라 설치 좋아하지 않는다. 감시와 처벌 그 대표 증좌가 무수한 감시카메라인 까닭이다. 다만 기왕 설치한 것은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믿음은 있다. 왜? 세금이 투하됐으니깐 말.. 2023. 12. 18.
다시 낙서 당한 경복궁 담장, 모방 범죄? 우롱? '스프레이 테러' 경복궁 담벼락 수사중인데…하루만에 또 낙서 송고시간 2023-12-18 07:18 (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 =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서울 경복궁 담벼락이 스프레이 낙서로 훼손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낙서 테러'를 당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8009000004?section=culture/scholarship '스프레이 테러' 경복궁 담벼락 수사중인데…하루만에 또 낙서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 =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서울 경복궁 담벼락이 스프레이 낙서로 훼손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낙서 테러'를 ... www.yna.co.kr 같은 친구들이 했다면 이건 분명 반달리즘 vandalism 수준에 들어간 것.. 2023. 12. 18.
부실한 문화재 사진, 그건 역사 인멸이다 문화재 사진 역시 다른 부문과 마찬가지로 시간 혹은 영속성이라는 관점에서 그것이 비교적 영속하는가, 아니면 순간에 지나치고 마는가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니, 그 품질이라는 관점에서 후자가 특히 중요하다. 왜? 그 순간이 아니면 담을 수 없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예를 들어보자. 전자의 대표로 불국사 혹은 그 일부인 석가탑과 다보탑을 든다. 이 불국사 역시 시간 혹은 계절에 따라, 또 기상 조건에 따라 왕청왕청 달라지기는 하지만, 또 그것이 순간 포착이기는 하지만, 그렇다 해서 우리가 지금 보는 그 전체 풍광 자체가 크게 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이런 장면은 오늘 안 되면 내일, 내일 안 되면 모레 담을 수도 있다. 반면 같은 문화재 현장이라 해도 발굴현장은 왕청나게 달라서, 지금 모습은 오.. 2023. 12. 18.
대학이 기업 아니면 무엇인가? 이 풍광은 보니, 작년 오늘, 그러니깐 2022년 12월 18일 덕성여대 교내를 우연히 지나다가 촬영한 것이라, 저 장면을 보면서 그날 나는 적기를 모든 대학의 문제는 저에서 비롯한다. 대학이 왜 기업 아니란 말인가? 라고 물었으니, 내 주변에 대학에 봉직하는 사람이 하도 많고, 또 저 사안을 두고 일정한 괴리가 발생하는 까닭에 물론 생각이 아주 다른 부문이 많을 것으로 보지만, 저 근간하는 생각은 나는 변함이 없다. 이는 대학 바깥에서 대학을 바라보는 문제라는 관점에서 봐 주셨으면 싶은데, 대학은 기업 맞다. 기업이라는 본질을 벗어난 대학은 있을 수가 없다. 물론 저런 반박이 왜 생기는지는 익히 이야기는 많이 들었고, 그런 생각에 일정 부문 동의할 수도 있지만, 그래서 흔히 나오는 말이 대학이 직업학교.. 2023. 12. 18.
[조선 세종시대의 장영실] (2) 대통령 전용차 부실 제작 책임을 진 장영실 2. 대통령 전용차 부실 제작 책임을 진 장영실 시험 삼아 이에서 ‘장영실’이라는 키워드를 집어넣어 본다. 우리에게 상식으로 각인한 장영실은 세종시대에 측우기를 비롯한 각종 과학기구를 만든 장인이라 해서 그에서 본뜬 과학정신을 기린다며 만든 과학상 이름도 ‘장영실상’이 있을 정도라 난삽하게 등장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결과는 전연 뜻밖이다. 그 방대한 실록에도 번역본 기준으로 실록에서 걸리는 ‘장영실’은 서른 번밖에 되지 않으며, 더구나 그의 사후에 언급된 이름 빼고 생전에 등장하는 ‘장영실’은 횟수가 14번에 지나지 않는다. 더욱 당황스러운 점은 그 14번 중에서도 절반에 육박하는 무려 6건이 뇌물을 받거나 물건을 잘못 만들어 처벌 받은 일에 관한 것이니 도대체 이를 어찌 받아들여야 할지 모르겠다. 각종.. 2023. 12. 17.
국립세계문자박물관 특별전 <문자와 삽화 -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를 만나다> ▶️ 이 릴스를 시청해보세요 https://www.facebook.com/share/r/P4cEgRiknAe4PSos/?mibextid=9drbnH&s=yWDuG2&fs=e Facebook에 로그인Notice 계속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www.facebook.com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의 새로운 특별전를 소개합니다. “미래의 문맹자는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 라즐로 모홀리 나기 문자와 그림의 관계를 통해 그림의 의사전달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조망해보고, 독일의 훌륭한 삽화가 '알브레히트 뒤러'의 수준 높은 동판화를 비롯한 다양한 삽화 작품을 감상해보세요.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전시 #전시회 #전시추천 #박물관 #문화생활 #송도 #인천 #인천전시 2023.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