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98

바다 위 문무대왕릉 (2021.07.17.) 경주 문무대왕릉 (2021.07.17.)저 멀리 문무대왕릉이 보입니다. 문무대왕은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 갔을까요? 햇볕이 뜨거워 바다에 들어 가고 싶은 날이었습니다. 순간 망설이기도 했습니다. ‘발이라도 담글까.’ 나라의 평안을 위해 저 바다에 뿌려 졌다고 하는데, 대의에 비해 왠지 외로워 보입니다.    문무대왕릉 영상수중릉인 문무대왕릉의 설명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겠습니다. 경주 문무대왕릉경북 경주시 문무대왕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는 신라 문무왕의 수중릉. 사적 제158호이다. 사적 제158호. 대왕암(大王岩)이라고도 한다. 삼국통일을 완수한 문무왕(文武王)은 통일 후 불안정한 국m.terms.naver.com 2021. 7. 18.
경주 하늘 (2021.07.17.) 내가 간 날만 유독 그런 건지, 아니면 원래 경주 하늘이 이런 건지 색이 참 좋았다. 묘했다. 기록용으로 2021년 7월 17일 토요일 경주 하늘 사진을 남겨 본다. 하늘이 맑았다 흐렸다, 구름이 뭉게뭉게 피었다 새털같이 날리다, 아무튼 희한한 날이었다. 2021. 7. 18.
경주 양남 주상절리(2021.07.17.) 경주 양남 주상절리(2021.07.17.) 알고 있으면서 항상 깜박하는 사실. 경주에도 바다가 있습니다!! 경주에 가셔서 누가 첨성대만 보고 옵니까?! (첨성대 둥절ㅎㅎ) 경주에 왔으면 주상절리를 보고 가야 ‘아~~경주에 왔다 갔구나!’ 하는 거 아닐까요? 하하하. 부채꼴 모양 주상절리 주상절리는 주로 현무암과 같은 화산암에서 형성되는 육각기둥 모양의 돌기둥을 의미합니다. 주상절리 명소로 유명한 제주도 중문 주상절리나 광주의 무등산 주상절리는 위로 솟은 주상절리이나, 이 곳 양남 주상절리군을 이루는 주상절리는 부채꼴 모양 주상절리, 누워있는 주상절리, 기울어진 주상절리, 위로 솟은 주상절리 등 다양한 모양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저는 이 부채꼴 모양 주상절리를 볼때, 바닷 속에서 뜨거운 손들이 마구마구 .. 2021. 7. 18.
10년 지난 지금, 박물관은 바뀌었는가? 외규장각 특별전 보러 중앙박물관 가는중. 택실 탔다. "중박갑시다" 했더니 칠순은 된 듯한 우리 아저씨 이런다. "광화문에 있는거요?" 하기야 언젠간 어떤 아저씬 이러더라. "박물관이요? 그거 폭파하지 않았나요?" *** 꼭 십년전 오늘인 2011년 7월 18일에 있었던 일이다. 묻는다. 바뀌었는가? 대답하라! 2021. 7. 18.
프랑스 여성감독의 공포영화에 황금종려를 안긴 2021 칸영화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에 공포영화 '티탄'…두번째 여성감독 수상(종합) 최윤정 / 2021-07-18 05:21:33 감독상은 레오 카락스에게…이병헌, 시상자로 참석하고 봉준호 개막 선언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에 공포영화 ′티탄′…두번째 여성감독 수상(종합) (런던=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 = 칸 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이 프랑스 공포영화 ′티탄′(Titane)에 돌아갔다.17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4회 칸영화제 폐막식에서 쥘리아 뒤쿠르노(37) k-odyssey.com 모름지기 우리가 상을 받아야 그것이 '우리영화제'가 되겠는가? 수상작이나 후보작이 없어도 얼마든, 그 무대를 우리 것으로 만들 수 있음을 이번 칸국제영화제가 훌륭하게 증명했다 하겠다. 저에서 지적했듯이 칸영화제가 더는 우리한테는 먼나.. 2021. 7. 18.
경주 감은사지 (2021.07.17.) 경주 감은사지 (2021.07.17.) 건너편에서 감은사지 삼층석탑 바라보기. 가까이에서 탑을 보니 키도 크고 탄탄했습니다. 잘생긴 탑이 한 기도 아니고 두 기씩이나 양쪽으로 버티고 있으니, 왠지 의지하고 싶어 졌습니다. 감은사지로 건너 오기 불과 3분 전만 하더라도 하늘이 쨍하니 맑았는데, 어느새 탑위로 먹구름이 뭉게뭉게 몰려왔습니다. 오늘 참 희한한 날씨였습니다. 장항리사지를 지키는 화려한 오층석탑과는 확연히 다른 느낌을 주는 감은사지 석탑. 왠지 기대고 싶은 석탑이었습니다. 잘 지내다 좋은 모습으로 또 만나요! 경주 감은사지 경주감은사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 사적. [개설] 사적 제31호. 신라를 통일하고 동해 바다의 용이 된 문무왕을 위하여 만들었다는 설화가.. 2021.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