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아놀드 토인비의 노후 Study of History로 유명한 아놀드 토인비의 노후이다. 그의 노후는 역저 Study of History의 저술로 점철되어 있다. 참고로 토인비는 1889년 생이다. Publication of A Study of History[3] Vol I: Introduction: The Geneses of Civilizations, part one (Oxford University Press, 1934) 45세 Vol II: The Geneses of Civilizations, part two (Oxford University Press, 1934) 45세 Vol III: The Growths of Civiliz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34) 45세 Vol IV: Th.. 2023. 12. 17.
[조선 세종시대의 장영실] (1) raw file로 대면하는 조선왕조사 *** 내가 역사전문 언론인으로 직업이 기록된 것으로 보아, 해직 시절(2015~17년)이었을 원고다. 본문이 언급되듯이 선문대 구사회 선생이 마련해준 특강 자리였으니, 그때 강연록 원고다. 물론 이대로 강연하지는 않았다. 마침 근자 강민경 군이 장영실과 관련한 의미 있는 논문을 공간했기에 옛날 묵힌 원고를 새삼 꺼내어 6회분으로 나누어 싣는다. 조선 세종시대의 장영실 김태식 역사전문 언론인 1. raw file로 대면하는 조선왕조사 세종과 장영실에 대한 강의를 한 달 전쯤 나는 이 대학 구사회 교수께 요청받을 때만 해도 적어도 후자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아니, 더욱 정확히는 아는 것이 없었다. 더구나 세종이라고 해도 성군聖君이라는 피상의 인식,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그렇다면 한 달이.. 2023. 12. 17.
직장인으로서 학예사: 제너럴리스트 vs 스페셜리스트 직장인에게는 두 갈래 길이 있다. 하나는 어느 한 분야 전문적인 스페셜리스트, 다른 하나는 모든 일을 두루두루 할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 보통 공직에서 행정직들은 제너럴리스트로 분류되곤 한다. 어느 부서를 가더라도 다 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학예직에 종사하는 학예연구사 혹은 학예연구관은 스페셜리스트로 구분된다. 공직에서 행정직에 있는 분들은 제너럴리스트라 한다면, 어느 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기에 스페셜리스트로 분류되는 것일 터다. 학예사를 처음 시작할 때는 나 자신을 특정 분야 전문가라 생각했다. 나뿐이 아니라 대다수 학예사가 ‘나는 스페셜리스트’라 생각할 것이고, 그에 대한 자부심으로 일한다. 그러나 일을 하면 할수록, 내가 스페셜리스트일까 라는 의문이 가시지 않았다. 솔직히 말하자면, .. 2023. 12. 17.
남의 성공은 아낌없이 박수하되 치욕하라 동종업계 종사자로 다른 사람의 성공은 그 사람의 성공이 아니라 내 치욕이다.내가 실패하거나 내가 생각지도 못한 것을 그가 뚫었기 때문이다.이 성공에는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야 한다. 아낌없는 박수조차 보내지 아니하는 일은 시샘이다. 시샘은 옹졸이다.다만 그 박수엔 치욕을 장착해야 한다. 시샘은 복수를 동반하나 치욕은 발분을 낳는다.이 발분이야말로 사마씨 천이 증명했듯 내가 성공하는 절대 조건이다.따라서 치욕할 줄 모르면 내 성공도 없다.가장 불쌍한 인간이 진짜로 박수치는 사람이다.가슴에서 우러나오는 마음으로 진짜로 축하하는 사람, 이 사람은 노예다.그런 사람은 생평 그 사람 뒤딱이나 하면서 어머 머쩌요나 남발하면 된다.생평 남의 성공에 박수나 칠 것인가?성공하고 싶은가?그러면 치욕하라! 절규하라! 박수치는.. 2023. 12. 17.
1232년 12월 16일, 처인성 전투는 겨울이었다. 크게 6차례에 걸쳐 전개된 고려・몽골 전쟁은 고려가 겪었던 직접적인 전쟁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였다. 40여 년에 이르는 긴 기간 동안 고려 전 국토가 전장으로 이용되었고, 이와 함께 수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해에 몽골의 군사에게 사로잡힌 남자와 여자는 무려 20만 6800여명이다. 살육된 사람의 숫자는 헤아릴 수 없다. 몽골군이 지나간 마을은 모두 잿더미가 되었다.” 『고려사』 권24 고종 41년 이 전쟁 기간 동안 가장 극적인 장면을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코 처인성 전투가 제일 먼저 떠오를 것이다. 일반 군현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별받던 처인부곡에서 치러진 이 전투는 관군의 도움없이 순수하게 지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뤄졌으며, 결국 몽골군의 원수 살리타이(살례탑, 살리타)가 사살되었다. 이.. 2023. 12. 17.
고속도로휴게소에 대하여 자형은 연세도 있지만 건강 문제도 있어 고속도로 모든 휴게소는 반드시 들른다. 그래서 서울서 부산 가는데 꼬박 하루를 잡아먹는다. 저 정도는 아니지만 나도 이젠 서울 부산을 네 시간에 쉼없이 주파하던 삼십대가 아니다. 생리 문제도 있겠지만 더는 저리할 체력도 없고 무엇보다 다 부질없더라. 그래서 요즘은 달리다 좀 피곤해지는가 싶음 그냥 휴게소로 들어간다. 고속도로 올라타자 만나는 추풍령휴게소에선 커피 한 잔 뽑았다. 조금 달리다 죽암이 보이기에 또 들렀다. 누구도 날 쭂지 아니하는데 왜 그리 사납게 달렸을까 싶다가도 그땐 피가 끓어서라 해둔다. 2023.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