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5

성북구립미술관 윤중식화가 전시 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윤중식의 타계 10주기를 추모하는 기획전시 《회향懷鄕》을 진행하였습니다. ‘진행하였습니다.’ 라고 한 건, 네 맞습니다. 전시가 7월 3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못 보신 분들이 있을 듯 하여 사진공유하겠습니다. 윤중식작가의 작업실 모습을 재현한 전시가 참 좋았습니다. 작가가 사용하던 화구들, 손때묻은 가구들, 스케치한 흔적, 커튼 사이로 보이는 풍경 까지(물론, 이미지이지만)! 작가가 작업을 막 하다가, 잠시 작가가 자리를 비운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박물관 유물이 따로 있을까요? 손때 묻은 작가의 물건 하나하나가 유물이었습니다. 작가가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그린 그림인데, 저는 ‘여름’과 ‘겨울’이 좋았습니다. 특히 ‘여름’이요. 한낮동안 뜨거운 불볕 더위가 이제는 좀 누그러지.. 2022. 7. 3.
유재건劉在建이 증언하는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 金正浩自號古山子 素多巧藝 癖於輿地之學。博攷廣蒐 嘗作地球圖 又作大東輿地圖 能畫能刻印布于世 詳細精密 古今無比 余得一本 誠為可寶。김정호는 스스로 호를 고산자라 하였는데 공교한 재주가 많고 지리학에 관심이 있었다. 두루 찾아보고 널리 수집하여 일찍이 를 제작하였고 또 《대동여지도》를 만들었는데능란하게 그림을 그리고 새겨 인쇄해 세상에 펴냈다. 상세하고 정밀함이 고금에 견줄만한 것이 없는데 내가 한 질을 구해 보았더니 진실로 보배라 여길만했다.- 유재건劉在建(1793~1880),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권 8,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2022. 7. 3.
한여름의 단양신라적성비 2022.7.2.(토) 더웠다. 더워도 너무 더웠다. 그 잠깐 걷는 거였지만, 땀이 줄줄 났다. 사실 주차장이 있다. 길이 좁아져 미리 겁먹고 조금 멀리 주차하고 걸어왔다. 그리고 단양팔경휴게소에서 단양적성비로 통하는 길이 있어 쉽게 올 수도 있다. 가실 분들은 참고 하시길. 구름이 요상스러운 날이었다. 도깨비라도 나올 것 같은 날이었다. 생각보다 크기가 작았다. 비석의 아랫 부분은 그래도 상태가 좋은 편인데, 상단 부분은 깨져 없어졌다. 단양신라적성비는 장수왕 이후로 백여년간 고구려 영토였던 충북 단양 지역을 신라 진흥왕대 550년경에 공격해 차지한 뒤 현지 주민들을 신라의 백성으로 포섭하기 위해 만든 비석이다. 비문의 내용은 문화재청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원래는 단양 적성 까지 둘러볼 계획이었으니, .. 2022. 7. 3.
옛사람이 인식한 꽃의 의미 송(宋)나라 증단백(曾端伯)의 화중십우(花中十友)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난(蘭)은 방우(芳友), 매(梅)는 청우(清友), 납매(臘梅)는 기우(奇友), 서향(瑞香)은 수우(殊友), 연(蓮)은 정우(淨友), 담복(薝蔔 치자)은 선우(禪友), 국(菊)은 가우(佳友), 암계(巖桂 목서)는 선우(仙友), 해당(海棠)은 명우(名友), 도미(荼䕷 찔레)는 운우(韻友)이다. 《花木鳥獸集類 卷上 花》 2022. 7. 3.
용인 문수봉 마애보살 가운데를 채운 현세불 용인 문수봉(문수산) 마애보살상은 갈라진 암벽 양쪽에 보살상을 새긴 점이 특징이다. 이걸 새길 적에 이랬을 리는 없다. 이들은 볼짝없이 협시다. 가운데 석가모니 부처가 있어야 한다. 본존불은 조각으로 따로 주조하고 협시보살은 마애한 셈이 된다. 사라진 석가모니가 들어갔을 자리에 현세불이 위치함은 당연하지 아니한가? (2017. 7. 3) *** 세미원이나 관곡지만큼 아직 유명하지는 아니하나, 용인에 내동마을 연꽃단지라는 데가 있다. 이곳은 아마도 계곡물 혹은 샘물이 많은 까닭인지 연꽃 개화시기가 다른 지역 그것보다는 늦다. 인근에 용인농촌테마파크라는 데가 있어 같이 볼 만하다. 5년 전 저곳을 찾으면서 혹 주변에 둘러볼 만한 문화재 없냐 했더니만 수녕이가 추천한 데가 바로 저 마애보살상이라, 지 생각만 .. 2022. 7. 3.
베네치아 입도세, 오버투어리즘 예방? 혹은 조장? 내년 1월부터 베네치아 관광객에 최대 1만3천원 입장료 부과 전성훈 / 2022-07-02 18:31:10 (로마=연합뉴스) 전성훈 특파원 = 내년 1월부터 이탈리아 수상도시 베네치아 관광지를 돌아보려면 최대 1만3천 원의 입장료를 내야 한다. 안사(ANSA) 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베네치아시 의회는 1일(현지시간) 방문객 입장료 징수 등의 내용을 담은 법안을 의결했다. 내년 1월부터 베네치아 관광객에 최대 1만3천원 입장료 부과 (로마=연합뉴스) 전성훈 특파원 = 내년 1월부터 이탈리아 수상도시 베네치아 관광지를 돌아보려면 최대 1만3천 원의 입장료를 내야 한다. 안사(ANSA) 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베네치아시 의회 k-odyssey.com 팬데믹 이전에 이런 조짐이 있다는 소식은 나 역시.. 2022.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