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속살 드러낸 영암 옥야리고분 18호분 매장문화재전문조사기관인 고대문화재연구원이 전남 영암군 의뢰로 지난 10월 4일 이래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40호인 시종면 옥야리고분군 중 18호분이라 이름한 무덤을 판 모양이라, 그 현장을 지난 5일 공개하고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는데 이번 조사 결과 목관 2기, 옹관 2기, 석곽 2기를 확인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무덤 또한 이 지역에서는 비교적 흔한 봉분 하나에 여러 사람을 각기 다른 공간에 묻은 이른바 벌집형 무덤에 속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앞서 조사한 이곳 17·19호분에 비해 이번에 조사한 18호분은 목관 2개를 가장 밑바닥에 깔고 그 위에다가 옹관과 석곽을 배치한 점에서 구별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앞서 조사한 17호분과 19호분 양상은 어떻단 말인가? 표현에 문제가 좀 있다. 아무튼 .. 2023. 12. 10.
아주 모호한 보도자료, 발굴소식에 빈발하는 앰비규어티 금번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계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 등이 조사됐으며, 한성백제와 마한의 관계를 조명할 수 있는 흑색마연토기 및 지도자급 위세품인 소환두대도, 곡옥 등이 발굴됐다. 어느 지자체 근자 보도자료에 보이는 한 구절이다. 이 지자체만이 아니라 고고학 발귤성과를 전하는 보도자료에서 항용 보이는 표현이다. 이 구절에서 특히 무엇이 문제인가? 마한계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 등이 조사됐으며 이 구절이 특히 문제가 된다. 모르긴 해도 이를 작성한 조사기관, 그리고 이를 검토해 배포한 지자체에서는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를 포함한 마한시대 흔적(유적)이 조사되었다 는 말을 하고 싶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저 문장에서 문제는 도대체 마한계가 수식하는 구.. 2023. 12. 10.
"퇴임 뒤엔 풍납토성 가이드 해보고 싶어" 엥? 내가? "퇴임 뒤엔 풍납토성 가이드 해보고 싶어" 정은경 기자, pensidre@mediatoday.co.kr 입력 2006. 3. 23. 13:55수정 2006. 3. 23. 13:55 [한국의 전문기자] (15) 김태식 연합뉴스 문화재 전문기자 [미디어오늘 정은경 기자] 그의 기사는 어렵다. "세종 때 능엄경 초각본 완질이 공개됐다"거나 "현종·숙종시대 '승정원사초'가 완간 됐다"는 식의 기사는 일상 생활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어 보인다. 게다가 문장 곳곳에 한자가 모래알처럼 박혀 있어 기사는 더 어렵게 느껴진다. 그러나 여기 때로 '아는 사람들만의 기사'도 필요하다고 믿는 기자가 있다. 연합뉴스 김태식(40·사진) 문화재 전문기자다. "전문가의 입을 빌려 중·고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평이하게 전달하는.. 2023. 12. 10.
유네스코는 요구한 적 없다는 앙코르 주민 강제이주 인권단체 반발하는데…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주민 이주 강행" 2023-12-09 12:53 훈 마넷 총리 "보존 위해 불가피"…노점상·주민 급증해 환경오염 우려 앰네스티 "인권 침해"…유네스코 "당국에 이주 요청한 바 없어" https://m.yna.co.kr/view/AKR20231209025800084?section=culture/scholarship 인권단체 반발하는데…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주민 이주 강행" | 연합뉴스(하노이=연합뉴스) 김범수 특파원 = 캄보디아가 국제 인권 단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앙코르와트 주변 거주민들의 이주를 강...www.yna.co.kr 이 사안이 간단치는 않아서 위선 문화유산 보존을 앞세운 주민 터거 조치가 타당하냐 아니냐 하는 해묵은 논란의 재연.. 2023. 12. 10.
K콘텐츠 최첨단은 K모텔 야호 모텔이야 그런대로 가끔 이용하지만 지역별 문화권별 특징은 없지 않아 오늘 하루 유숙할 이곳은 계란도 주고 빵도 준다. 뿐인가? 강냉이 티밥도 내맘대로 갖다 무도 댄다. 계란도 준다. 간식거리라는데 이걸로 저녁은 땡 꼴 보니 춘배는 옆동네 모텔이던데 설비 배틀이나 해보까 한다. 춘배야 거기 계란 주냐? 컴터 모니터도 대형 두 대 젊은 커플들이 주로 게임한댄다. 게임할 시간이 어딨어? 2023. 12. 10.
[보도자료 작성법] 학술지 발간 소식은 어떻게? 학술대회를 포함한 행사 개최 소식과 더불어 자주 접하게 되는 소식이 잡지 발간 소식이라, 이는 넓은 의미에서 신간 출간 뉴스에 속하지만 예서 말하는 잡지는 이른바 학술기관지에 국한하기로 한다. 이 학술기관지는 발간 주기에 따라 연간지 반년간지 계간지 월간지 주간지 등등으로 구분하기도 하거니와 연간지와 반년간지는 요새는 거의 자최를 감춘 듯 하고 월간지나 주간지는 학술잡지 개념보다는 훨씬 신문에 가깝다. 가장 일반적인 학술잡지가 계간지지만 이것도 형편에 따라 연간 세 번 내는 일도 많다. 당연히 이들은 기관지라 그 기관지 발간 소식은 그 기관이 존립하는 절대 근거인데 현실은 어떤가? 첫째 나왔는지 안나왔는지 아예 간단한 소식 하나 전하지 않는 단체기관이 열 중 여덟 군데요 둘째 공지를 해도 하는둥마는둥 할.. 2023.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