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9

발해 지방 특산품 2022. 12. 26.
고려왕조 행정구역 편제 3경 4도호부 12목 2022. 12. 26.
조선시대 조운창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 이걸 보면 평양 이북 지역은 면세지역이었음을 안다. 자체 조달해서 먹고 살아라 이거였던가? 그렇다 해서 저짝에서 공진품이 없었느냐 하면 그게 아니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2022. 12. 26.
이자춘-이성계는 여진을 움직였다 14세기 말. 원나라가 쇠락의 길을 걸으면서 고려도 이에 대한 반격을 시작한 바. 공민왕은 쌍성총관부를 수복할 계획을 세우면서 현지 유력자인 이자춘과 비밀리에 접촉한다. 그 당시의 정황이 왕조실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때 기 황후(奇皇后)의 종족(宗族)이 황후의 세력을 믿고 몹시 난폭했으며, 황후의 형 대사도(大司徒) 기철(奇轍)은 쌍성(雙城)의 관리 조소생(趙小生)·탁도경(卓都卿)과 몰래 통하여 서로 당(黨)을 지어 반역을 꾀하였다. 왕이 환조에게 이르기를, "경(卿)은 우선 돌아가서 우리 백성들을 진무(鎭撫)하라. 혹시 변고가 있으면 마땅히 내 명령대로 하라." 하였다. 이해 5월에 기씨(奇氏)를 평정하고 밀직 부사(密直副使) 유인우(柳仁雨)를 명하여 가서 쌍성(雙城)을 토벌하게 하였다... 2022. 12. 26.
발해의 용원龍原이라는 이름 (2) 앞서 쓴 글에서 발해의 동경용원부東京龍原部야 말로 대조영 일가의 세거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제 "동경용원부" 영역을 보자. 한규철 선생 책에 올라있는 그림인데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것을 퍼왔다. 용원부 서남쪽에는 남경이 있다. 대략 남경남해부는 북청 함흥 일대로 고려의 북쪽 경계를 이루던 지역에 해당한다. 남경남해부와 동경용원부 경계는 어디쯤이었을까? 당연히 이전에도 이 두 지역의 지리적 경계였던 마운령 어디쯤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발해가 망한 후 고려는 남경남해부 일부를 점거하고 천리장성을 쌓은 상태였다고 할 수 있겠는데, 윤관의 북벌은 동경용원부와의 경계까지 진출하여 남경남해부 전체를 석권한 전역이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바로 그 진출 경계선이 진흥왕 순수비가 서 있는 지점이었다고 하겠다.. 2022. 12. 26.
발해의 용원龍原이라는 이름 (1) 앞서 발해의 행정 구역 이름을 보면 발해인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발해 15부 하루종일 직장에서 바빴다. 이제 한숨 돌리고 장성 이야기를 계속 쓴다. 잠깐 이야기를 돌려 발해를 보자. 우리는 발해사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 발해는 시종일관 중국과 신라와 대립했고 군사 historylibrary.net 발해의 오경 중 동경용원부라는 곳이 있다. 5경 중 한 곳이 위치한 데다. 보통은 발해 건국자인 대조영 집안을 상경용천부가 있는 지역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필자가 보기에는 대조영 집안 세거지는 상경용천부가 아니라, 이곳 동경용원부 지역이다. 어떻게 아느냐? 동경의 이름을 보면 짐작할수 있다. 龍原이라는 이름은 아무 데나 붙이는 게 아니다. 필자의 짐작이 맞다면, 대조영 집안은 두만강 하.. 2022. 1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