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83 도성7문都城七門(2) 근거없는 기록은 없으나 도성 칠문은 붉은 원으로 표시한 창의문, 돈의문, 소의문, 숭례문, 광희문, 흥인문, 혜화문을 이르는 듯하다. 파란 네모칸에 표시된 숙정문과 남소문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숙정문은 비상시 국왕의 피난에만 이용하므로 항상 당혀 있었고, 성문위 누각도 없었다. 여기에도 숙정문 대신 숙암문으로 쓰여 있다. 남소문은 예종 때 의경세자 죽음이 남소문이 열렸기 때문이라는 말에 따라 폐쇄되어 쓰이지 않은 문이다. *** previous article *** 도성7문 都城七門 도성7문 都城七門 《만기요람》 군정편軍政編 2 〈병조각장사례兵曹各掌事例 무비사武備司〉에 자물쇠[鎖鑰] 궁성·도성 각 문은 자물쇠가 만일 파손된 것이 있으면 용호영龍虎營에서 수리하여 주며, 물자[物 hist.. 2021. 3. 31. 도성7문 都城七門 《만기요람》 군정편軍政編 2 〈병조각장사례兵曹各掌事例 무비사武備司〉에 자물쇠[鎖鑰] 궁성·도성 각 문은 자물쇠가 만일 파손된 것이 있으면 용호영龍虎營에서 수리하여 주며, 물자[物力]는 호조에서 지출한다. 도성 7문의 자물쇠는 문마다 2개씩을 만들어 두고, 파손되면 곧 바꿔 쓰도록 한다.[鎖鑰○宮城,都城各門鎖鑰。若有破傷則自龍虎營修改以給。而物力。戶曹支下。都城七門鎖鑰。每門各二。有傷替用。] 라고 하였고, 《육전조례》 권7 병전 갱생색梗栍色 총례(總例)에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봐도 도성 7문都城七門이 구체적으로 어떤 문인지 알려주는 자료가 없다. 2021. 3. 31. <나의 자연유산 답사기>,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창》 소식지 촬영 뒷이야기 좋은 기회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나오는 소식지인 《문화재 창》의 한 코너에 나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로 !! 2021년을 시작하는 봄호에서 저의 소식을 전할 수 있어서 기쁘고, 또 이렇게 기회를 주신 국립문화재연구소, 그리고 명승팀 분들에게 감사합니다! ^^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쵤영날 뒷이야기지만, 봄호라는 컨셉이 맞게 나름 봄스럽게 입고 촬영을 했는데요, 2월 중순 강원도는 정말정말 추웠습니다. 자세히 사진을 보시면 코끝이 빨간....ㅎㅎ 하지만 절대 추운 모습을 비추면 안된다는 생각으로 프로정신(?)을 갖고 즐겁게 촬영했습니다! 촬영날 재밌는 사진을 마구마구 올려드리고 싶은데, 사진을 찍히는 입장이라 제가 잘 찍을 수도 없었을 뿐더러, 정말 기온이 낮아 핸드폰이 꺼졌습니다. 어느정도 추위인지 .. 2021. 3. 31. 발굴보고서 발간 법제화가 초래한 변화 이를 부른 주동세력은 첫째, 국립박물관 둘째, 대학박물관이었다. 국립박물관은 그 중요한 경주 조양동 유적을 파고도 30년 이상 보고서를 내지 않았다. 비단 조양동 뿐인가? 단 한 군데도 제대로 보고서를 낸 데가 없었다. 대학박물관은 더 했다. 그 옛날 통장 관리를 교수놈들이 개인 통장으로 할 때라, 발굴비는 지가 다 삥땅 쳐서 고급 승용차 굴리고, 아파트 사고 부동산 투자할 때라, 막상 발굴이 끝나고 나면 나몰라라, 유적 유물 정리가 하세월이었으니, 모든 대학박물관이 이 꼴이었다. 이 꼴은 더는 보지 못한다 해서 내가 칼을 뺐다. 틈나는 대로 조졌다. 그랬더니, 그런 빚을 진 자들이 다 이따우 소리를 해댔다. "연구도 제대로 안 됐는데, 보고서를 어째 내노? 섣부르게 보고서 내마 일본놈들만 좋데이" 내가.. 2021. 3. 31. [明] 구영仇英의《적벽도赤壁圖》 명나라 구영(仇英, 약1494~1552)의《赤壁圖》. 얼마전 실제 적벽이 초라하기 그지없다는 것을 알았다. 2021. 3. 31. 영암 옥야리 고분군 시‧발굴조사 17호 ~ 19호분 영암 옥야리 고분군 옹관묘서 마한 수장 인골 출토…학계 주목 조근영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9 10:04:25 유사 사례 거의 없어 학계 소중한 자료 평가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3147014293 영암 옥야리 고분군 옹관묘서 마한 수장 인골 출토…학계 주목 (영암=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영암군은 영산강 고대 마한문화를 규명하고 사적 지정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옥야리 고분군(전남도 문화재자료 제140호)에 대한 시굴조사를 시행했다고 29일 밝 k-odyssey.com *** 이 보도 토대가 된 고대문화재연구원 시발굴조사 약보고서는 아래와 같다. ❍ 조사명 : 영암 옥야리 고분군 시‧발굴조사 ❍ 조사경위 : 분류 기 간 조 사 내 용.. 2021. 3. 31. 이전 1 ··· 1927 1928 1929 1930 1931 1932 1933 ··· 32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