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11

갑자기 좋아진 몸매란 없다 좋은 글이란 뭐냐? 절반이 미다시요 나머지 절반은 첫줄이다. 예서 결판난다. 미다시와 첫줄은 글 전체다. 2020. 10. 29.
금동관 안내놓았다고 버림받은 창녕 교동송현동고분군 짜투리 무덤 자고로 삐까번쩍한 걸 쏟아내야 조사단도 그렇고 언론 역시 주목하기 마련이라, 이번에 소개하는 친구들은 언론이 버림한 친구들이다. 어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창녕 교동송현동고분군 제63호분 발굴성과를 공개했거니와, 이번 발굴에서는 이 무덤만이 아니라 주변에서 작은 무덤도 드러났다. 그 작은 무덤들은 규모도 작고 출토유물도 보잘것없는 것처럼 보이는데다, 다들 금동관에만 관심이 가니 누가 쳐다보기라도 하겠는가? 이 주변 고분들을 어찌봐야 하는지는 찬찬히 생각해 봐야 할 듯하다. 아무튼 소개한다. 2020. 10. 29.
창녕 교동송현동고분 63호분 발굴성과 요점 정리 1. 이 무덤은 신라시대 신라사람이 남긴 것이다. 금동관은 완전히 신라식이며 기타 역시 마찬가지다. 뒤에 볼 쌍분雙墳이란 형식도 마찬가지다. 물론 이른바 현지 전통이 많이 가미했다. 동시대 경주 중심 중앙 지배층에서는 적석목곽분이 대세지만 이곳은 석실분이다. 그 석실은 가야문화권에서는 일반적인 길쭉이 세장방형이다. 적석목곽분은 동서 장축에 머리는 동쪽에 두지만 여긴 남북 장축에 머리는 남쪽에 뒀다. 2. 무덤을 만든 시기는 지증왕 2년(503) 이전이다. 신라는 저때 순장을 금지했다. 따라서 순장이 드러난 이 무덤은 그 전에 등장해야 한다. 조사단에서는 5세기말~6세기초 라는 시점을 제시했지만 앞당겨야 한다. 소지왕 혹은 자비왕 무렵이다. 3. 39호분과는 쌍둥이다. 39호분 봉분 일부를 침범하면서 만들.. 2020. 10. 29.
Ginko Tree at Bangyeri 반계리 은행나무 Ginko Tree at Bangyeri Village, Wonju, Gangwondo Province Presumed to be 800 years old among local people photos taken today by Jiwoong Yang, journalist working for Yonhapnews Agency *** related article *** https://taeshik-kim.tistory.com/m/entry/Gingko-Tree-at-Bangyeri-VillageGinkgo Tree at Bangyeri Village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原州磻溪里銀杏Ginkgo tree in Bangye-ri 33,Wonju, Gangwondo Province 천연기념물 제167호 소재.. 2020. 10. 29.
2015년 창녕 교동송현동고분 발굴 *** 이하는 2015년 9월 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의 숨겨진 고분, 빛을 보다 - 가야 고분 21기 신규 확인 / 9.4.(금)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박왕희)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가야 고분 21기를 새롭게 확인하고,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오는 4일 오전 11시 발굴현장에서 개최한다. * 발굴현장: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산5(창녕박물관 옆)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창녕군 교동과 송현동 일대에 걸쳐 있는 고분군으로, 217기(2014년 기준)에 달하는 고분이 분포한 비화가야(非火加耶) 최고(最高) 집단의 묘역으로 알려져 있다. 고분 3기.. 2020. 10. 29.
대가리가 없어야 잘 돌아가는 사회가 정상이다 장長이 개판을 치는 조직은 그 장이 없어지면 상당히 잘 돌아간다. 그런 장 같지도 않은 장이 짤릴 무렵이면 언제나 "장이 없으면 어카냐? 공백이 없어야지" 하는 소리를 하는 사람이 꼭 있다. 대통령제 국가에서 어찌 대통령이 없을 수 있느냐고 한다. 없어봐라. 없어도 잘 돌아간다. 나는 대한민국이 그 연륜이 얼마되지는 않았지만 시스템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한다. 어줍짢은 대통령 없다 해서 나라가 망하거나, 혼란하거나 하지 않는다. 되먹지 않은 리더는 단두대에 세워 목을 잘라야 한다. 그것이 그 국가와 국민이 사는 길이다. (2016. 10. 29) 2020.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