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94

텍스트의 기념비성, 독자는 누구인가? 모든 텍스트는 독자(a reader or readers)를 염두에 둔다. 누구를 독자로 한 것인가? 이 점을 망각하고 텍스트에 접근하면, 그 역사문화 99%를 망실하고 만다. 광개토왕비는 독자가 누구인가?북한산 비봉 진흥왕비는 독자가 누구인가?무령왕릉 묘권墓券은 독자가 누구인가? 적어도 저 셋 중에서 가장 대중성이 강한 텍스트가 광개토왕비요 독자가 지극히 제한된 곳이 진흥왕비와 묘권이다. 묘권은 독자가 지하세계 귀신들이요 북한산비는 독자가 천신지기天神地祇다. 이를 알아내는 것이 텍스트의 기념비성을 파헤치는 지름길이다. 그것을 해체하는 것이 역사가의 책무다. 저들 텍스트에 대한 저런 고려를 하지 아니하니, 개소리가 넘쳐난다. 기념비성을 몰각한 까닭이다. 내가 본 고대 금석문 중에서 가장 대중성이 높은 기념.. 2019. 4. 13.
밤을 답사하다 보면 비녀도 떨어뜨리기 마련 한시, 계절의 노래(317) 답가 가사 네 수[踏歌詞四首] 중 셋째 [唐] 유우석(劉禹錫, 772~842) / 김영문 選譯評 새 가사 감미롭게서로 이어 화답하며 바람 이슬 앞 소매 떨치고쪽머리 기울이네 달 지고 까마귀 울 때운우 끝나 흩어지자 노는 아이 밭둑에서꽃비녀를 주웠네 新詞宛轉遞相傳, 振袖傾鬟風露前. 月落烏啼雲雨散, 遊童陌上拾花鈿. “얼음 우에 댓닢 자리 보아/ 님과 내가 얼어 주글망정/ 정준 오늘 밤 더디 새오시라 더디 새오시라”(고려가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얼다’라는 말은 어떤 물체가 추워서 어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남녀가 육체적으로 한 몸이 되는 것도 가리킨다. 한 겨울 얼음 위에서 한 몸이 되어 얼어 죽더라도 정든 님과 함께 하는 이 밤이 더디 새도록 기원하고 있다. 뜨거움에 애.. 2019. 4. 13.
모양성 채운 자주괴불주머니 흔히들 꽃타령 하는 사람을 일러 늙어가는 징조라 들기도 하거니와 그런 사람들은 대체로 꽃 이름을 모른다. 그런 점에선 나 역시 그에 하등 진배없다. 연전 나는 고창읍성, 일명 모양성에서 흐드러진 벚꽂에 넋이 나갔다가 그 풀밭 한켠에 산발한 저 꽃을 보고는 이리 썼다. 소피 마르쏘보다 이쁜 꽂 이라고 말이다. 그랬다. 소피 미르쏘 피비 캣츠 브룩 쉴즈 다 합친 것 보다 이뻤다. 그 이름 못내 궁금했는데 저 사진 본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자주괴불주머니 란 참으로 요상한 이름을 붙이더라. 안팎으로 사납기만 한 이 즈음 너를 보며 심사 달래본다. 다른 모든 걸 잃고 너를 얻었으되 그 자주빛 찬란함 만끽하기엔 너무 짪아 놓아주어야 할 듯 싶으나 꽃아 너는 꽃이라 좋다 말해두련다. 2019. 4. 12.
꾀꼬리 울음이 하늘 끝 꽃을 적셔주리 한시, 계절의 노래(316) 하늘 끝[天涯] [唐] 이상은(李商隱, 812~858) / 김영문 選譯評 봄날하늘 끝에 있으니 하늘 끝에해가 또 지네 꾀꼬리 울음에눈물 있다면 가장 높은 곳 꽃을적셔주리라 春日在天涯, 天涯日又斜. 鶯啼如有淚, 爲濕最高花. 하늘 끝은 더 이상 갈 데 없는 막다른 곳이다. 그 앞은 단애(斷崖), 즉 절벽이다. 그곳으로 봄날 태양이 진다. 나아갈 곳이 없는 자리다. 그곳은 부여 낙화암이며, 굴원의 멱라수이며, 「와호장룡」의 무당산 절벽이다. 시인 이상은에게는 곧 닥쳐올 당나라 망국의 자리이자 인생의 끝자리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봄날 황혼녘 꾀꼬리가 운다. 꾀꼬리는 눈물도 없이 가슴을 찢으며 운다. 백석의 명편 「흰 바람벽이 있어」도 이 시와 같다.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 2019. 4. 12.
증평 추성산성(8차) 문화재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증평군/미래문화재연구원) 충북 증평군 추성산성 제8차 발굴조사 성과가 공포되었다. 그 소식은 아래 첨부하는 우리 공장 기사를 참고하기 바란다. 증평 추성산성서 한성백제기 목조 우물터 발견송고시간 | 2019-04-12 10:32 이번 조사는 증평군이 재단법인 미래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해 실시했다. 저 기사 토대가 된 '증평 추성산성(8차) 문화재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를 첨부하니, 많은 이용을 바란다. 시간이 허한다면, 내가 완전히 풀어제껴서 새로 쓰겠지만, 요샌 일에 치어 암것도 하지 못하는 점 혜랑 바란다. A Brief Report of the 8th Excavation at Chuseongsanseong Fortress, Jeungpyeong 曾坪杻城山城第八次發掘調査學術檢討會議資料 2019. 4. 12.
인더스문명은 평화로왔던 지상천국인가 (1)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에서도 한번 썼듯이 필자는 인도조사 중 소위 말하는 "인더스문명의 대도시" 유적을 두군데를 봤다. 한군데는 구자라트 주의 돌라비라 유적. 다른 한군데는 하리아나 주의 라키가리 유적이다. 어느나라 어떤 문명이나 문명권 안에는 광범위한 농촌이 펼쳐져 있고 그 안에는 여러 크기의 도시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런 점이 인더스 문명의 경우 그 문명의 특징 중 하나로 매우 두드러진다. 인더스 문명의 유적. 원으로 표시된 것이 인더스 문명의 도시 유적이다. 지금까지 발굴된 도시 유적도 상당히 많지만 그 중에서 "대도시"급에 속하는 것은 모두 다섯군데로 Mohenjo-daro, Harappa, Dholavira, Kalibangan, 그리고 Rakhigarhi이다... 2019.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