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80

이해당사 문화재위원은 문화재위원회 심의에 참여할 수 없다! *** December 7, 2017 · Seoul 글인데, 문화재위원회 규정에서 규정한 문화재위원의 기피와 제척을 문화재청 스스로 어긴 일을 매섭게 지적한 당시 국정감사 한 대목이다. 국회에서 공개하는 대화록 원문은 물론 실명으로 등장한다. 말미에 문화재위원회 규정을 첨부한다. 덧붙이건대 이 글을 쓰는 지금 나는 무형문화재위원회 현직 문화재위원이다. 아래 길다란 텍스트는 최근 문화재청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 대화록이다. 뭐 다 읽을 필요조차 없다. 한국의 서원 등재 신청 절차를 문제 삼는 내용이다. 간단히 추리면 이렇다. 왜 연구용역 수행한 사람이 문화재위원원으로서 등재 신청 여부를 심사하고, 왜 같은 사람들이 등재 추진위원장도 하면서 문화재위원도 하고 했느냐다. 이게 왜 문제인가? 경찰이나 검사가 지가.. 2019. 12. 7.
'빈집털이 흥행' 중인 '겨울왕국2' [주말극장가] '겨울왕국2' 1천만명 카운트다운송고시간 | 2019-12-06 08:18 땅 짚고 헤엄치기란 말은 더는 웃기지 않는다. 한데 들을 적마다 키득키득 웃음을 자아내는 표현이 있다. 주로 영화계에서 경쟁자 없이 특정한 영화가 독주하는 현상을 묘사할 적에 '빈집털이 흥행' 혹은 '빈집효과'라는 말을 쓰곤 한다. 이 표현 유래가 어케 되느냐 물었더니 영화담당기자도 가끔 쓴다는 대답만 한다. 빈집털이 흥행이라....혹 내가 몰라서 그러는데 이에 정확하게 해당하는 영어 표현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일전에 말했듯이, 축구 전술 중에 극단적인 수비 전술을 일러 '버스 세우기'라고 한다. 이 전술에서는 전방에 공격수 한 명, 혹은 때로는 아예 공격수도 수비진으로 내려서는 골키퍼를 제외한 10명 필드 플레이어.. 2019. 12. 6.
역사를 만든 '마에스트라' 김은선 샌프란시스코오페라 음악감독 지휘자 김은선, 美샌프란시스코오페라 음악감독에 발탁(종합)송고시간 | 2019-12-06 11:49NYT "김씨, 역사 만들어"…한국인으로 주요 오페라단 두 번째 음악감독 그가 걷는 길은 늘 '최초'…금녀의 벽 허문 '마에스트라' 김은선송고시간 | 2019-12-06 10:39여성 최초로 美 주요 오페라단 음악감독 선임…"그냥 지휘자로 불리길 기대" 이 의미에 대해서는 클래식 문외한인 내가 아니라, 우리 공장을 대표하는 저명한 클래식 평론가 임화섭 기자 평을 그대로 옮기는 것으로 대체한다. 그가 말한다. ***** 올해 39세인 한국인 여성 김은선씨가 샌프란시스코 오페라의 제4대 음악감독으로 내정됐습니다. 2021년 취임 예정. 연세대 학사, 석사 출신입니다. 즉 한국에서 공부 시작한 지휘자. 샌프란시스.. 2019. 12. 6.
revision의 시대 새로운 자료 찾아 이런 것이 발견되었네 저런 것이 확인됐네 하는 시대는 끝났다. 새로운 자료를 찾아 발굴하고, 그것으로써 의미를 찾는 시대는 끝났다는 것이다. 이젠 재음미의 시대다. 실록을 필두로 하고, 고문서 자료들까지 대부분이 공개된 마당에 평지돌출하는 자료가 나올 가능성은 매우 작다. 물론 고려 이전 중세사나 고대사는 언제건 새로운 금석문을 비롯한 새로운 자료 출현 가능성이 언제나 열려 있지만,그것이 차지하는 비중은 왕청나게 낮아질 것만은 분명하다. 포항 중성리비가 출현했다 해서, 그것이 20년 전 냉수리비나 봉평비 발굴에 결코 비견할 수 없는 까닭은 시대가 변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기존에 보고되고 공간된 자료들을 재가공하고, 그것을 재음미하는 시대다. 이 재가공과 재음미의 대상에 기존 연구성과도 .. 2019. 12. 6.
신자료 먼저 못봐서 환장하는 연구자들 *** April 29, 2015 글이다. 그런대로 시사성이 있어, 아니, 그보다 더 이 경향으로 나아가는 듯 해서 새삼 옮긴다. 《연구업적도 이제는 시간차 공격이 중요한 시대다》 이게 이미 이 시대로 접어들었는데, 다들 심각성을 모르더라. 촉급을 다투는 시대다. 누가 먼저 말뚝을 꽂았느냐로 승패가 판가름 나는 시대다. 종래 연구자집단에서 연구성과를 담아내는 통로는 기껏 이른바 학술지밖에 없었다. 아주 가끔 신문지상이나 잡지 힘을 빌리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 이 시대는 구석기시대다. 누가 먼저 침바르느냐가 관건이 되는 시대라 나는 이를 학계의 통신사 시대 라고 부른다. 그만큼 이를 담아내는 통로가 다양해졌다. 1인 1매체 시대다. 블로그니 페이스북이니 해서 자기 생각을 담아낼 통로 매체는 얼마든 존재하며.. 2019. 12. 6.
아무일이 없던 2019년 12월 5일 목요일 《명사明史》인지 《청사靑史》인지는 기억에 없다. 아마도 후자 쪽인 듯한데, 암튼 그 본기 중 한 해에는 "이해에 아무 일이 없었다"는 대목이 있다. 일이 없으면 심심한 법이다. 2019년 12월 5일 목요일..어제가 문화부엔 그런 날이다. 암일이 없었다. 이렇다 할 평지풍파도 없었고 이 계절 운수다한 목숨이 추풍낙엽처럼 쓰러지나 죽어간 사람도 없다. 내가 이 공장 문화부장으로 온 2018년 4월 이래 주말이나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 이런 날은 처음이 아닌가 한다. 물론 진짜로 아무일이 없었겠는가? 역사로 기록할 만한 일이 없었고, 그에 상재할 가치가 있는 사람의 죽음이 없었을뿐 어제도 무수한 생명이 죽어나갔다. 그렇다고 지구가 자전과 공전을 멈춘 것도 아니요 시간은 또 흘렀고 내가 디딘 땅도 그만큼 옮겨.. 2019.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