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43

반구대 암각화 건너편의 (통일)신라시대 건물터는? 근자 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을 발굴조사한 결과 통일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만한 여지를 보이는 정자 흔적이 드러났다. 나는 이번 성과를 보면서 나올 만한 흔적, 아니, 언젠가는 드러나야 할 흔적이 나온 것으로 본다. 현장을 본 사람이면 직감하겠지만, 반구대 일원은 대곡천이 산곡간을 흘러내리며 형성한 경관이 절경이어니와, 무엇보다 반구대 암각화가 위치한 곳,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 건너편 어딘가에는 정자가 분명히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흔적이 기어이 이번에 발굴조사를 통해 편린을 보인 것이다. 예서 관건은 정자가 존속한 기간이다. 이와 관련해 조사단인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출토 유물을 근거로 통일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정자 존재가능성을 제시했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을 수립하고, 그 일환으로.. 2018. 12. 24.
시절 아님에도 서둘러 찾아간 꽃 소식 한시, 계절의 노래(228) 동짓날 혼자 길상사에서 놀다[冬至日獨遊吉祥寺] [宋] 소식 / 김영문 選譯評 우물 바닥 약한 양기돌아 왔는지 아닌지 부슬부슬 찬 비가마른 풀뿌리 적시네 어느 누가 다시 또소 선생 행색처럼 꽃 시절 아닌데도혼자 오려 하겠는가 井底微陽回未回, 蕭蕭寒雨濕枯荄. 何人更似蘇夫子, 不是花時肯獨來. 동지를 ‘작은설’이라고 한다. 밤이 가장 길어 다시 양기를 처음 회복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복양절(復陽節)’이란 명칭도 그래서 생겼다. 아직 입춘까지는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이라는 혹한기를 거쳐야 하므로 봄을 이야기하기는 이른 시기다. 그런데도 소동파는 동짓날 혼자서 길상사로 놀러갔다. 꽃이 있을 리 만무하지만 일선양맥(一線陽脈)의 의미를 서둘러 확대했다. ‘우물 바닥 약한 양기’가 바로.. 2018. 12. 24.
동춘당은 꿈에서 퇴계를 봤을까?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1606~1672) 문집인 《동춘당집(同春堂集)》 제24권이 수록한 동춘당 시(詩) 중에 '기몽(記夢)'이라는 작품 한 편이 있으니, 그에는 "이해에 선생께서 역책(易簀)하셨다"는 부연 설명이 있으니, 이는 아마도 그의 사후 문집 편찬자들이 붙인 대목으로 보인다. 이에는 본문에 앞서 동춘당 자신이 붙은 다음과 같은 서문이 있다. "임자년 1월 11일 밤 꿈에 퇴계 선생을 모시고 함께 자면서 간절한 가르침을 받았는데, 꿈에서 깬 뒤에도 남은 향기가 몸에 가득하므로 느낌이 있어 이 시를 짓는다." 그 본문은 다음과 같다. 평생 동안 퇴도 선생 흠앙했더니 / 平生欽仰退陶翁사후에도 정신이 감통하였네 / 沒世精神尙感通오늘 밤 꿈속에서 가르침 받았는데 / 此夜夢中承誨語깨어 보니 달빛.. 2018. 12. 24.
허정 회고록과 파리에서 찾은 독립운동 흔적 찾아보니 올해 초다. 2월 11일, 내 페이스북에다 나는 아래와 같이 썼다. 헌책방에 들렀다가 슬쩍 쌔비왔다.백두진 회고록이랑 같은 칸을 차지해 고민하다 우선 허정부터 자빠뜨리기로 했다.난 회고록 아카이브 구축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이다.지금 여기 우리는 어떻게 와 있는가? 그 편린의 하나가 잡힐 줄 혹 알겠는가? 그러면서 나는 아래를 포함해 이 허정(許政) 회고록 《내일을 위한 증언》 관련 사진 석장을 첨부했다. 내가 구득한 것은 1979년 샘터사에서 나온 초판이다. 이 허정이라는 사람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대단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이라, 1896년 부산 태생으로 정계에 입문해 각종 요직을 두루 거쳤고, 4.19 직후에는 정부수반까지 지냈으니 그것이 자리합리화로 점철했건 아니했건, 그의 증언은 한국근현대.. 2018. 12. 23.
김수로는 왜 자승紫繩을 타고 강림했는가?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에는 고려 문종(文宗) 때인 대강(大康) 연간(1075~1084)에 금관지주사(金官知州事)의 문인이 찬했다는 《가락국기(駕洛國記)》에서 절록했다는 가야 건국신화를 채록했거니와, 그에는 이런 대목이 있다. 후한 세조(世祖) 광무제(光武帝) 건무(建武) 18년 임인(AD 42) 3월 계욕일(禊浴日)에 그들(9干)이 사는 북쪽 구지(龜旨)에서 누군가를 부르는 것 같은 이상한 소리가 났다. 200~300명 정도가 이곳에 모이자 사람 소리가 들렸는데 그 형체는 보이지 않은 채 소리만 났다. (중략) “내가 있는 곳이 어디인가?” 하니 구간(九干)이 대답하기를 “구지입니다”고 했다. “皇天이 나에게 명하시길, 이곳에 와서 나라를 세우고 임금이 되라고 하셨다. 그래서 내려온 것이다. .. 2018. 12. 23.
복어회에 소주 한잔으로 보내는 세모 한시, 계절의 노래(227) 무제 두 수(無題二首) 중 첫째(1932년 작) [現代中國] 루쉰(魯迅) / 김영문 選譯評 고향 땅 캄캄하게검은 구름에 갇혀 있고 긴 밤 아득하게새봄을 막고 있다 세모에 이 쓸쓸함어떻게 견디랴 한 잔 술 잡고서복어를 먹는다 故鄕黯黯鎖玄雲, 遙夜迢迢隔上春. 歲暮何堪再惆悵, 且持卮酒食河豚. 중국 현대 대표 작가인 루쉰도 구체(舊體) 한시를 썼단 말인가? 그렇다. 60수가 넘는 루쉰의 한시가 남아 있다. 그의 마지막 한시가 1935년 문경지우 쉬서우창(許壽裳)에게 써준 「을해년 늦가을 우연히 쓰다(亥年殘秋偶作)」이므로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까지도 구체 한시를 창작했음을 알 수 있다. 루쉰은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와 같은 연배다. 만해는 1879.. 2018.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