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6

백제: 한성함락과 곤지왕 앞서 북송의 멸망 과정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지배세력의 교체가 태종계열에서 태조계열로 이루어졌음을 언급하였다. 필자의 생각에는 이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진 시기가 바로 백제의 한성 함락이다. 고구려 장수왕에 의한 한성함락이 어떻게 벌어졌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이 블로그 김단장이 쓰신 "풍납토성~"에 자세하니 부연하지 않겠다. 사실상 이 당시 개로왕으로 상징되는 한성백제의 주류는 풍비박산 나다시피하여 북송의 멸망을 연상시킬 정도였다고 보는데, 개로왕 이후 백제왕 계보에 대해서는 워낙 이설이 난무하여 여기에 일일히 그 설들을 하나하나 따질 생각은 없다. 다만 주목할 만한 사실은 한성함락과 함께 백제왕권과는 거리가 있었다고 보이는 곤지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보이는 (혈연적으로나 의제적인 관계에서나).. 2022. 12. 8.
김태식이 기록한 권중달 자치통감 완역 실록 28권으로 재탄생한 '자치통감' 번역본…판매수익, 장학기금 기부 김예나 / 2022-12-08 07:33:00 권중달 교수 50여년 연구·번역에 '이정표'…"정본 의미 지닌 마지막 판본"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34266870581 28권으로 재탄생한 ′자치통감′ 번역본…판매수익, 장학기금 기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중국 북송시대의 역사가 사마광(1019∼1086)이 쓴 ′자치통감′(資治通鑑)의 한글 완역본이 새로운 구성으로 출간됐다. 도서출판 삼화는 최근 번역서 27권과 해설서 k-odyssey.com 자치통감 완역이라는 오직 한 길만을 향해 반세기 열정을 쏟아부은 권중달 중앙대 명예교수가 또 하나의 금자탑을 쌓았으니, 20.. 2022. 12. 8.
발굴 인부의 문화유산상 수상을 마주했을 때 발굴 현장인부의 문화유산상 수상에 부친다 어제 문화재청이 발표한 '2015년 문화유산보호 유공자 포상 대상자' 중에는 대통령 표창 보존·관리 부문 수상자 최태환 반장이 포함됐다. 한데 그 어떤 기자도 최 반장의 수상 의미를 제대로 짚은 이가 없다. 문화재청이 발표한 그의 공식 직함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월성발굴조사단 현장반장....현장반장은 현직 공무원이 아니다. 최 반장은 누구인가? 발굴인부다. 생평을 발굴현장에서 직접 삽과 곡갱이 호미로 땅을 파는 발굴인부다. 내 기억에 그가 이 분야에 발을 딛기는 1966년 경주 방내리 고분 발굴이다. 이후 이 분은 지금까지 생평을 발굴현장에서 발굴인부로 일한다. 최 반장은 경주관광개발계획 당시에는 4대 현장반장이었다. 두 분은 이미 타계하고 '용만반장'이라 .. 2022. 12. 8.
흥선대원군이 쓰던 사구인詞句印 만 권이나 되는 기이한 책 쟁여놓고서 欲藏萬卷異書 죽도록 파고들어 휘파람 불며 읊으련다 終身嘯詠其中 평생 정치의 소용돌이를 만든 석파 태공도 마음 깊숙이 저런 삶을 꿈꾸었던 것일까. 하지만 그런 소망을 이루기엔 조선의 근대가 너무도 슬펐으니. (2019. 12. 5) 2022. 12. 8.
거미줄 걸린 매미를 풀어주며 by 이규보 그동안 좀 격조했는데, 모처럼 짬이 난 김에 별밤 들으면서 한 장 그려보았다. --- 저 교활한 거미는 그 종류가 아주 많구나. 누가 너에게 교활한 재주 길러 주어 그물 만들 실로 둥근 배를 채웠는가. 어떤 매미가 거미줄에 걸려 처량한 소리를 지르길래 내가 차마 듣다 못하여 놓아 주어 날아가도록 했더니 옆에 서 있던 어떤 자가 나를 나무라면서, “오직 이 두 미물微物은 다 같이 하찮은 벌레들인데 거미가 자네에게 무슨 손해를 끼쳤으며 매미는 자네에게 무슨 이익을 줬기에 오직 매미만 살리고 거미는 그만 굶겨 죽이려 하느냐? 이 매미는 자네를 고맙게 여길지라도 저 거미는 반드시 억울하게 생각할 것이다. 매미를 놓아 보낸 것에 대해서 누구든 자네를 지혜롭다 하겠는가?” 하였다. 나는 이 말을 듣고 처음에는 이마.. 2022. 12. 8.
황룡사 터, 그 완벽한 폐허 어쩌다 경주를 다녀오고선, 그러고 또 어쩌다 황룡사 터를 찾고선 흔연欣然해져 넋을 잃은 작가는 말한다. "겨울이고 저물녘이라 더 그랬을 것이다. 봄이나 여름이나 가을이고, 새벽이나 한낮이라도 나름의 정취는 고스란했을 테다. 예술품에 '완벽하다'는 말이 쓰일 수 있다면 석굴암에 그러할 거라 했는데, 폐허에 '완벽하다'는 말을 쓸 수 있다면 황룡사지에 그럴 것이다." 그러면서도 못내 독자 혹은 청중이 믿기지 못한 듯 "그냥 가보시라, 황룡사지, 그토록 위대한 폐허"를 부르짖는다. 무엇이 이토록 그를 매료했을까? 그는 말한다. "화려했던 과거를 되짚을수록 현재의 폐허는 허무로 깊어진다." 상술하기를 "거대한 초석들 위에 세워졌을 거대한 기둥은 온데간데없다. 사라진 영화, 사라진 신전 앞에 머리를 조아릴 필요는.. 2022.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