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94

발광發狂을 예비하는 모란 남쪽에선 이미 만개했다는 소식이 있는 모란이 서울에서는 그 직전이라 파열破裂을 준비한다. 모란이 피는 스무날, 도성 사람은 모두가 미쳐 날뛴다 낙천樂天 백거이白居易가 노래한 그 꽃이 파열을 예비한다. 화왕化王의 발광이 끝나면 아왕亞王의 발광이 시작한다. 모란과 작약 만개하는 봄은 발광이다. 모란 피고지는 스무날, 온 장안이 발광하노라 모란 피고지는 스무날, 온 장안이 발광하노라모란꽃 향기[牡丹芳] [唐] 백거이(白居易, 772 ~ 846) / 김영문 選譯 모란꽃 향기롭네 모란꽃 향기로워홍옥으로 만든 방에 황금 꽃술 터졌네천 조각 붉은 꽃잎 노을처럼 찬란하고백 가지 진홍 꽃이 historylibrary.net 2023. 4. 15.
온실溫室, 비닐하우스 인공 재배가 조선왕조 발명품이라는 개소리에 대하여 자치통감資治通鑑 권 제49, 한기漢紀 41, 후한 효상황제孝殤皇帝 영초永初 6년 임자壬子(서기 112)에 이르기를 春, 正月甲寅, 詔曰:“凡供薦新味, 多非其節, 或郁養强孰, 或穿掘萌牙, 味無所至而夭折生長, 豈所以順時育物乎! 《傳》曰:‘非其時不食.’自今當奉祠陵廟及給御者, 皆須時乃上.”凡所省二十三種. “무릇 새로운 맞을 바친다 하지만 대부분 그 절기에 맞지 않아 때로는 토지를 일부러 뜨겁게 해서 억지로 익게 하거나 때로는 땅을 파서 일찍 발아시키기에 제 맛이 나지 않고 제대로 생장하지 못하니, 어째 때에 맞춰 식물을 길렀다 하겠는가? 전傳(논어 향당鄕黨 편)에 이르기를 ‘때에 맞지 않는 것은 먹지 않는다’ 했으니 지금부터는 사당이나 능묘에 제물로 올리는 것과 황실에서 올리는 것은 모두 제철에 나는 음식을 해.. 2023. 4. 15.
도량형 척尺과 장丈에서 비롯한 대장부大丈夫, 그리고 지도로至都盧 신체 건장한 남자를 지칭하는 말로 대장부大丈夫가 있다. 이 말은 어디에서 비롯하는가?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부夫라는 글자를 풀기를 “周制八寸爲尺, 十尺爲丈, 人長八尺, 故曰丈夫.” 라 했으니, 이는 “주周나라 제도에서는 8촌寸을 1척尺이라 하고, 10척十尺을 1장丈이라 했다. 사람 키는 8척이라 그런 까닭에 장부丈夫라 한다.” 는 뜻이다. 그렇다면 1척尺은 현대 미티법에 의하면 어느 정도일까? 《한어대사전漢語大辭典》 중 중국 역대 제도연변측산표中國曆代度制演變測算表에 따르면, 1척이 상商나라 시대에는 15.8㎝요, 진秦나라에서는 23.1㎝이며, 동한東漢 시대에는 23.75㎝, 서진西晉시대에는 24.1㎝라 한다. 이로써 보건대 옛날 사람들이 어떤 사람을 지칭해 1丈이니 8척이니 한 것은 성인 남자 키임을 .. 2023. 4. 15.
[인사] 문화재청 2023-04-14 문화재청은 4월 14일자로 다음과 같이 인사발령하였다. ▶ 과장급 전보 ㅇ 국가유산정책기획단장 서기관 장구연張久連 ㅇ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무과장 서기관 조주성趙柱盛 ㅇ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기획과장 서기관 김윤수金允洙 2023. 4. 15.
숙수宿水를 말놀음한 소수紹修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소백산 기슭을 정좌定座한 소수서원紹修書院은 애초 이름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라, 한국 최초의 서원이면서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이라 해서 대서특필하거니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풍기군수를 역임한 주세붕周世鵬(1495~1554)과 이황李滉(1502~1571)이 그 개창주다. 즉, 풍기군수로 재임하는 주세붕이 처음 이 학당을 세울 때는 백운동이라 했다가, 나중에 같은 풍기군수로 재임하면서 퇴계가 주동이 되어 소수紹修로 개칭한 것이다. 서원은 극한 예외가 없지는 아니하나, 그것이 위치하는 데를 따라서 이름을 짓는다. 김녕김씨 집성촌인 내 고향 경북 김천 대덕면 조룡만 해도, 백촌 김문기 할배를 배향한 서원을 이름하기를 섬계剡溪라 하니, 이 서원 앞을 지나는 시내 이름이 섬계인 데서 말미암음이다.. 2023. 4. 15.
국립전주박물관 강연록 '무령왕릉과 쌍릉사이, 백제장인들의 눈물겨운 생존투쟁' 전문 파일 2023 국립전주박물관 박물관대학 '문화재 그 이면의 이야기' (국립전주박물관 강당) 중 4월 13일 첫 번째 강좌로 나는 아래를 강연했다. 무령왕릉과 쌍릉사이, 백제장인들의 눈물겨운 생존투쟁 이 강연록은 이미 챕터별로 농가 게재했지만, 그 원문 전체 파일을 첨부한다. 오타 등등이 더러 발견되는데 곤치지 아니했음을 밝힌다. 2023.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