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5

신자료 먼저 못봐서 환장하는 연구자들 *** April 29, 2015 글이다. 그런대로 시사성이 있어, 아니, 그보다 더 이 경향으로 나아가는 듯 해서 새삼 옮긴다. 《연구업적도 이제는 시간차 공격이 중요한 시대다》 이게 이미 이 시대로 접어들었는데, 다들 심각성을 모르더라. 촉급을 다투는 시대다. 누가 먼저 말뚝을 꽂았느냐로 승패가 판가름 나는 시대다. 종래 연구자집단에서 연구성과를 담아내는 통로는 기껏 이른바 학술지밖에 없었다. 아주 가끔 신문지상이나 잡지 힘을 빌리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 이 시대는 구석기시대다. 누가 먼저 침바르느냐가 관건이 되는 시대라 나는 이를 학계의 통신사 시대 라고 부른다. 그만큼 이를 담아내는 통로가 다양해졌다. 1인 1매체 시대다. 블로그니 페이스북이니 해서 자기 생각을 담아낼 통로 매체는 얼마든 존재하며.. 2019. 12. 6.
아무일이 없던 2019년 12월 5일 목요일 《명사明史》인지 《청사靑史》인지는 기억에 없다. 아마도 후자 쪽인 듯한데, 암튼 그 본기 중 한 해에는 "이해에 아무 일이 없었다"는 대목이 있다. 일이 없으면 심심한 법이다. 2019년 12월 5일 목요일..어제가 문화부엔 그런 날이다. 암일이 없었다. 이렇다 할 평지풍파도 없었고 이 계절 운수다한 목숨이 추풍낙엽처럼 쓰러지나 죽어간 사람도 없다. 내가 이 공장 문화부장으로 온 2018년 4월 이래 주말이나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 이런 날은 처음이 아닌가 한다. 물론 진짜로 아무일이 없었겠는가? 역사로 기록할 만한 일이 없었고, 그에 상재할 가치가 있는 사람의 죽음이 없었을뿐 어제도 무수한 생명이 죽어나갔다. 그렇다고 지구가 자전과 공전을 멈춘 것도 아니요 시간은 또 흘렀고 내가 디딘 땅도 그만큼 옮겨.. 2019. 12. 6.
아! 황룡사탑 《고려사절요》 제2권 광종대성대왕光宗大成大王 계축 4년(953), 후주 광순 3년ㆍ요 응력 3년 조에 보면 이해 "겨울 10월에 경주 황룡사皇龍寺 구층탑에 불이 났다"고 한다. 이때 어떠한 피해를 보았을까? 같은책 제3권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임자 3년(1012), 송 대중상부 5년ㆍ거란 개태開泰 원년 조를 보면 이해 5월에 "경주의 조유궁朝遊宮을 헐어 그 재목으로 황룡사탑을 수리했다"고 했다. 조유궁이란 무엇인가?월성 혹은 그 인근에 있던 신라시대 궁궐 전각 아닌가? 같은책 같은권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갑자 15년(1024), 송 천성 2년ㆍ거란 태평 4년 조에서는 이해 6월에 문하시랑 평장사 최항崔沆이 졸했다고 하면서 그의 행적 중 하나를 비판하기를 "하지만 부처를 지나치게 믿어 황룡사탑을 수리하.. 2019. 12. 5.
[읽을만한책] 이경아 《경성의 주택지》 100년전 시작된 주택지 개발 열풍을 돌아보니송고시간 | 2019-12-05 11:11전통건축학자 이경아 교수 신간 《경성의 주택지》 올해 7월 20일. 나는 내 페이스북 계정에 이런 글을 게재했다. (앞 생략) 듣자니 이번 바쿠 세계유산위에 마침내 처음으로 자비 내서 회의 참관한 대학교수님이 탄생했다고.....이 분 문화재위 세계유산분과 위원 되시고선, 그래 명색이 세계유산분과 위원인데 세계유산위가 어케 돌아가는지 내가 직접 봐야 하겠다고 해서 지 돈 내고 가셨다고....첨이다!지돈 내고 세계유산위 참관한 대한민국 교수! 세계유산 전문가라 떠드는 사람 대한민국에 천지다. 무슨 용역 프로젝트에 끼지 못해 환장한 세계유산 전문가 천지다. 뜯어보면 빈깡통임에도 세계유산 전문가입네 하고 동네방네 떠들고 다니며.. 2019. 12. 5.
중국에서 가장 오랜 5천년전 비단 검출 하남성河南省 형양시滎陽市 왕구유지汪溝遺址 출토 옹관甕棺 속 어린아이 두개골에 부착한 직물과 그 아래쪽 토양을 조사한 결과 이것이 뽕나무 껍질을 재료로 하는 비단 견직물임을 확인했다고 중국실크로드박물관과 정주시문물고고원鄭州市文物考古研究院은 지난 3일 기자회견을 열어 공개했다. 이 직물은 현재까지 알려진 유물 중에서 중국에서는 가장 오래된 견직물로 평가되며, 그 제작 연대는 현재로부터 대략 5천300년 내지 5천500년 전으로 추정된다. 이는 대략 거금 4천200~4천400전, 종래 가장 오랜 중국 견직물로 보고된 양저문화良渚文化 전산양유지錢山漾遺址 출토품보다 천년가량 빠르다. 이번 분석을 위해 두 기관은 매련면역검측기술酶聯免疫檢測技術, 곧 엘리사ELISA라는 분석기법을 동원했다고 한다. 연구팀은 2017년.. 2019. 12. 5.
용인 석성산 봉수 용인 석성산 봉수는 용인의 鎭山 石城山(해발 471m) 정상 부근에 있다. 석성산 봉수는 석성산성 내에 자리하고 있다. 둘 다 비지정 매장문화재이고, 석성산성은 군부대가 깔고 앉아 있어서 행정적 관리 대상에서 우선 순위에 들지 못했다. 그렇지만 할미산성 바로 옆이라, 할미산성을 얘기하면 늘 석성산성-석성산 봉수가 세트로 따라 붙었다. 다행히 문화재청에서 비지정 매장문화재 긴급발굴조사 지원이라는 좋은 제도가 있어서, 2차례 도전 끝에 발굴조사를 할 수 있었다. 2017년~2018년 석성산 봉수에 대한 발굴조사를 마쳤고, 2019년에는 봉수 아래쪽에 건물터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굴조사는 용인시 의뢰로 혜안문화재연구원이 했으며, 오늘 자문회의가 있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평탄지 조성을 위한 석축,.. 2019. 12. 5.
반응형