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64

41년째 묶인 KBS 수신료, 시간은 흘러 무관심이 되고 KBS 수신료 2천500→3천840원 인상안 이사회 상정 송고시간 2021-01-27 16:34 이정현 기자 양승동 사장 "상업매체 넘치는 시대 공영방송의 정도 걷겠다" www.yna.co.kr/view/AKR20210127145000005?section=search KBS 수신료 2천500→3천840원 인상안 이사회 상정 | 연합뉴스KBS 수신료 2천500→3천840원 인상안 이사회 상정, 이정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1-01-27 16:34)www.yna.co.kr KBS 수신료 문제는 뭐랄까 연합뉴스 종사자들은 동병상련 비슷한 느낌을 받곤 하는데, 밖에서 볼 때야 비판 혹은 냉소하는 일색이기는 하겠지만, 이 문제가 간단치 아니하는 이유는 국회 의결까지 거쳐야 하는 까닭에, 더구나 그것이 실.. 2021. 1. 28.
[국민청원]큐레이터(학예사)를 제대로 대우해주세요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y4qPUs?fbclid=IwAR0Jw0LQWgBA3NTHp1qF_LfaMUS0hRqEQU8Oz_Hnre9yxzHfOt0dse0OQbU 근본적으로 전문직인 학예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수익시설이 아닌 박물관은 적자운영이 될 수 밖에 없으니, 전문 인력에 대한 처우가 당연히 형편없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박물관이 좋아서, 유물이 좋아서, 기간제, 계약직을 돌며 어찌어찌 경력을 쌓아 학예사 자격증을 받게 되도, 제대로된 대우를 받는 학예사로 들어갈 자리는 극히 드물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박물관 유료화가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되지 않겠으나, 얼마나 현실이 답답하면 이런 청원을 올렸을지 짐작이 됩니다. 물론 공립기관은 이들보.. 2021. 1. 28.
먹탁본을 축출한 눈탁본 기대승奇大升(1527~1572) 문집인 《고봉집高峯集》 제3권 비명碑銘이 수록한 파산坡山 성 선생成先生 묘지명[坡山成先生墓誌銘]에 이르기를 성수침成守琛(1493~1564)은 "집이 백악산白嶽山 아래에 있었는데 소나무 숲 사이에 서실을 짓고는 청송당聽松堂’이라 편액했다" 했으니, 아마도 이곳을 말하는 듯하다. 광무 7년은 1903년이며, 동농은 조선 말기 문신이며 나중에 독립운동에 투신한 김가진金嘉鎭(1846~1922) 호다. 먹탁본[墨拓本] 시대는 갔다. 눈탁본[雪拓本]이다. (2017. 1. 22) *** 종로 경기상고 경내 각석刻石이다. 4년전 이맘쯤 조폭답사반 답사 때 시도한 새로운 탑본榻本 방식인데 눈이 많이 와야 한다는 한계가 있지만 여건만 맞으면 아주 유효하다. 2021. 1. 27.
Excavated in Mongolia to be treated in Korea The Completion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 for Buddhist Scriptures Made of Bark around the 17th Century by Request of Mongolia - Supported by 「Arrangement on the Korea-Mongolia Joint Project for Research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 - Successful restoration similarly to the original shape for damaged letters, identifying the ma.. 2021. 1. 27.
몽골 출토 17세기 나무껍질에 쓴 불교경전, 한국에서 보존처리 문화재연구소, 몽골서 의뢰한 17세기 불교 경전 보존처리 완료 임동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1-27 10:53:10 경전 글씨와 제작과정 확인…손상된 글자 원형에 가깝게 복원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6127188014 문화재연구소, 몽골서 의뢰한 17세기 불교 경전 보존처리 완료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17세기 무렵 몽골 불교 경전에 대한 보존처리를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몽골과학아카데미 역사·고고학연구소 k-odyssey.com 몽골 기관이 보존처리 좀 해 달라며 맡긴 유물은 이른바 전세품傳世品이라 해서 대대로 현물로 전하는 것이 아니라, 정식 발굴조사를 통해 수습한 유물이라는 점에.. 2021. 1. 27.
역사조작은 이세민 이성계처럼 1. 스무살 꼬맹이 주제에 지가 당 왕조 창업을 다하고, 쿠데타로 집권해서는 간언을 잘 받아 태평성세를 구가한 것처럼 생쇼를 해댄 이세민李世民처럼 2. 위화도 회군이 불가피했던 것처럼, 또 천명인 것처럼 사기를 치고, 그 주모자도 그 자신이 아닌 조민수였음에도 그 공을 탈취한 이성계처럼 역사는 이렇게 조작해야 한다. (2016. 1. 23) *** 당조唐朝가 개창한 618년, 599년생인 이세민은 불과 스무살 꼬맹이였다. 개창주 이연李淵의 아들 중에 절대의 창업공신은 장자 이건성李建成(589~626)이었다. 이세민보다 열살 많은 그가 아버지를 도와, 때로는 아비를 대신해 풍찬노숙했다. 나중에 현무문玄武門의 반란의 통해 동생 이세민한테 주살되고 만다. 이세민 시대에 편찬된 실록은 이같은 이건성의 역할을 철.. 2021.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