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08

70년대에 부활한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증보판 주인공은 무령왕릉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당시 시대상황을 고려하면, 또 지금 봐도 사상 유례없는 호화양장의 거질 조선 고고미술 씨리즈다. 총기획은 조선총독부. 소위 식민사관의 본산과도 같은 뿌리로 분류된다. 조선 식민통치의 부산물이며 그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목적은 하늘이 두쪽 나도 부인할 수 없다. 문화재관리정책 치고 그렇지 아니한게 있던가? 일제 패망과 더불어 뒤안길로 사라진 이 고적도보가 느닷없이 1970년대에 부활한다. 똑같은 표지에 똑같은 양장으로 증보판을 낸 것이다. 총감독은 아리미쓰 교이치..유광교일有光敎一. 조선총독부에서 조선고적조사에 다년간 종사한 자로써 103세인가를 살고는 몇년 전 사망했다. 이 증보판 필자가 누구인지 아는가? 70년대에 부활한 조선고적도보 증보판 필자가 누군 줄 아는가? 이 증보판에.. 2021. 5. 19.
옛날 도서관의 주의사항 "책장을 넘길 때 손에 침칠을 마십시요" 2021. 5. 18.
사진으로 감상하는 고창 청보리밭 게을러 필설은 삼간다. 2021. 5. 18.
300t 크레인으로 옮긴 90t 고인돌 어랏? 위치가 바뀌었다. 지금은 고창고인돌박물관 정문 중앙지점에 갖다 놨다. 이전엔 그 인근 대략 백미터 정도 떨어진 유적 진입로 입구 대로변이었다. 이 큰 돌덩이를 어케 옮겼느냐니 고창군청 담당자 말이 가관이다. "돈으로 안되는 게 있간디요?" 삼백톤짜리 크레인을 동원해 옮겼단다. 이 계산리 고인돌에 대한 안내판 설명은 다음과 같다. Gyesan-ri Dolmen 鷄山里支石墓 이 고인돌은 2003년 농촌 용수 개발 사업을 위해 발굴 ·조사한 다음 학전리에 이전 복원하였다. 그 후 고창 고인돌의 다양성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10년 4월에 고인돌박물관으로 이전하였으며, 형식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초대형급 바둑판식 고인돌이다. (무게 90톤, 길이 6.5m, 너비 3.5m, 두께 3.4m) Thi.. 2021. 5. 18.
[천안 천흥사論] (1) 만남의광장 봉선홍경사와 톨게이트비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 191번지 일원에 소재하는 천흥사지天興寺址라는 절터가 외부로 알려진 동기를 보면 첫째 여전히 현장을 지키는 두 문화유산, 곧 천흥사지 오층석탑과 천흥사지 당간지주, 둘째 제자리를 떠나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천흥사지 동종 크게 두 종류로 말미암는다. 전자 석탑과 당간지주는 이곳에 절터가 있었음을 웅변하며, 아울러 그 분포양상을 대략 짐작케 하는 반면, 후자는 천흥사라는 절과 그 동종을 만든 내력을 짐작케 하거나 알려준다. 전자는 꼭 석탑과 당간지주가 아니래 해도, 이번 발굴조사 이전까지 과수원으로 변한 주변으로 이 일대 어느 시기에 절과 같은 대규모 건축물이 있었음을 짐작케 하는 각종 흔적이 농후하게 발견됐다. 여타 옛날 절이 그렇듯이 천흥사 역시 그 정확한 .. 2021. 5. 18.
고창 두락암斗絡巖 두암초당斗巖草堂 깎아지른 수직 절벽이다. 시루떡 자르듯 했다. 오르는 길 백척간두 쭈쭈빵빵 소나무 빼빼로 잔치다. 비름빡 아담 사이즈 건물 하나 기와집인데 두락초당이라 간판달았다. 진안 수선루랑 여로모로 비슷하나 풍모는 조금 다르니 여긴 모기가 덜 극성인듯 변기 걸친 고추마냥 턱 걸쳐 조망하니 사해가 한 눈이라 비름빡 숭숭 구멍 어쩌다 피부관리 이 모양인지 레이저빔 수술한번 하자꾸나 바위틈 머루가 열린다. 2021.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