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11

죽청저수지에서 望하는 방장산 입간판 보니 1978년에 만들었다. 2020. 10. 31.
방장산 양고살재 편백림에서 해발 743미터 방장산 증턱 편백림 고창군 고창읍과 장성군 북이면 경계를 이루는 양고살재 이짝에서 0.7키로 올라가면 미소사랑 방장사가 있다는데 한 눈에 고창을 조망할 자리다. 영디기 먼저 댕겨오라 해야겠다. 어차피 하릴없는 백수 산이라도 타야지 않겠는가? 오르는 길목에 편백나무 쭈쭈빵빵 긴 기럭지 장성 독거노인 같다. 2020. 10. 31.
고창 문수사는 단풍으로 발광한다 고창 문수사다. 걸거치는 사람 다 사라지고 독거노인이랑 둘이서 살모시 왔다. 귀한 건 농구지 않는다. 독식해야 한다. 절경이다. 비경이다. 고로쇠 뚫고 싶다. 우화이등선할 듯 싶다. 넋을 잃는다. you made me speechless. 2020. 10. 31.
이 노랭이 정체는? 하남정사 계곡에 황금빛 넘실거려 서리 녹아 서린 이슬 뚫고선 찾아나선다. 쉬 보는 꽃인 듯한데 정체를 모르겠노라 이 시즌 유독 단풍이 빛을 발하는데 너는 이제야 꽃을 피운다. 장성이 옐로우시티를 표방터니 잡풀까지 노란꽃 피우나 보다. 텃밭에다 너를 잔뜩 심어 내년 가을 기약했으면 2020. 10. 31.
한국불교학의 고질 신라시대 화엄종이니 유식학이니 법상종이니 밀교니 하는 말..너무나 쉽게, 너무 자주 쓰면서도, 심지어 이런 키워드 자체로 접근한 그 어떤 논문이나 책에서도 1. 화엄종이 무엇인가? 2. 유식학 혹은 법상종이란 무엇인가? 3. 밀교가 무엇인가? 에 대한 정의나 분석이 전연 없다는 점이 기이하기 짝이 없으니 견주건대 이는 남들이 곡을 하니깐 덩달아 실컷 곡을 하고나서는 "여기가 어느 상가요?" 묻는 거랑 무엇이 다르리오? (2013. 10. 31) *** 이는 비단 불교학뿐만 아니라 학문 전분야에 걸친 한국학계 광범위한 고질이다. 한국학은 개념 정의라는 개념 자체를 배운 적이 없다. 개념은 엄격히 정의해야 하는 철학 차원의 문제다. 하지만 한국학계는 이 철학을 배운 적도 없고 그것이 왜 중요한지도 모른다. .. 2020. 10. 31.
왕자 낳았대서 원주院主에서 궁주宮主로 격상한 고려 현종의 후궁 《고려사》 권4, 세가世家4 에 보이는 구절이다.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은 이름이 순詢이며, 자字가 안세安世다. 안종安宗의 아들로, 모친은 효숙왕후孝肅王后 황보씨皇甫氏다. 성종 11년(992) 임진년 7월 임진일에 태어나, 조금 나이가 들자 대량원군大良院君에 책봉되었다. 열두 살이 되던 해에 천추태후千秋太后가 그를 꺼려한 나머지 강제로 머리를 깎아 승려가 되게 했다. 처음 숭교사崇敎寺에 있을 때 어떤 승려가 꿈을 꾸었으니, 큰 별이 사원 뜰에 떨어지더니 용으로 변했다가 다시 사람으로 변하는 내용이었으니, 이 사람이 곧 왕이었다. 이 일 때문에 여러 사람이 그를 특출하게 여기게 되었다. 목종 9년(1006) 삼각산三角山 신혈사神穴寺로 옮겨 살게 되자, 천추태후가 여러 차례 사람을 보내 해치려고 했다. 마침.. 2020.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