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81) 유심 낭패 이번 여행 통신 문제를 나는 원시적으로 했는데 이심은 내 기종이 안된다나 뭐냐 해서 단순무식하게 폰 두대를 들고 다닌다. 평소 안 쓰는 폰에다가 유심을 꽂고는 테더링 서비스를 이용해 와이파이를 공유한다. 번거롭기는 하지만 뭐 그리 번다하지도 않고 성능이 좋다. 유심은 로마 도착해서 테르미니에서 사서 꽂았는데 예서 내가 문전처리가 미숙했다. 유심이 EU용과 이태리 국내용이 따로 있는데 하나인 줄 알고 주는 대로 꽂았다. 룰루랄라 잘 쓰다가 그만 파리에서 문제가 생겼다. 먹통이었다. 급히 데이터로밍 신청해서 해결하기는 했다. 몰타에서도 같은 문제가 생겨 역시 같은 방식으로 해결했다. 아날로그형이라 실수가 많은 법이라 위안해 본다. 2023. 12. 1. [몰타여행] 2박3일 마지막차 *** 세부 차이는 있지만 아래 거의 짜준대로 따랐다. 2023년 11월 30일(목) 3일차 당초 이날 일정이었던, 섬 끝까지 이미 다녀오신 것 같으니 어퍼바라카 맞은편에 있는 성 안젤로 요새 다녀오세요. https://maps.app.goo.gl/o6JZZQaDECSZems27 저도 안가봤는데, 후기들에 따르면 복원된 곳이고, 발레타 맞은편 각도에서 보는게 색다르고, 전시가 잘 되어 있다고 합니다. 발레타 버스정류장에서 성 안젤로 요새 가는 길 https://maps.app.goo.gl/apKm8xz8Bc8hLRNn7 비르구(성 안젤로 요새가 있는 동네)에서 적당히 점심을 드시고, 할사플리니 지하 묘역(으)로 가시면 됩니다. 비르구 시내에서 할사플리니 가는 방법 https://maps.app.goo.g.. 2023. 12. 1. 축구광 헨리 키신저 by 김태식 THE HERITAGE TRIBUNE ts1406@naver.com Peru, Pelé and Grimsby: Henry Kissinger and his curious football links Peru, Pelé and Grimsby: Henry Kissinger and his curious football links Former US secretary of state visited Peru dressing room before eyebrow-raising 1978 defeat and claimed to have devised tactics that were forerunner of catenaccio www.theguardian.com 요새야 워낙 고령사회라 100세라 해서 놀라운 일도 .. 2023. 12. 1.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80) 양재기 사발에 담은 아메리카노 유럽 커피 문화 대종은 에소프레소라 나 역시 에소프레소는 즐긴다. 다만 이 에소프레소는 커피 양이 고양이 눈물만큼이라 홀짝 원샷으로 끝난다는 단점이 있어 커피 한잔 하자는 말이 커피 한잔 때리며 이런저런 얘기나 나누자는 우리네 통념과는 실상 맞지 않는 단점이 있다. 우리가 말하는 커피 한 잔은 실상 아메리카노를 말한다. 한데 문제는 유럽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어디서는 쥐꼬리만큼 주면서 아메리카노라 하기에 어이 없는 표정을 지었더니 종업원 하는 말이 It's Europe 하는데 그만 파안대소하고 만 일도 있다. 한데 이건 뭔가? 라지 사이즈라 했더니 아예 양재기에 담아준다. 요강 단진 줄 알았다. 사약 마시는 기분으로 마셨다. 말타 라서 그런가? 나라는 코딱지 만한데 통은 크다. 2023. 12. 1. 넓은 세상에 수도 없이 존재한 다양한 국가 형태 우리나라에서 주로 이야기 되는 역사의 합법칙성이라는 것은 우리 눈으로 보지도 못한 세계사를 주로 일본어 번역판, 특히 좌파 역사서를 매개로 해서 들어온 "역사의 합법칙성"이란 개념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80-90년대 학계에서 열나게 싸운 한국사의 노예제 논쟁이라던가, 봉건제 결핍론 등등은 전부 근거도 없고 뿌리도 없는 허상 같은 논쟁이었다 할 것이다. 이 세상에 얼마나 많은 국가의 형태, 권력의 형태가 있는데 한국에 노예제가 있네 없네 봉건제가 있네 없네로 한국사를 평가할수 있을 것인가? 이런 80-90년대 막무가내식 역사의 합법칙성 운운은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우리나라 인문학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항상 이야기하지만, 이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다양한 사회가 있었던 것일까. 우리는.. 2023. 11. 30. 피라미드 스톤헨지도 조롱하는 몰타 거석기념물 by 김태식 THE HERITAGE TRIBUNE ts1406@naver.com 몰타 고고학이 내세우는 타르시엔 사원 Tarxien Temple 이라는 선사시대 고고학 연표다. 이걸 보면 몰타 지역 역시 유럽 대륙과 비슷한 기원전 2500년 무렵에는 신석기시대를 벗어나 초기청동기시대에 돌입한 것으로 본다. 이 직전 아마도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가 등장하기 시작했을 것이며 연대 논란이 극심하기는 하지만 기원전 2천년 무렵 혹은 그 이전에 스톤헨지가 들어선다. 고대 이집트가 청동기시대에 언제 돌입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피라미드 등장과 엇비슷하거나 조금 늦지 않나 싶다. 아무튼 몰타가 문제다. 저 연표에 의하면 지금 타르시엔 신전이라 일컫는 초거대 석조 기념물은 기원전 3천600년 무렵에는 이미 등장했다. 피라미드.. 2023. 11. 30. 이전 1 ··· 1449 1450 1451 1452 1453 1454 1455 ··· 36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