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0 썩어문드러진 고추 긴 장마에 고추가 다 썩어들어갔다. 눅눅하니 얼마나 벌거지 천지겠는가? 다 쭉정이다. 약을 쳐도 소용이 없었다. 쳤다 하면 비가 내려 농약이 씻겨내리는데 어찌 하리오? 텃밭 두어 줄 심카놓고는 친환경농업이 어떻네 하는 소리 기가 찬다. 농약 칠 줄 몰라서 안치거나 못칠 뿐이다. 농약을 칠 땐 쳐야 한다. 농약치지 말란 소리는 조선시대 농법으로 농민더러 살란 말이다. 농업은 개폼이 아니다. 농업은 주말농장이 아니다. 2020. 8. 17. 사생활, 공공의 이름으로 짓밟히는 천부인권 선진방역이라 선전하는 이 시스템을 두고 외부세계서는 곱지 않은 시선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어제 김천에 내려왔는데 귀신처럼 알고 김천시청이랑 경북도에서 친절하게도 이런 메시지들을 준다. 김천 아니라 전국 곳곳을 가도 이렇다. 대체 내 정보를 어디서 어케 빼간 거임? 내 동의도 없이..혹은 내가 어딘가에서 눌렀을 지도 모르는 개인정보수집동의를 기반으로 내 일거수일투족이 감시받는 중이다. 이 시스템에 기반해서 지금 외부세계에 자랑하는 방역이 이뤄졌는지도 모른다. 이 감시와 처벌은 마침내 이번 사태 초창기 그 확산 주역으로 일컫는 어떤 종교교단 지도자를 구속하기에 이르렀고 기타 그 방역을 거역한 이들을 인신구속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내가 정작 우려하는 바는 그 감시와 처벌은 단 한번도 의심치 아니하고 그 감시.. 2020. 8. 17. Gosudonggul Cave, Danyang 단양 고수동굴 (2016. 8. 17) Gosudonggul Cave, Danyang Located near Geumgokcheon Stream, the upper stream of Namhangang River in Danyang-eup near Chungjuho Lake, the cave is 1,200m long, but only 600m of the cave is open to the public for sightseeing; the rest of the area is off-limits to preserve its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cave are a lion rock regarded as a guardian deity of the cave, a stalactite for.. 2020. 8. 17. 쓰메키리 모노가타리 아득한 수십년 전 기억을 되살려 보면 우리집엔 쓰메끼리 つめきり, つめ切り, 爪切(り) 가 있었던 것도 같고 없었던 듯 하기도 하다.손톱발톱 깎는 주된 도구가 쓰메끼리가 된 것은 장담하지만 훨씬 후대의 일이다.그렇다면 무얼로 손톱발톱 소제를 했는가?이르노니 이빨이다.손톱은 그런 대로 가능하다 하겠지만 발톱도 이빨로 가능한가?한번 해 봐라 가능하다..웬간한 덩치 안고는 물어뜯어도 상관없다.대신 이건 어릴 때나 가능하지 늙어선 몸이 굳어 나는 더는 내 발톱 이빨로 물어뜯지 못한다.손톱은 거개 아래위 송곳니를 부닥치며 쥐가 견과류 갉아먹듯이 잘근잘근 씹어돌리면 된다.물론 이 송곳니 절단은 오래전 유습일뿐 지금이야 그리할 필요가 없다.그리고 또 한 가지가 있는데 공구리다.콘크리트라고 하는 그 공구리 시멘트 바닥.. 2020. 8. 17. innocentism 이 말이 애초 영어에 있는지 모르겠지만 내 조어라고 해두고자 한다. 굳이 풀어쓰자면 순진무구주의라 할지니, 우리 역사에서는 추상명사 집합명사로서 이런 경향이 농후하게 관찰되거니와, 얼마전까지만 해도 전가의 보물이었던 민중民衆이 대표적이라, 그 어느 경우에건 일군의 역사학도에게 민중은 항용 저항 정신의 표상이요, 그 자체로는 그 어떤 악에도 물들지 않은 개념이었다. 한국 근현대사를 설명하는 도구로 불패의 신화를 자랑한 반제 반봉건....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 선봉으로 이른바 민중이라는 주체를 내세우며 이들은 항용 밟으면 꿈틀하는 존재로 설정했으니, 이른바 갑오농민혁명에서 비롯하여 광주민주화운동, 그리고 87년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권력과 지배에 맞서는 도도한 주체로써 민중이 발명되었던 것이다. 한데 민중.. 2020. 8. 17. 녹조는 인류와 궤를 같이했다 비가 부족한 여름이면 매양 낙동강 물금 정수장 녹조 현장 사진을 큼지막하게 싣는 언론보도를 본다. 이명박 정권이 종말을 고하고는 새로운 소재가 생겨 그 사대강 사업의 각종 보 사진이 녹조의 참상을 말해주는 증좌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녹조는 인위에 의한 환경파괴를 경고하는 변주곡으로 끊임없이 연주된다. 그러면서 이르기를 물은 흘러가는대로 냅두야 한다는 언설이 통용한다. 그것이 자연이라 한다. 이 자연은 실은 노자의 자연이지 양놈들의 번역 모태인 네이처와는 거리가 좀 있다.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다. 하지만 인류는 그 자연과 사투를 간단없이 벌였다. 자연은 무자비하다. 그 무자비는 훈육되고 제어되어야 했다. 욕 되바가지로 먹는 전두환 최대 치적은 한강 범람을 실은 원천에 가깝게 제어했다는데 있다. .. 2020. 8. 17. 이전 1 ··· 2656 2657 2658 2659 2660 2661 2662 ··· 365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