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72

온라인 강의 안내 안녕하세요. 인도데칸대 고고학부 초청으로 아래와 같이 온라인 강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기생충 감염의 측면에서 바라본 하라파 문명"이라는 제목입니다. 관심 있으신분 참여를 바랍니다. 링크: https://meet.google.com/aff-hpsz-vib 2021. 11. 25.
모든 고고학도는 도둑놈이다 북한군 귀순병사를 수술한 아주대병원 이국종을 두고 이런저런 말이 나돈다. 그를 두고 한편에서는 영웅으로까지 칭송하는 움직임도 없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 그는 의사일 뿐이다. 그것도 요즘 의료계에서는 누구나 피한다는 외과 의사다. 듣기로 외과는 의료계 여러 부분 중에서도 힘이 들고 돈은 안 되고, 폼은 안 난다 해서 인기가 없다고 한다. 그런 시대에 소위 아덴만의 영웅을 살려내고, 그에다가 총알 몇 방을 맞았는지도 모르는 북한군 귀순병사의 목숨까지 살려냈으니, 왜 이국종을 호명하는가 생각하면, 나는 시대가 요구하는 명의名醫에 대한 열망이 있다고 본다. 명의란 무엇인가? 대중이 원하는 명의는 이미 드라마 《허준》 혹은 《김사부》가 제시했다고 본다. 명의는 돈이 아니라 인명을 위해 싸운다. 그는 위험에 빠진 .. 2021. 11. 25.
천안박물관 봉선홍경사 특별전 천안 시내에서 성환가는 방향으로 달리다 보면, 길 우측으로 너른 벌판에 우두커니 비석 하나가 있습니다. 비석이 있는 자리는 ‘홍경사(弘慶寺)’는 절이 있던 자리입니다. 지금은 비록 비석만 홀로 남아 쓸쓸히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위엄있는 비석의 모습만 보아도 과거 절의 규모와 위세를 느낄 수 있습니다. 홍경사는 고려시대 현종(顯宗)이 아버지 안종(安宗)의 뜻을 이어 완성한 절로 ‘봉선(奉先)’ 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1021년(현종12)에 절을 창건했다고하니, 올해가 꼭 1,000주년입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천안박물관에서 ‘봉선홍경사’ 특별전을 개최한 듯 합니다. 특별전시실 구조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맛있다, 천안’ 지난 전시와 같은 구조 입니다. 아무래도 지자체 박물관에서 전시실 구조.. 2021. 11. 25.
皇龍寺址廃棄物の穴から新羅時代の灯籠150点余りを発見 皇龍寺廃棄物の穴から新羅の灯籠150点余りを発見 国立慶州文化財研究所の調査…「8~12世紀の空間変化過程を把握」 (ソウル=聯合ニュース)新羅最高·最大の寺院として知られる慶州皇龍寺から統一新羅時代の灯籠が大量に出土した。 国立慶州文化財研究所は25日、年次発掘調査中の皇龍寺西回廊の西側地区から廃棄物の穴に埋められた新羅の灯篭150点余りを発見したと明らかにした。 油皿の直径は10㎝前後で、製作時期は8~9世紀と推定される。 皇龍寺では1976年から1983年まで行われた発掘調査でも多くの灯篭が発見されており、扶余·陵山里寺院跡からも百済灯籠80点余りが出土している。 国立慶州文化財研究所の関係者は「廃棄物の窪みからは主に瓦や土器が出てくるが、今回の調査地域の窪みには独特にも灯篭が一度に埋まっていた、窪みは建物の跡ではない所で確認された」と述べた。 続いて「お寺で火を灯した灯を一括し.. 2021. 11. 25.
Hwangnyongsa Temple Site yields numerous Silla-era lanterns Numerous pieces of lanterns found in a waste pit near Hwangnyongsa Temple Numerous pieces of lanterns found in a waste pit near Hwangnyongsa Temple SEOUL, Nov. 25 (Yonhap) -- A number of lantern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excavated at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one of the largest Buddhist temples, in Gyeongju, about 370 kilometres sou ... k-odyssey.com Hwangnyongsa Temple was built d.. 2021. 11. 25.
문화재 사진 찍다 마마무 화사 찾아나선 펜대 기자 방송사는 촬영기자가 있지만 신문이나 통신사에는 그에 해당하는 기자가 사진기자라 글로써 업을 삼는 펜대기자와는 업무성격이 확연히 다르다. 요새야 기자사회 역시 융복합이 일어나 펜대 기자 역시 사진은 물론이요 영상 방송까지 요구하는 시대긴 하다간 근간은 직능이 갈라진다. 나는 펜대기자로 입문한지 29년을 꽉 채웠으니 사진은 1998년 연말 문화재 분야를 전담하게 되면서 할 수 없이 손대기 시작했다. 내 기사 구미에 맞는 사진은 내가 찍을 수밖에 없어 울며 겨자 먹는 심정으로 조금씩 손대기 시작하다 나중에는 내가 문화재 사진기자인지 문화재 기자인지 헷갈리는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나는 사진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 혼자 부대끼며, 그리고 사진작가들이 찍는 모습을 흘깃흘깃하며 훔쳐보거나 가끔 가르침을 받았을 뿐.. 2021. 1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