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17 공자가 내친 자색紫色, 천상을 제패하다 《논어論語》 양화陽貨편에 보이는 공자의 말로 다음이 있다. 巧言令色, 鮮矣仁 (교언영색 선의인) 속여서 말하고, 겉만 꾸미는 사람으로 어진 이는 드물다.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말이다. 子曰; 惡紫之奪朱也, 惡鄭聲之亂雅樂也, 惡利口之覆邦家者선생께서 말씀하셨다. 자주색이 붉음을 탈취함을 증오하며 정나라 음악이 아악을 어지럽힘을 증오하며, 번지르르한 말로 나라를 뒤엎는 일을 나는 증오한다. 양화편 이 말에서 유래하는 강력한 제도가 있으니 주자지질朱紫之秩이 그것이다. 주자지질이란 액면대로는 주색과 자색의 질서 혹은 순서라는 뜻이니, 그 뿌리가 바로 '오주지탈주야惡紫之奪朱也'라는 말이다. 나는 자색이 주색의 자리를 탈취하는 일을 증오한다. 저 말을 우리는 액면대로 읽어서 공자가 자색을 싫어하고 붉은색을 좋아했다.. 2020. 1. 16. 이국종 날개 단 낭만닥터 김사부 시청률도 훨훨 '이국종 사태'로 예상밖 시의성까지 챙긴 '김사부2'송고시간 | 2020-01-16 06:00시즌2 외상센터 에피소드로 절묘한 현실 반영 예고 어제 이 비슷한 소식을 내가 한번 정리했으니, 이 기사는 그와 문제의식을 같이한다. 설마 이국종이 낭만닥터 김사부 시청률을 끌어올리겠다고 그 시즌2가 방영을 시작한 이 즈음에 문제의 아주대병원장과의 통화녹취를 터뜨렸겠는가? 하지만 실로 적절한 시점에, 시의적절하게 터진 이른바 병원장의 갑질 논란은 병원 이사장의 각종 갑질에 시종일관 맞서 싸우는 응급실 외과의 김사부를 주인공으로 삼은 저 드라마와 실로 절묘하게 오버랩해서 시청률을 더욱 끌어올리리라 본다. 그러니 낭만닥터 김사부는 하늘도 돕는다고 할 수밖에... 낭만닥터 김사부와 현실세계의 이국종 2020. 1. 16. 시대가 혼란하면 시간도 혼란한다 《권력이 시간을 지배하면 이 꼴이 벌어진다》책력 이야기 남송대南宋代 사람 주자지周紫芝(1082~1155)라는 사람이 쓴 《죽파시화竹坡詩話》라는 데 나오는 이야기다. 근래 조정에 (안 좋은) 일이 많아 군현郡縣에서 달력을 반포하지 않으니 지방마다 날짜가 같지 않았다. 주희진朱希真이 광중廣中으로 피신하고는 《소진행小盡行》이라는 시 한 편을 지었는데, 그에서 읊기를 藤州三月作小盡, 등주에선 3월을 작은달로 삼고 梧州三月作大盡。 오주에선 3월을 큰달로 여기네 哀哉官曆今不頒, 슬프다, 관에서 달력을 반포하지 않은 지금 憶昔昇平淚成陣。 지난 승평 시절 떠올리니 눈물 쏟아지네 我今何異桃源人, 내가 지금 도화원 사람과 무엇이 다를꼬 落葉為秋花作春。 잎이 지면 가을이요 꽃피면 봄이네 但恨未能與世隔, 인간세계와 떨어지지 .. 2020. 1. 16. [번역] 구동조(瞿同祖) 《중국법률과중국사회中國法律與中國社會》 저자소개 구동조(瞿同祖) 《중국법률과중국사회中國法律與中國社會》 번역 : 이태희 국립중앙박물관 중국사 전공제가 번역하고 있는 《중국법률과중국사회》 저자입니다. 손톱만큼 번역하고 미리써둔 저자 소개입니다. 구동조 瞿同祖 (Qu, Tongzu, 1910年 7月 12日~2008年 10月 3日) 역사학자. 후난湖南 창사長沙 출생. 1936년 옌징대학燕京大學을 졸업하고 같은 곳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윈난대학 역사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1945년 도미해 미국 컬럼비아대학과 하버드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다 후에 캐나다로 건너가 브리티쉬컬럼비아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1965년 중국으로 돌아가 후난성 문사연구관 관장, 정협후난성문사자료연구위원회 부주임,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 등을 거쳤다. 1985년에는 .. 2020. 1. 16. 울퉁불퉁 공동묘지는 골프장이 되어버리고 보다시피 현재의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현재 골프장 같은 모습이다. 이 모습은 1960년대와 70년대 두 차례에 걸친 보수정비의 결과다. 그 전엔? 울퉁불퉁 아놀드 슈워츠제니거 근육 같은 땅이었다. 그걸 쏵 밀어 편평한 골프장으로 만들어버리는 한편, 봉분은 A컵도 아니되는 것을 C컵으로 만들어버렸다. 그에 대해선 부여관장을 역임한 홍사준과 강인구가 간단히 정리한 글이 있다. 한데 당시 보수정비는 말이 많았다. 애초엔 저기다가 홍살문도 만들고 거대한 건축물도 지으려 했다. 누가 그리 하려 했는가? 당시 부여박물관장 홍사준이다. 당시 문화재위 회의록을 쏵 뒤졌다. 애초 개발 계획은 좌절되었지만, 그 상흔은 고스란히 남아 저런 식으로 골프장을 만들어버렸다. 그렇다면 개발 이전 저곳은 어땠는가? 1977년 강인구.. 2020. 1. 15. 한 시대를 풍미한 언론인 김영희 김영희 전 중앙일보 대기자 별세…향년 84세송고시간 | 2020-01-15 18:17 어제 와병 여파도 있어 오늘은 6시 땡 치자마자 컴터 끄고 퇴근할 채비를 막 하려는데, 누군가 열심히 전화를 돌려 취재하는 소리가 들린다. "36년생" "김영희" "맞나요?" 하는 말이 오간다. 전화가 끝나서 "뭐냐?" 물으니 "김영희 대기자가 돌아가셨다는데요?" 란다. 근황은 내가 알 리 없지만, TV 등을 통해 보인 마지막 모습이 언제인지 모르나 비교적 건강한 모습이었다고 기억하는 까닭에 무슨 일인가 했더랬다. 병명은 부러 뺐지만 췌장암이란다. 나는 이 분을 개인적으로 모른다. 같은 언론 분야 종사자라 해도 나랑 연배차가 상당한 데다, 분야도 다른 까닭이다. 다만, 기자로서는 대성한 사람이며, 일가를 이루었고, 한 .. 2020. 1. 15. 이전 1 ··· 2760 2761 2762 2763 2764 2765 2766 ··· 350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