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02

30년 전 일기를 꺼내보는 봄여름가을겨울 우리 공장 다른 부장들은 여전히 고래의 전통에 휘말려, 새벽 같이 출근하지만, 오직 나만은 주 52시간 노동시간 체제 정착을 위해 일찌감치 그럴 필요 없다 해서 부장 중에서는 가장 늦게 어슬렁어슬렁 편집국에 나타난다. 보통 7시 무렵 집을 나서 쉬웅 하고 버스 타면 방을 나서 편집국 회사 내 자리 앉기까지 30분이면 족하다. 이것도 갈수록 차츰 늦어져 아침 편집회의 자료 올리는 시간이랑 에디터 주재 회의만 없다면, 출근조차 하지 않을 작정이지만, 이건 아마 당분간은 어려울 듯하다. 강추위가 맹위를 떨친 오늘 아침도 그렇게 빈둥빈웅 어슬렁어슬렁하면서, 나설까말까 하면서 할 수 없이 PC를 끄려는 찰나, 틱 하면서 "기사가 왔습니다"라는 요란한 울림이 있다. 보니 봄여름가을겨울 드러머 전태관이 타계했다. 사.. 2018. 12. 28.
The sun also rises 남한산 만데이로 해가 뜬다. 제2롯데월드를 기롱한다. 해가 똥침 맞고 아파 날뛴다. 미지발 빠진다 아우성이다.두어번 더 이 짓 반복하면 해가 바뀐다. 2018. 12. 28.
포르투갈 신부가 보고 들은 임진왜란 아래는 18년 전인 2000년 2월에 내가 쓴 것인데, 어찌하다 이 기사를 다시 보게 되었다. 16세기, 예수회 소속 신부로 일본에 파견되어 활동한 포르투갈 신부의 임진왜란 증언기가 번역되어 나왔다는 내용이다. 이를 어찌하여 내가 당시에 소개하게 되었는지는 내가 정확한 기억이 없다. 주한포르투갈문화원과 내가 교유가 있던 것도 아니로대, 아마 이쪽에서 한 부 우리 공장 문화부로 홍보용으로 배포했던 것이 마침 내 눈에 띄어 소개하지 않았나 한다. 이 번역물은 틀림없이 내 서재 어딘가에 쳐박혀 있을 터인데, 아주 얇은 포케형 비스무리했다는 기억이 있다. 이것이 지닌 의미야 아래 기사를 보면 될 것이다. 이 기사가 나간 직후 당시 명지대에 자리를 잡았는지, 아니면 아직 보따리 장사하던 시절이었는지 기억에는 없지.. 2018. 12. 28.
인도 고고학 조사 이야기 (9): 음식 신동훈 (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또 다른 스핀오프이다. 난 식도락과는 무관한 사람이라 사실 인도음식에 대해서 쓸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내가 인도에서 먹던 음식은 호화롭다고 할 수 없는 음식들이고 그곳 사람들이 평범하게 먹던 일상식이다. 이름도 잘 모르는 음식들이지만 (하지만 맛은 다 기억한다) 간단히 소개해 본다. 인도 사람들은 이렇게 먹는구나 생각하시면 될 것이다. 발굴 캠프에 들어가면 음식은 더 조촐해진다. 난 인도 음식이 좋다. 나는 델리를 가면 항상 인도고고학회 게스트 하우스에서 잤는데 그 게스트 하우스 옆에 아침밥을 파는 포장마차가 있음. 거기서 파는 아침밥. 계란하고 몇가지 인도식 부침개를 함께 주는데 (나는 인도 빵 이름을 구별 못한다. 이름은 알지만 구별 못함. 그냥 먹음. 어.. 2018. 12. 28.
Investigations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n Korea Provid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우리나라 수중문화재 발굴조사 현황(1976~2017) 발굴유적발굴연도발굴기관발굴문화재 성격신안선1976∼1984문화재관리국ㆍ해군(합동)중국(원) 무역선(신안선) 1척,동전 28ton, 도자기 등 22,000여점 제주 신창리1980,1983,1996문화재관리국ㆍ제주대박물관(합동)12∼13C 금제장신구류, 중국 도자기 등 태안반도1981∼1987문화재청관리국ㆍ해군(합동)고려청자 40여점, 조선백자 등(14∼17C 유물)완도 어두리 완도선1983∼1984문화재관리국고려선박 1척, 도자기 3만여 점, 선원생활용품 진도 벽파리 진도선1991∼1992국립해양유물전시관13∼14C 중국 통나무배.. 2018. 12. 27.
태안 앞바다가 바닷속 경주가 되기까지 (1) 1981년의 사건 문화재 측면에서 태안 앞바다를 요즘은 흔히 '바닷속 경주'라 부르거니와, 이곳이 그렇게 등장하는 흐름을 정리하고 싶어 우리 공장 내부 검색을 돌려봤다. 일단 검색어로는 '침몰 선박 태안 청자'를 넣어봤다. 그 결과를 추리기 전에 하나 해둘 말이 있다. 첫째, 우리 공장 기사 DB화가 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얼마나 철저한지 현재로서 내가 확인키는 힘들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1980년 언론 통폐합에 따른 연합통신(현재의 연합뉴스) 출범 이후 초반기 대략 15년 정도 구축한 기사 DB에는 구멍이 숭숭 뚫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우선 말해둔다. 다음으로, 다른 검색어들로 같은 작업을 진행할 때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으면 한다. 그럼에도 이 작업 결과는 태안 앞바다가 '바닷속 경주'.. 2018.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