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37

Excavations of No. 13 Tomb at Malisan Tumuli, Haman 함안 말이산고분 13호분 발굴 2018. 12. 18.
아라가야 본고장 함안을 찾아서 (3) 속살 드러낸 말이산 고분 13호분 발굴현장으로 다가선다. 능선을 따라 우람한 봉분이 열을 이룬다. 저 너머가 발굴현장이다. 외곽부터 살핀다. 저 봉분 전면 평탄대지로 트렌치를 넣어다. 보다시피 땅을 걷어내자마자 암반 더미다. 뭔가 부대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기대한 모양인데 그런 흔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단다. 한데 저 봉본 낌새가 수상쩍다. 볼룩한 전체를 흙이나 돌무지로 쌓아올렸으리라 생각했는데 아니다. 상당 부분이 암반더미다. 그렇다면 암반 더미를 까고? 혹은 암반 더미 위에다가 흙을 쌓아 봉분을 만들었을까? 이 모양이다. 언뜻 전체가 인공 봉분인 듯하지만 실상은 전연 딴판이라, 이런 편마암 계통 암반더미였다. 구들장으로 까는 그 암반 말이다. 그렇다면 매장주체부는 어디에 어케 만들었다는 말인가? 암반을 올라가니, 비로소 인공.. 2018. 12. 18.
아라가야 본고장 함안을 찾아서 (2) 왕가의 공동묘지 말이산 고분군 먼저 항공사진을 보자. 말이산 고분군이 어떤 모양으로 어떤 곳에 배치돼 있는지 이보다 더 확실할 순 없으니깐 말이다. 먼저 함안 분지 전체에서 아라가야 왕궁 추정지와 말이산 고분군 위치를 보면 다음과 같다. 말이산 고분군은 보다시피 산들이 병풍처럼 빙둘러친 함안 분지 중에서도 남쪽으로 치우친 중앙지점을 차지한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선 말이산이라는 야산에다가 집중적으로 무덤을 조성했다. 무덤 만들기 딱 좋은 장소다. 홍수 우려 없지, 적당한 높이라 사방 조망하기 좋지, 이보다 좋은 공동묘지 있겠는가? 저런 구릉 혹은 산지에서 무덤은 정상부와 남쪽 혹은 동쪽 사면을 중심으로 집중 조성한다. 서쪽은 빛이 잘 들지 않아 잘 쓰지 않는다. 한데 말이산 고분군은 동쪽 사면이 급경사라, 도저히 무덤을 쓸 수 없다. .. 2018. 12. 18.
아라가야 본고장 함안을 찾아서 (1) 성산산성 진주에서 하룻밤 유숙하고는 열차로 함안으로 향했다. 불과 30분 거리. 내리니 온통 뿌였다. 남해안에서는 북쪽으로 좀 들어간 내륙 분지인 함안은 남쪽 함안면과 함안역, 그리고 함안읍을 차례로 정북쪽으로 관통하는 함안천이 생명줄이라. 이 함안천은 북쪽으로 냅다 흐르다 낙동강 지류 중에서는 가장 큰 축에 속하는 남강에 합류한다. 함안역에 내려 남쪽 함안면 쪽을 바라다 본다. 그리 높다 할 순 없으나, 그렇다고 야산이라고는 할 수 없는 산들이 올망졸망 거대한 병풍을 이룬다. 반대편으로 몸을 돌려 함안읍내 쪽을 바라본다. 언뜻 봐도 목이다. 길목이다. 양쪽에서 툭 튀어나온 저 산능선 중앙을 관통해 곧장 나아가면 함안 읍내다. 저 골목을 함안천이 통과해 위쪽으로 흘러간다. 함안군 학예연구사 조신규 선생이 저 능선.. 2018. 12. 18.
문화재란 무엇인가? 왜 문화재인가? *** 아래는 December 18, 2013 내 페이스북에 일련으로 연재한 것을 하나로 통합한 것인 바, 지금은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누군가 서면 인터뷰에 응해서 내가 작성한 것이로되, 이것이 어떤 형태로 공간이 되었는지, 아니면, 무슨 그의 글에 인용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오늘 기준으로 딱 5년 전 오늘의 일이어니와, 그런 까닭에 그 시간만큼 내 생각이 달라진 대목이 없지는 않을 것이로대, 그 시대 내 생각을 증언하는 한 단편으로 남겨둔다. 1. 2008년 2월 10일 대한민국의 대문인 숭례문이 하나의 불씨에 타버리고 말았습니다. 문화전문 김태식 기자님께서는 당시 사건을 접하고 어떤 생각이 가장 먼저 드셨는지 알고 싶습니다. - 우리에게는 문화재 참사 중에서는 그 사건은 아마도 생중계로 접한 최초.. 2018. 12. 18.
술별과 주성酒星, 술샘과 주천酒泉 술을 소재로 한 이태백 연작시 ‘月下獨酌(월하독작)’ 중 두 번째는 다음과 같이 시작하니, 天若不愛酒(천약불애주) 酒星不在天(주성부재천)地若不愛酒(지약불애주)地應無酒泉(지응무주천) 이니 이를 흔히 옮기기를, 하늘이 술을 즐기지 않으면하늘에 주성이 있을 리 없고땅이 술을 즐기지 않는다면땅에 어찌 주천이 있겠는가 라고 하거니와, 언제나 나에게 고민은 이런 옮김이 썩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주성(酒聖)과 주천(酒泉)을 일종의 고유명사처럼 간주한 것이라 이리 옮긴 것이니, 주성과 주천은 실재하는 고유명사다. 하지만 저런 옮김은 ‘술’과 ‘酒’가 운율에서 절대로 대응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고 나는 본다. 그래서 나는 저보다는 다음과 같이 옮겨야 더 좋다고 본다. .. 2018.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