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949

질지왕(銍知王) 금관가야 제8대 왕이며, 재위기간은 451~492년. 일명 김질왕(金銍王). 취희왕(吹希王)과 인덕(仁德) 사이에서 태어났다. 왕비는 사간(沙干) 김상(金相) 딸인 방원(邦媛)이다.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8대 질지왕(銍知王)은 김질(金銍)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취희(吹希)이며 어머니는 인덕(仁德)이다. 신묘년에 즉위해 38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9대 겸지왕(鉗知王)은 아버지가 질지왕(銍知王)이며 어머니는 방원(邦媛)이다. 임신년에 즉위해 29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금관성(金官城)의 파사석탑(婆娑石塔) : 수로왕(首露王)이 황후(皇后)를 맞아서 같이 150여 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다. 하지만 그때까지도 해동(海東)에는 아직 절을 세우고 불법(佛法)을 신.. 2018. 3. 16.
인덕(仁德) 금관가야 제7대 취희왕 비로서, 각간 진사(進思)의 딸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8대 질지왕(銍知王)은 김질(金銍)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취희(吹希)이며 어머니는 인덕(仁德)이다. 신묘년에 즉위해 38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취희왕(吹希王). 질가(叱嘉)라고도 함. 김씨(金氏). 영초(永初) 2년에 즉위. 치세는 31년 동안, 원가(元嘉) 28년 신묘(辛卯; 451) 2월 3일에 죽음. 왕비는 진사(進思) 각간(角干)의 딸 인덕(仁德). 왕자(王子)를 낳음. 2018. 3. 16.
질가왕(叱嘉王) 금관가야 제7대 임금 취희의 다른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취희왕(吹希王). 질가(叱嘉)라고도 함. 김씨(金氏). 영초(永初) 2년에 즉위. 치세는 31년 동안, 원가(元嘉) 28년 신묘(辛卯; 451) 2월 3일에 죽음. 왕비는 진사(進思) 각간(角干)의 딸 인덕(仁德). 왕자(王子)를 낳음.☞취희왕(吹希王) 2018. 3. 16.
취희王(吹希王) 금관가야 제7대 임금. 좌지왕과 복수 사이에서 났다. 질지왕 아버지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7대 취희왕(吹希王)은 김희(金喜)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좌지왕(坐知王)이며 어머니는 복수(福壽)다. 신유년에 즉위해 30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8대 질지왕(銍知王)은 김질(金銍)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취희(吹希)이며 어머니는 인덕(仁德)이다. 신묘년에 즉위해 38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함.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하니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 2018. 3. 16.
복수(福壽) 금관가야 제6대 좌지왕 부인으로 제7대 취희왕 어머니다. 아버지는 도녕(道寧) 대아간(大阿干)이니, 금관가야인인지 신라인인지 확실치 않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7대 취희왕(吹希王)은 김희(金喜)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좌지왕(坐知王)이며 어머니는 복수(福壽)다. 신유년에 즉위해 30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함.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하니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이 나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하늘이 망하고 땅이 꺼지면 사람이 어느 곳에서 .. 2018. 3. 16.
박원도(朴元道) 금관가야 제6대 좌지왕 때 신하로, 변변찮은 여자를 부인으로 맞고, 그 측근들을 대거 기용함으로써 정치를 어지럽힌 왕에게 간하여 바로잡게 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함.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하니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이 나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하늘이 망하고 땅이 꺼지면 사람이 어느 곳에서 보전하오리까. 또 점쟁이가 점을 쳐서 해괘(解卦)를 얻었는데 그 괘사(卦辭)에 ‘소인(小人)을 없애면 군자(君子)가 와서 도울 것이다’고 했으니 왕께선 역(易).. 2018.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