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02

황룡사에선 아픔이(慶州皇龍寺 / Hwangryongsa Temple Site, Gyeongju) 선도산 너머로 해가 질 겨울 무렵 남산 병풍삼은 월성에 벚꽃이 만발할 무렵 유채 너울 대는 4월 중순 무렵 조생종 코스모스 널뛰듯 하는 여름 무렵 이런 무렵들이면 내가 데리고 간 모든 이가 목놓아 울었다. 기뻐서 울었고 버림받은 억울함에 울었고 보낸 사람 애타서 울었다. 딱 한 사람 이런 모든 걸 보여주고팠던 딱 한 사람 그 사람한테만 보여주지 못해 목이 아팠다. 황룡사는 그런 곳이다 언제나 황홀해서 아프고 쓸쓸해서 아프며 기뻐해서 눈물나는 그런 곳이다. 2019. 4. 29.
Namsansinseong Fortress in Gyeongju (경주남산신성 / 慶州南山新城) Located in the north of Mt. Namsan (南山) in Gye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also called 'Silla Namsansinseong (新羅南山新城) ', the fortress was built in the 13th year (591 AD) of King Jinpyeong (眞平王) of Silla. Later in the year of 679 when King Munyumu (文武王) reigned, it was repaired or rebuilt. Much of the walls were destroyed, and the relatively well preserved walls are hard to find. At p.. 2019. 4. 28.
남대문 복원 5년 3개월은 기록적인 공사기간이었다 November 28, 2013에 쓴 글이다. 당시 남대문, 곧 숭례문 복원을 두고 말이 많았거니와, 단청 부실로 촉발한 광범위한 숭례문 복원을 둘러싼 사태에 참다참다 싸지른 글이다. 현재도 참고할 만하다 해서 전재한다. 다만 '놈' 등이라고 쓴 대목은 '者' 등으로 바꾼다. ================= 남대문이 불타고 오년삼개월만에 복원한 일을 두고 무리한 공기단축과 이에 따른 졸속복원이라는 말이 근거도 없이 횡행한다.저들이 이르기를 옛날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한데 저런 주장하는 그 어떤 者도 옛날엔 어떠했는지 설명하는 者가 단 한 者 없음이 기이하고 신이할 뿐이다. 대규모 공사 실상이 어떠했는지 단 한 者라도 조사를 해보고 저 따위 소리해야 한다. 경주 남산신성, 진평왕때 육개월만에 저 .. 2019. 4. 28.
구 철도청 대전지역 사무소 보급창고 3호 舊鐵道廳大田地域事務所補給倉庫三號 유의미한 기억을 발판으로 대전역을 오간지 대략 20년. 정문격인 서광장 반대편 동광장은 개통이 늦었다고 기억하거니와 이 동광장을 이용할 때마다 지금은 대전역 주차장 부지로 쓰는 이 넓은 광장 한가운데를 차지한 저 널판대기 슬레이트 지붕 건물은 정체가 언제나 궁금했다. 그러던 차 오늘은 이쪽으로 문상할 일이 있어 대전역에 내린 김에 저 정체를 까발리고 말겠다는 일념으로 다가 가니 싱겁다. 저리한 안내판이 떡하니 선 게 아닌가? 이걸 보니, 궁금한 사항은 대전역 역무과로 연락하라 하니, 철도청에서 전환한 철도공사 소유인가 보다. 안내판을 옮긴다. 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 3호 / 舊鐵道廳大田地域事務所補給倉庫三號 Former Storehouse No. 3 of Korea Railroad, Daejeo.. 2019. 4. 28.
노트르담성당, 수리는 빨리빨리 해치워야 한다 내 경험이기도 하고, 단군조선 이래 역사를 통괄할 때도 결론은 같다.그래 결론은 버킹검이라, 역사의 교훈으로 그대로 놔둘 것이라면 몰라도, 제아무리 대역사라도 공사는 빨리빨리 해치울수록 좋고, 또 그래야 의외로 뒤탈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견주어 뒤탈이 상대적으로 적다. 저 길다란 한양도성도 몇년만에 후딱 해치웠고, 조선왕조 개창 직후 저 경복궁도 착공에서 완공까지 내 기억에 4~5년도 걸리지 않았다. 경주 남산신성? 반년만에 후딱 해치웠다. 그렇던 대공사가 시간이 흐르면서, 엿가락 늘어지듯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거니와, 이게 다 잘못된 신화에 기인한다. 특히 문화재 현장에서 이런 신화는 강고해서, 허무맹랑한 설이 난무하거니와, 그들이 이르대 우리 조상들은 나무만 건조하는데 10년이 걸렸다느니, 그래서 그네.. 2019. 4. 28.
국가적 현안에 자문위원으로 발탁되는 공식 문화재판에 국한하기는 하지만, 사회 전반에 걸쳐 같은 패턴이 반복한다. 이걸 아는 놈들이 있다. 특히 몇몇 교수놈이 이 수법을 잘 쓰는데, 약발 좋으니, 혹 관심 있는 다른 교수들은 참고하기 바란다. 예컨대 노트르담성당 비스무리한 문화재 현장에 안전사고가 났다 치자. 그날로 어케든 용을 써서라도 신문 방송에 나야 한다. 사돈에 팔촌 동원하면 못할 거 없다. 신문엔 인용 코트 하나 나야 하지만, 기고문이 약발 젤로 좋다. 방송 출연도 아주 좋다. 전문가연 하면서, 이래선 안되니, 이래야 하니 한두마디 떠들기만 하면 약발 최고다. 그 다음날 대책위원회가 수립되고 며칠 뒤 자문위원단이 구성되는데 어김없이 저런 사람은 자문위원단에 들어가 있다. 2019.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