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6 학력차별 전공차별, 문화재판을 좀먹는 암덩어리들 나는 그런대로 좋다는 대학 나왔고 그런대로 좋다는 학과를 나왔으며, 종잇쪼가리에 지나지 않으나 이른바 문화재 관련이라 분류할 만한 석사 학위도 있고 박사는 수료한지 백악기 시대다. 이런 내가 오직 분노하는 데가 있으니 학력차별 전공차별이다. 왜 내가 어떤 일을 선택하는데 대학을 나오고 관련 전공을 했느냐가 장벽이어야 하는가? 이 꼴이 문화재판에서도 갈수록 기승이라 뭘 뽑는데 대학을 나와야 한다 하고 관련전공을 해야 한다고 갈수록 규제를 강화한다. 어제도 이런 일이 있어 열받아 해부쳤다. 관련학과? 역먹어라. 너희 문화재청장과 문화재청차장도 대학 출신이긴 해도 이른바 문화유산 관련학과가 아니다. (참고로 차장은 대학원박사를 이쪽으로 해서 신분을 세탁했다.) 더 웃긴 건 이런 정책을 입안하는 실무자나 간부도.. 2022. 12. 10. 현판, 격조 있는 알림 1. 보고서를 쓰면서도 느낀 것이지만, 현판이란 기본적으로 이 집이 무얼 하는 곳이라는 표시이다. 만약 저 대리석 현판이 없더라면 저 건물이 그 유명한 '통문관'인지 쉽게 알겠는가. 하지만 없더라도 어찌어찌 알 방도야 있을 것이다. 들어가서 물어본다든지 지번을 검색해본다든지. 2. 어쩌면 현판의 더욱 중요한 쓰임이란 이 건물을 쓰는 사람의 생각과 격조를 다른 이들에게 보여주고 은근히 자랑하려 함이 아닐까? 저 '통문관' 현판이 만약 검여 유희강의 글씨가 아니라 그냥 컴퓨터 폰트였더라면...어후, 상상에 맡길 뿐이다. 3. 생각해보건대 현판의 용도와 성격을 가장 극명하게 얘기하신 분은 바로 현철 선생님이 아닐까 한다. 왜 그분의 히트곡을 들어보면... "이름표를 부~~ㅌ여 내~가슴에, 화~ㄱ실한 사랑의 도.. 2022. 12. 10. 지석誌石, 저승세계로 가는 도로 안내판 지석誌石은 묘지명墓誌銘 일종이나 무덤 밖에서 여기가 누구 무덤임을 표지하는 신도비神道碑 혹은 갈기碣記碑와는 달리 무덤 안에다가 시체랑 같이 묻는 표식이라는 점에서 갈 길을 달리한다. 그 구체하는 매장 위치는 일정한 패턴이 없어 중국의 경우 현실玄室 통로 쪽에 두는 관례가 있으나 고려나 조선의 경우는 봉분 흙더미나 그 바깥 묘역에 묻는 일이 많았으니 힘께나 있는 집안에선 신도비랑 지석을 동시에 세우거나 묻었으나 아무래도 신도비 쪽이 돈이 많이 들고 또 그걸 세우는 자격에 제한도 있어 지석만 넣는 일이 많았으니 그 내막이 무엇이건 여기가 누구네 무덤임을 표식하는 구실에는 변함이 없다. 경기도박물관이 이런 지석만을 조명하는 특별전을 꾸미고선 사람들을 유혹한다. 이런 자리를 장만했다기에 자칫 무미하기 짝이 없을.. 2022. 12. 9. 반복되는 기억: 두번째 멸망 백제는 정확히 말하자면 두 번 망한 것이다. 첫번째는 서기 476년. 앞에서 설명한 한성 함락으로 개로왕은 참수당하고 사실상 당시 백제 지배층을 이루던 이들이 몽땅 사라져버리면서 나라가 공중분해되었다. 이후 백제가 부흥하는 과정은 실로 남송이 다시 일어나는 과정에 비유할 만한데, 문주왕과 삼근왕을 끝으로 개로왕 직계가 소멸하자 왕위계승 서열상 가장 가까운 곤지 계열이 왕위에 차례로 오르기 시작했을 것이라 하였다. 곤지는 알다시피 한성함락 이전 이미 왜로 가 있던 상황이었으므로 당연히 이 계열은 왕위를 요구할 상황이 아니었지만 한성함락으로 개로왕 직계가 사실상 소멸함으로써 이들에게 기회가 왔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곤지 계열은 남송의 황실, 동한의 광무제처럼 이전의 백제와는 이질적이라 할 수 있는데 비록 왕.. 2022. 12. 9. 유혁로柳赫魯라는 인물의 글씨 요즘은 학교에서 갑신정변(1884)을 어떻게 가르치는지 모르겠지만, 예전(이라고 해봤자 20년쯤 전) 교과서에는 개화파가 조선을 개혁하려는 의도로 벌인 사건이라는 식의 긍정 서술이 많았다고 기억한다. 김옥균 위인전도 있었고(물론 거기서 김옥균은 '위인'스럽게 나온다) 역사만화전집 같은 데서도 '젊은 그들'의 행보는 진취적으로 묘사되곤 했다. 하지만 머리가 굵어지면서 다시 본 갑신정변은 그리 긍정이지 않았다. 비유컨대 숯불 속에서 설익은 감자를 꺼내려다 손만 데고 감자마저 떨구어버린 격이랄까. 전개과정만 그랬다면 몰라도 이후 이른바 개화파 행보는 실망스러운 것이었다. 10년을 더 살았으나 허랑하고 만 김옥균은 그렇다 치더라도, 나라를 구하겠다고 일어선 이들이 뒷날 나라 망하는 데 손을 보태고 만 건 지독한.. 2022. 12. 8. [유성환의 이집트 이야기]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6) 파라오의 저주? 왕묘가 발견된 후 몇 주 뒤 영국의 제5대 카나본 백작 조지 허버트(George Edward Stanhope Molyneux Herbert, Fifth Earl of Carnarvon: 1866-1923년) 경은 면도를 하다 모기에 물린 부분을 잘못 건드렸는데 이때 그만 상처가 덧나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이 부분에 심각한 염증이 생겨 1923년 4월 5일 결국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공식적인 사인은 패혈증에 의한 폐렴이었습니다. 그러나 대중의 관심을 끌만한 사건에 언제나 목말라하던 언론에 의해 ‘파라오의 저주’(curse of the pharaohs)라는 해묵은 미신이 또다시 기사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편승하여 카나본 경이 사망한 날 “카이로 시내가 정전되었다”는 이야기, 그리고 “사망한 바로 그 시각.. 2022. 12. 8. 이전 1 ···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 36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