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28 안중근 의사 탄신 144주년 기념 포럼 어수선한 시국이지만 한편에서는 이런 일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9월 1일은 안중근 의사 탄신일(9월 2일) 전날이자, 관동대학살 100주년이 되는 날이기도 합니다. 안중근 의사 탄신 144주년을 맞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이라는 주제로 포럼이 개최됩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안 의사 유해 발굴 현황과 의미를 제시하고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의 협력방안을 모색하게 됩니다. 이 자리에는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 의사 유묵 2점(國家安危勞心焦思, 志士仁人殺身成仁)이 국회 최초로 전시됩니다. 안중근 의사를 위해 모처럼 여야 의원 130명이 흔쾌히 동참해주신 행사입니다. 원하는 분 모두 참석이 가능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안중근의사탄신144주년기념포럼 #국회의원회관대회의실 #9월1일 #안중근의사유해발굴의.. 2023. 8. 30. 용인시박물관 소장 포은선생문집(圃隱先生文集) 경기도 문화재 지정 지난 8월 22일, 용인시박물관 소장 포은선생문집(圃隱先生文集)이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 고시됐다. 이번에 지정된 용인시박물관 소장 포은선생문집은 2021년 구입한 유물로, 2022년 지정가치 학술연구 용역을 거쳐 2023년 지정 신청, 2023년 8월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최종 지정 고시되었다. 포은선생문집은 1439년에 초간본(初刊本)이 간행된 이래, 15차례의 간행을 거쳐 총 15종의 판본이 존재하며, 일제시대를 제외하더라도 총 14차례에 달한다. 연번 구분 간행시기 구성 간행주체 권수제 1 초간본(初刊本) 1439년 2권 1책 아들 鄭宗誠 등 圃隱詩藁 2 신계본(新溪本) 1533년 2권 1책 현손 鄭世臣 圃隱詩藁 3 개성본(開城本) 1575년 2권 1책 崧陽書院 圃隱詩藁 4 교서관본(校書館本) 1.. 2023. 8. 30. 2023년 서울역사학술대회 서울 강남의 도시문화사 2023년 제22회 서울역사학술대회 개최 📌주 제 : 서울 강남의 도시문화사 📌주 최 : 서울역사편찬원, 도시사학회 📌일 시 : 2023. 9. 8.(금) 13:00~18:00 📌장 소 :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 이번 학술대회에 관심있는 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석 부탁 드립니다.🎉 #서울역사편찬원 #도시사학회 #서울 #강남 #도시 #학술대회 *** 주제 소재 다 지긴다. 이런 쌈박한 학술대회를 보고 싶다. 덜 떨어진 축조기술 타령 말고 2023. 8. 30. 권력은 왜 김좌진 이범석 대신 홍범도를 골랐을까? 앞선 글에서 나는 문재인 시대 근대사와 관련한 주요 움직임을 아래와 같이 아주 간단히 정리했거니와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즈음해 3.1혁명으로 격상하려다가 실패 2019년 11월 의열단 100주년 즈음해 약산 띄우려다 실패 2020년 청산리, 봉오동 전투 100주년 즈음해 무장투쟁을 띄우고 싶었지만 어찌된 셈인지 김좌진, 이범석은 제껴버리고 홍범도 낙점 보다시피 2020년 청산리 봉오동전투가 백주년이라 해서 이를 기점으로 권력에 의한 홍범도 마케팅이 최고조에 이를 때라, 예서 왜 굳이 권력이 홍범도를 골라냈을까 하는 의구심이 증폭한다. 청산리전투 기준 홍범도는 55세 노땅이고, 김좌진金佐鎭(1889~1930)은 32세 실전 지휘관, 이범석은 21살로 실제 말타고 날아다녔다. 바로 이에서 김좌진.. 2023. 8. 30. 친일파 대척에 선 우스꽝스런 민족주의자 우리가 전가傳家의 보도寶刀처럼 휘두르는 민족 혹은 민족정기라는 말은 그 자체 무엇의 가치판단 기준이 될 수 없으며 그런 까닭에 민족 혹은 그 반대편에 세운 반민족이라는 가치로 재단한 친일파는 성립할 수 없는 폭거라는 말을 나는 입이 아프도록 지적했다. 민족 혹은 민족정기라는 말은 그 자체 가치판단 준거가 될 수 없거니와 돌이켜 보면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저지른 폭거가 얼마나 많은가? 나치즘만 해도 게르만 민족주의를 저변에 깔고 있으니 꼭 나치즘이 아니라 해도 민족은 그 자체 절대선이어서 무엇을 그 기준으로 판별할 수 없는 폭력이다. 따라서 해방 직후 과거사 청산 일환으로 시도했다가 무산된 친일반민족행위자 처벌을 두고 이른바 역사를 한다는 자 중에서는 그것이 성공했어야 한다고 울분을 토하나, 그 자체 필연으.. 2023. 8. 30. 고려시대 차맷돌 출토 현황 그제 강화 묘지사지에서 고려시대 차맷돌이 출토되었다는 소식을 전했거니와 고려시대 차맷돌 출토 현황을 저 발굴조사단인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 도움을 빌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강화 선원사지 2. 청주 사뇌사지 3. 강진 월남사지 4. 한독의약박물관(3점) 5. 강화 선원면 창리산 173 유적 6. 포항 보경사 *** 7. 신안선(중국산) 초의선사기념관에도 한 점 있다고 김충배가 보완한다. 다음 링크도 춘배 소행이다.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370&fbclid=IwAR04jurZqchQuX5CBWOaARmUjJr8g1kvZpDQdMUo0xPh__CvrUmKTkL52gg [박동춘]맷돌과 풍로·철병 등 다양한 茶具 활용 - 현대.. 2023. 8. 30. 이전 1 ··· 1628 1629 1630 1631 1632 1633 1634 ··· 36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