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94

대사헌 송순도 겨우 비집고 들어간 향안鄕案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명종 조 고사본말 송순宋純(1493~1582)에 대한 다음의 기록은 음미할 것이 대단히 많다. 유향소, 향약 연구자에게도 난해한 야사의 이 기록은 정치사회사로 풀어야 답이 있다. ○ 지방 향안鄕案은 반드시 안팎이 사족士族인 자를 가려서 기록하는데, 외족이나 처족이 혹 딴 고을에서 와서 나타나지 않는 이는 비록 좋은 벼슬을 지낸 이라도 향안에 쓰지 못하니, 그 어려움이 홍문록弘文錄이나 이조천吏曹薦보다도 더 하였다. 공은 담양에 살고 그 외가는 남원인데, 현관顯官이 없으므로 향안엔 참여할 수 없었다. 공이 대사헌으로 휴가를 받아 성묘하러 시골에 갔다가 마침 고을 사람이 향청에 모인다는 소식을 듣고, 곧 술과 안주를 많이 장만하여 향청으로 보내며 먼저 친한 사람을 시켜 향로鄕老들에게 말.. 2023. 4. 14.
학계에서 소위 "원래 다 알던 이야기"라는 소리 필자는 연구 주제가 워낙 오타쿠 스러운지라 발표를 하면 "원래 다 알던 이야기"라는 소리 들어본 적이 몇 번 없다. 듣는 쪽도 처음 듣는 소리거든. 그런데 필자가 이런 오타쿠 스러운 이야기만 한 건 아니고, 가끔 다른 주제로 논문을 쓰다 보면 돌아오는 이야기 하나가, "이건 원래 다 알던 이야기"라는 것이다. 알긴 뭘 알아? 관련해서 나온 논문 하나 없던데. 검색해도 논문 한 편 없는데 그럼 알면서 지금까지 학계에서 이야기도 안 했다는 소리임? 이것이 큰 병폐인데, 간단히 써보면, 첫째는 발표된 논문 한 편 없는 주제를 가지고 "이건 다 알던 이야기"라고 우기는 것. 두 번째는 소위 말하는 학계 주류가 아니면 아무리 일찍 그 주장을 하더라도 없는 것으로 씹고 인용도 안 하는 것. 학계라는 건 公器다. 처.. 2023. 4. 14.
[photo news] 만개한 모과꽃 모과는 열매는 크나 꽃은 코딱지 만하다. 이 작은 꽃이 코딱지 만 배나 되는 열매를 선사하니 이 또한 기적이 아니겠는가? Quince flowers in full bloom 2023. 4. 14.
뒤늦은 장성 맥호리 동정마을 돌배꽃 장성 맥호리 동계마을 돌배나무다. 노거수老巨樹인 데다 수형樹形 또한 좋아 매년 이맘쯤이면 그 만개한 꽃이 장관을 선사하나 이번엔 시기를 놓쳐 꽃이 많이 졌다.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해야 한다. 얼마 전 강한 바람에 저 꼴이 되고 말았지만 나무야 꽃을 피우는 일이 번식과 생장을 위한 필요조건이지 않겠는가? 이 돌배는 크기가 아주 작은 재래종 배로, 그 열매, 특히 씨방이 돌과 같이 단단하다 해서 저리 일컫는 게 아닌가 하는데 그 익은 돌배는 먹을 게 적으나 단물이 많고 목재는 경판이나 가구 만드는 데도 애용했다. 2023. 4. 14.
옛날신문과 직지, 그리고 박병선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3/04/14/S36WOZXRBNGZHBUS4G2BHB2LVY/ 박병선이 ‘직지’ 첫 발견자 맞나...50년만의 공개가 불러낸 논란 박병선이 직지 첫 발견자 맞나...50년만의 공개가 불러낸 논란 www.chosun.com 오늘자 신문. 그런데 재미있는 건 네이버 옛날신문을 찾아보니 당시 정황을 대충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한국 서지학자들은 당시 이거 프랑스에 있는지도 몰랐던 것 같음. 그리고 박병선 선생이 감정을 요청하며 복사본을 들고 왔는데 이쪽에서는 금속활자인지 아닌지도 구별을 잘 못한 것 같은데.. 당시 국회도서관장이라는 분은 직접 프랑스로 가서 박병선 선생 통해서 실물을 실견한 모양인데 목활자라고 .. 2023. 4. 14.
일본 동양사학의 거물 시라토리 구라키치 白鳥庫吉의 엽서 이른바 '식민사학'의 계보를 읊을 때 빠지지 않는 인물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1865-1942). 그의 사진이나 글은 접한 이들이 적지 않겠지만 그의 글씨를 본 분은 좀 드물 것이라 생각한다. 이 엽서는 그가 어느 봄날(소인이 흐려서 연도는 분명치 않다) 서울 '경성호테루'에 머물며 지인에게 부친 것이다. 조선 땅에 와서 불국사 근처 옛날 탑도 보고, 강서 진남포도 간 모양인데 일본 초서가 되놔서 읽기가 쉽지 않다. 그래도 글씨는 제법 유려한 편이다. 2023.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