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9 3천미터 같은 393미터 호암산행 한강 이남 서울 지도를 펼쳐보면 그 북쪽 중앙 지점을 정좌하는 북한산 견주어 남한산은 덩치나 높이, 또 무엇보다 위치로 로 볼 적에 실은 관악산이어야 하지만, 어찌하여 남쪽도 아닌 동산東山이라 불러야 할 그 남한산에 빼앗겼는지 귀신이 곡할 노릇이어니와, 이 관악산 줄기가 서쪽으로 흘러내린 끄터머리에 툭 튀어나왔다가 산으로의 기운을 소멸하는 지점이 호암산虎巖山이라, 해발이라 해 봐야 겨우 393미터에 지나지 않거니와, 해발 천미터 넘는 산이 사방으로 즐비한 소백산 기슭 출신인 나 같은 사람한테야 안마당에 지나지 않겠지만 문제는 그리 온산을 주름잡던 시절은 내가 어렸지만 팔팔해서 산을 날아다녔지만, 지금은 심신이 다 찌그러진 서울 사람이 되어 있다는 데 있을 테니, 저 산이 왜 호랑이[虎]는 차치하고 암산巖.. 2023. 6. 2. 대학로 오실 때면 들리시길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77년사 - 해부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기간 2023. 6. 16 ~ 11. 18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 특별전시실 77년 교실사라는 것은 해방된지 77년 되었다는 뜻입니다. 45년 당시 서울의대에서 해방 이전 이 대학 교수였던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는데 그 후 어떻게 변해갔는지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대학로 나들이 때 들리세요. 2023. 6. 1. 껴묻거리만 넣은 6세기 신라 무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아래와 같은 발굴 성과를 공개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동국대와 공동 발굴한 현장설명회 개최 - 쪽샘지구에서 최초 확인된 6세기 돌방무덤·단독 부장곽 공개 / 6.2.(금) 오후 3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는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총장 이영경) 고고미술사학과와 오는 2일 오후 3시 경주 쪽샘유적 발굴조사 현장에서 공동 발굴조사 성과와 출토유물을 공개한다. * 발굴조사 현장 : 경북 경주시 황남동 18-1 쪽샘지구 유적 조사 현장 두 기관은 지난 2020년 경주 구황동 지석묘를 시작으로 2021년부터는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군인 경주 쪽샘지구 유적에서 매년 공동으로 발굴조사를 해오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조사를 위한 기술‧행정‧예산을.. 2023. 6. 1. 한 다리 걸친 강화도-나를 채우는 섬 인문학(불광출판사) 강화도-나를 채우는 섬 인문학(불광출판사) 2023년 5월 30일 공저 어떤 경로를 통해서인지 알 수는 없으나 저 책 원고 중 한 챕터 집필 의뢰를 받고는 잠시 고민을 했으니 나한테 할당한 주제가 강화와 이규보인 까닭이다. 이건 마뜩한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로대 혹 블로그 게재하는 이규보 관련 글들 때문이 아닌가 해서 그 주집필자를 추천하려는 생각을 해 보기도 했지만 우야둥둥 이리 되고 말았다. 아마 출판사에서 기획서도 집필자들한테 돌리지 않았나 하는데 어차피 그래봐야 그 대목이 눈에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내가 맡은 부분만 되도록 제시간에 원고 분량 대강 맞추어 제출하면 그만이다. 챕터별 원고가 많지도 않아서 그 한 챕터는 나같은 나이에도 앉은 자리서 훑어내려가는데 부담이 없다. 책이 나왔다는 전갈은 일.. 2023. 6. 1. 소일에서 부여잡은 쥐꼬리 소명 육체적 고난에서 해방한 요즘은 되도록이면 점심이나 저녁 약속을 정하지 않으려 하며, 날이 갈수록 실제로도 그리되어 가는 심플한 생활로 들어가는 징후 완연하다. 문제는 그에서 오는 허함이라, 무엇인가 그 자리를 채워야 한다는 강박이 아직도 있는 걸 보면, 놓으려면 멀었다 싶기는 하다. 그제부터 시도한 점심시간 보내기가 공장 인근 박물관이나 미술관 같은 부속 자료실에 가서 이런저런 책이나 뒤지며(뒤진다 하는 까닭은 시력과 인내 때문이라, 그것이 바닥난 지금은 정독은 실상 불가능하다) 소일하는 일이라 어제 들른 서울공예박물관 자료실을 어슬렁거리다 보니, 같은 서울시 산하기관인 서울역사편찬원에서 근자에 전 3권으로 역주한 조선 숙종 연간 사대부 관료 엄경수嚴慶遂(1672~1718)가 승문원에 들어간 1706년을.. 2023. 6. 1. 탁본에 왕림한 서산마애삼존불, 미소는 어디에? 이 탁본을 이번 성균관의 보물 전에 내걸면서 박물관이 붙인 설명이 아래와 같다. 서산 마애삼존불상 탁본 국가지정문화재(국보) 286x22lcm, 백제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은 우리나라에서 탁본이 가장 많은 기관 중의 하나이다. 이는 한국 금석학의 대가이자 본교 박물관장을 역임하였던 우영 조동원 선생이 2010년 탁본 400여 점을 기증했기 때문이다. 성균관대 소장 탁본은 문화재의 보존을 위하여 탁본이 자유롭지 않은 지금에는 구할 수 없는 회귀본이 많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귀중하다. 좌측 탁본의 대상이 되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국보 제84호이며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의 충암절벽에 새겨져 있다. 가운데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였다. 본 마애불은 빛이 비치는 .. 2023. 6. 1. 이전 1 ··· 1770 1771 1772 1773 1774 1775 1776 ··· 36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